주간동아 1111

..

베이스볼 비키니

현대 팬들이여 일어나라

밉상이었지만 야구는 잘하던 ‘현대 유니콘스’

  • 황규인 동아일보 기자 kini@donga.com

    입력2017-10-30 14:03:35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시작은 모자였다. 배우 (배)수지가 지난달 시작한 SBS 드라마 ‘당신이 잠든 사이에’에 쓰고 나왔던 그 모자 말이다. 그 모자는 ‘왕자님의 입맞춤’이었다. 그 모자 하나로 10년 동안 잠들어 있던 ‘현대 유니콘스’가 눈을 떴다.

    눈을 뜬 현대를 일으켜 세운 건 미키 캘러웨이(42)였다. 미국 메이저리그 뉴욕 메츠는 10월 23일(현지시각) 캘러웨이를 새 감독으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캘러웨이 감독은 2005~2007년 현대에서 뛰면서 32승 22패(승률 0.593), 평균자책점 3.56을 기록한 외국인 투수 출신이다. 한국 프로야구 출신이 메이저리그 팀 감독 자리를 차지한 건 캘러웨이가 처음이다.

    2007년까지 한국 프로야구에는 현대라는 팀이 있었다. 현대는 해체 3년 전만 해도 한국시리즈 2연패를 차지했고, 프로야구 무대에 처음 뛰어든 1996년 이후 12년 동안 4번이나 챔피언 자리에 오른 팀이었다. 사실 현대 이전에 프로야구 역사에서 ‘왕조’를 구축했다고 할 수 있는 팀은 해태(현 KIA) 타이거즈뿐이었다.

    그런데 왜 현대는 프로야구 팬들 사이에서 그렇게 건조한 상태로 남아 있던 걸까. 현대가 ‘그리움’이라는 ‘축축한’ 낱말과 다시 연결되는 데 왜 10년이라는 세월이 필요했던 걸까.





    현대, 그리고 쌍방울

    팀은 사라져도 팬은 남는다. 그래서 팀이 사라지면 ‘유민’을 자처하는 이들이 등장하곤 한다. 아니, 적어도 임진왜란 때 군대를 보낸 명나라 황제(만력제)의 제사를 지내며 명나라와 조선이 차례로 망한 뒤에도 일제의 눈을 피해가면서 1937년까지 어떻게든 ‘떠받든’ 조선 유림처럼 ‘마지막 팬클럽’은 존재한다.

    예컨대 1999년 역사 속으로 사라진 쌍방울 레이더스의 경우 회원 1700여 명이 여전히 인터넷 팬클럽에서 활동 중이다. 원맨밴드 달빛요정 역전만루홈런(본명 이진원)은 2008년 3집 앨범 ‘Goodbye Aluminium’을 내면서 운동장에 널브러진 쌍방울 마스코트를 표지 사진으로 쓰기도 했다.

    솔직히 현대와 쌍방울 모두 인기 없는 걸로 유명하던 팀. 프로야구장에 역대 가장 적은 관중(54명)이 찾은 건 이 두 팀이 맞붙은 1999년 10월 7일 전북 전주 경기였다. 그렇다면 성적이라도 좋았던 현대(0.550)를 쌍방울(0.410)보다 더 그리워하는 사람이 많아야 하는 게 정상 아닐까. 게다가 프로야구 1군 무대에 속한 기간 역시 현대(12년)가 쌍방울(9년)보다 더 길다.

    하지만 결과는 정반대. 이날 경기의 피해자는 쌍방울이었고, 가해자는 현대였다. 쌍방울이 연고지로 삼았던 전북은 원래 ‘해태의 땅’이었다(실제로 쌍방울은 45억 원을 주고 해태로부터 전북지역 연고권을 사들였다). 그래서 쌍방울은 어쩐지 해태의 막냇동생 같은 느낌을 풍기기도 했다. 선동열과 배터리를 이루던 장채근이나 해태에서 ‘해결사’라는 별명을 얻었던 한대화 등 해태 출신 선수들이 말년에 이 팀에 몸담기도 했다. 무엇보다 쌍방울은 항상 ‘가난한 팀’ 이미지였고, 실제로도 그랬다.

    현대는 달랐다. ‘현대 피닉스’라는 아마추어 팀으로 창단할 때부터 이 팀은 ‘선수 싹쓸이’처럼 부정적인 표현과 더 가까웠다. ‘별도 프로리그를 만들겠다’던 현대는 결국 470억 원에 인천을 연고지로 하던 태평양 돌핀스를 인수해 프로야구 무대에 진입했다. 당시 ‘프로야구로 돈을 번 회사는 태평양밖에 없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로 ‘통 큰 베팅’이었다.

    ‘선수 수집’은 프로야구 무대로 뛰어든 뒤에도 달라지지 않았다. ‘롯데 1번 타자’ 전준호가 현대 유니폼을 입었고, 원래 해태로 갔어야 할 박재홍도 현대 유니폼을 입고 신인상을 받았다. 트레이드된 후 활약한 임선동 역시 LG 트윈스 팬들 사이에서 좋게 기억되기는 힘든 이름. 쌍방울에서도 박경완을 ‘사왔다’.

    그래도 이때까지는 원래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 태평양이 뿌리내리고 있던 인천 팬들에게 상처를 주지는 않았다. 한 인천 팬은 “늘 응원팀이 가난했는데 현대가 인수하고 나서 부잣집에 딸을 시집보낸 느낌이었다. 인수 첫해였던 1996년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을 때 ‘이제 우리 팀도 되겠네’ 싶었다”고 회상했다.



    현대, 그리고 SK

    그러나 ‘우리 팀’은 “서울로 가겠다”며 기어이 인천 팬을 등졌다. ‘서울에 새 구장을 마련할 때까지만’ 안방 도시가 된 수원 팬들이라고 현대가 달가울 리 없었다.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은 모르는 사람이 없어도 ‘현대 유니콘스의 마지막 팬클럽’은 찾아보기 힘든 이유다. 

    그리고 2003년 쌍방울의 사실상 후신인 ‘현재 인천 팀’ SK 와이번스와 ‘옛날 인천 팀’ 현대가 한국시리즈에서 맞붙었다. 이제는 부산에 밀려서 그렇지, 인천 사람 중에도 자기 고향을 구도(球都·야구 도시)라고 평가하는 이가 적잖다. 과연 당시 인천 팬들은 누구를 응원했을까.

    그전까지 SK로 응원팀을 바꿨다 2003년 한국시리즈부터 다시 현대를 응원하게 됐다는 인천 팬도 꽤 됐다. 한 인천 팬은 말했다. “분명 몸은 SK 응원석에 있었는데 나도 모르게 현대 응원가를 줄줄이 따라 부르고 있더라. 그 순간 ‘아, 딸이 아니라 첫 사랑이 부잣집에 시집갔던 거구나. 할 수만 있다면 다시 사랑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 불편한 관계는 오래가지 못했다. 시집(현대전자)이 망해가는데도 첫사랑은 씀씀이를 줄일 줄 몰랐다. 현대는 한국야구위원회(KBO)에서 26년간 모은 ‘야구 기금’ 140억 원을 모두 쓰고 나서야 숨을 거뒀다. 운명의 장난이었을까. 현대그룹 ‘왕자의 난’ 이후 재정난에 시달린 현대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 2007년 한국 프로야구 챔피언은 이제 확실히 인천 팀이 된 SK였다. 우연은 또 있다. ㈜현대유니콘스 모기업은 현대전자였다. SK그룹은 2011년 현대전자가 이름을 바꾼 하이닉스(HYundai electroNICS)를 인수했고, SK하이닉스는 전 세계 매출 2위 반도체 회사로 성장했다.

    인과응보라는 이야기를 하려는 건 아니다. 가해자는 구단이었지 팬이 아니었다. 현대 팬이었다고 죄송해야 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파렴치한 구단 때문에 현대 팬들은 수없이 ‘왜 그런 팀을 응원하냐’는 질문을 받았을 테다. 하지만 현대를 응원하는 이유는 다른 팀의 팬이 그 팀을 응원하는 이유와 조금도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야구 이야기만 하자면, 삼성 라이온즈는 적어도 정규리그에서는 프로야구 역대 최강팀이지만 현대 팬은 삼성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프로야구 역사에 존재하는 팀 가운데 맞대결 전적(121승 6무 94패)에서 삼성에 앞서는 팀은 현대뿐이다.

    그러니 숨어 있는 현대 팬들이여, 그만 ‘현밍아웃’을 부탁드린다. 적어도 우리가 스스로를 할퀸 상처는 다 나을 때가 되지 않았나. 맞다. 기자 역시 ‘자랑스러운’ 현대 유니콘스 유민이다. 오랜만에 목 놓아 부른다. “최강희 눈이 커.”(현대 응원가 가운데 일부)




    • 많이 본 기사
    •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