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까지만 해도 여론과 정부가 꼽는 미세먼지의 주범은 중국이었다. 실제로 국내 미세먼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중국이다. 환경부 조사 결과에도 전체 미세먼지 중 30~50%가 중국발(發) 미세먼지라고 명시돼 있다. 그러나 환경부가 6월 3일 발표한 미세먼지 종합대책에 중국에 관한 내용은 전혀 없었다.
환경부 대책에는 없지만 미세먼지는 대부분 중국으로부터 오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6월 6일 “국립환경과학원의 측정치(2012년 1월~2015년 7월)를 분석해보니 중국과 가장 가까운 섬인 백령도와 도심인 서울 서소문동의 월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유사한 수치를 보인다”고 발표했다. 2012년 5월 백령도의 미세먼지 농도는 601㎍/㎥였다. 당시 서소문동의 미세먼지 농도는 50이었다. 이후에는 두 지역의 농도가 똑같이 줄기 시작해 같은 해 8월에는 백령도가 20, 서소문동이 19를 기록했다. 이후에도 백령도와 서소문동의 미세먼지 농도 흐름은 비슷했다. 게다가 백령도가 서소문동보다 높은 경우도 조사 기간 43개월 중 13개월이나 됐다. 전경련 환경노동팀 관계자는 “운행 차량이 적고 공장도 거의 없는 백령도의 오염도가 서울 중심가와 비슷하다는 것은 중국을 포함해 해외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원인일 수 있다는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환경부는 “중국발 미세먼지가 백령도 인근에만 머물다 빠져나갈 때가 많다”고 반박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중국발 미세먼지가 백령도에만 머문다는) 구체적 수치는 없지만 바람의 영향이나 경험적으로 볼 때 미세먼지가 백령도 인근에만 머물다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환경부 대책에는 없지만 미세먼지는 대부분 중국으로부터 오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6월 6일 “국립환경과학원의 측정치(2012년 1월~2015년 7월)를 분석해보니 중국과 가장 가까운 섬인 백령도와 도심인 서울 서소문동의 월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유사한 수치를 보인다”고 발표했다. 2012년 5월 백령도의 미세먼지 농도는 601㎍/㎥였다. 당시 서소문동의 미세먼지 농도는 50이었다. 이후에는 두 지역의 농도가 똑같이 줄기 시작해 같은 해 8월에는 백령도가 20, 서소문동이 19를 기록했다. 이후에도 백령도와 서소문동의 미세먼지 농도 흐름은 비슷했다. 게다가 백령도가 서소문동보다 높은 경우도 조사 기간 43개월 중 13개월이나 됐다. 전경련 환경노동팀 관계자는 “운행 차량이 적고 공장도 거의 없는 백령도의 오염도가 서울 중심가와 비슷하다는 것은 중국을 포함해 해외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원인일 수 있다는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환경부는 “중국발 미세먼지가 백령도 인근에만 머물다 빠져나갈 때가 많다”고 반박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중국발 미세먼지가 백령도에만 머문다는) 구체적 수치는 없지만 바람의 영향이나 경험적으로 볼 때 미세먼지가 백령도 인근에만 머물다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