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0년 케냐 은예리에서 태어난 마타이 여사는 77년부터 나무심기 운동을 벌였다. 산림녹화를 통해 가난한 여성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무분별한 벌목으로 훼손된 땅을 푸르게 가꾸자는 것이 운동의 취지. 마타이 여사는 이 운동으로 인해 오랜 세월 정권의 탄압을 받아왔다. 2002년까지 24년간 케냐를 지배했던 다니엘 아랍 모이 정권에 의해 수차례 체포됐으며, 테러의 표적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운동은 80년대부터 아프리카 전 지역으로 확대됐으며 탄자니아, 우간다, 에티오피아 등에서도 성공을 거뒀다.
마타이 여사는 케냐 전국여성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유엔에서 여성인권에 대해 여러 차례 연설하는 등 아프리카 여성인권 향상에도 애써왔다. 또 98년 ‘2000년 연대’를 조직해 아프리카 빈국의 이행 불가능한 채무를 2000년까지 탕감, 서구 자본의 산림 강탈을 막자는 운동을 벌여 국제적 조명을 받기도 했다. 2002년에는 98%라는 압도적인 지지로 국회의원에 당선됐으며 지난해 환경부 차관에 임명됐다. 수상 경력도 화려하다. 지금까지 세계적인 환경·여성 관련 상 20여개를 수상했다.
한편 노벨위원회가 정치 영역 밖에서 평화상 수상자를 선정한 것이 이번이 처음인 만큼 마타이 여사가 적합한 수상자인가를 놓고 논란이 일기도 했다. 테러와의 전쟁, 대량살상무기 등 긴박한 문제가 산적한 현실을 노벨위원회가 외면했다는 비판이다. 그러나 앞으로 국제사회에서 환경과 평화는 중요한 주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환경은 평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다. 왜냐하면 자원이 바닥나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서로 싸움을 벌여야 하기 때문”이라는 마타이 여사의 말은 주목할 만한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