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281

..

시총 100조 쿠팡, e커머스 ‘쩐의 전쟁’ 시작됐다

네이버·이마트 반(反)쿠팡 동맹 결성, 11번가·티몬도 상장 준비

  • 김유림 기자 mupmup@donga.com

    입력2021-03-20 10:00:02

  • 글자크기 설정 닫기
    3월 11일 미국 뉴욕 맨해튼 뉴욕증권거래소 건물에 쿠팡 로고와 함께 태극기, 성조기가 게양돼 있다. [뉴스1]

    3월 11일 미국 뉴욕 맨해튼 뉴욕증권거래소 건물에 쿠팡 로고와 함께 태극기, 성조기가 게양돼 있다. [뉴스1]

    쿠팡의 미국 상장으로 한국 유통업계가 충격에 휩싸였다. 쿠팡은 3월 11일(현지 시각) 한국 기업 최초로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직상장했다. 하루아침에 ‘시가총액 100조 원’ 기업으로 탈바꿈했다. 공모가는 35달러. 총 1억3000만 주를 공모했다. 기존에 발표한 공모 규모보다 1000만 주 늘어났으며, 구주 매출(2000만 주)을 제외한 신주(1억1000만 주)로 조달한 자금은 38억5000만 달러(약 4조3250억 원)에 달한다.

    e커머스 시장의 성공 열쇠가 ‘실탄 확보’에 달린 만큼 업계는 쿠팡 상장이 적잖은 파동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한다. 쿠팡은 이번에 조달한 신규 자금으로 대규모 투자를 펼칠 방침이다. 쿠팡이 뉴욕증권거래소에 제출한 상장 신고서에 따르면 서울을 제외한 전국 7개 지역에 1조 원을 투입해 풀필먼트센터(물품 보관·포장·배송·재고 통합 물류 관리 시스템)를 증설할 계획이다. 핵심 서비스인 로켓배송을 완벽히 정착시키려면 도심과 가까운 곳에 물류센터가 필요하다.

    현재 쿠팡은 전국에 170여 개 물류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미식축구장 40여 개를 합한 230만㎡ 규모로, 한국 가구의 70%가량이 쿠팡 물류시설로부터 10km 이내에 있다. 향후 쿠팡은 물류센터 설립을 위해 약 330만5785㎡(100만 평) 부지를 매입하고, 이를 통해 2025년까지 한국 가구 전체를 쿠팡 물류센터로부터 10km 이내에 두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자금 사용처로는 배달 서비스 분야가 지목된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쿠팡이츠는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배달 수요가 급증하면서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으나 업계 1위 배달의민족과 격차는 여전히 커 이번에 수혈한 자금의 상당 부분을 쿠팡이츠 시장점유율 확대에 투자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밖에도 쿠팡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확대 △자체 브랜드(PB) 상품 강화 △산지 직송 등 신선식품(쿠팡프레시) 취급 확대 등에 신규 자금을 투입할 예정이다. 동시에 대규모 채용도 예상된다. 쿠팡 측은 “물류센터 운영과 배달 서비스 인력으로 2025년까지 5만 명을 채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1위 굳히기 나선 네이버

    경기 고양시에 있는 쿠팡 물류센터 외관. [뉴시스]

    경기 고양시에 있는 쿠팡 물류센터 외관. [뉴시스]

    쿠팡이 신규 자금으로 대대적인 투자를 예고하자 국내 e커머스 경쟁사들의 마음이 바빠졌다. 쿠팡 진격에 맞불을 놓고자 ‘합종연횡’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먼저 온라인 유통 1위 네이버(네이버쇼핑)는 3월 16일 오프라인 유통 1위 신세계그룹과 2500억 원 규모의 지분을 맞교환하기로 하며 반(反)쿠팡 연합을 구축했다. 이마트 1500억 원, 신세계백화점 1000억 원 규모다. 네이버쇼핑의 지난해 거래액은 30조 원으로 쿠팡의 22조 원보다 많다. 시장점유율도 18.6%로 쿠팡(13.7%), 이베이(12.4%), 11번가(6.2%)보다 높다.



    업계는 1월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강희석 이마트 대표를 만난 것을 두고 두 회사가 e커머스 협력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내다봤다. 네이버는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쇼핑 및 가격비교 정보를 제공하며, 42만 개 스마트스토어를 보유하고 있다. 단, 유통과 물류에 대한 목마름이 컸는데, 이번 동맹으로 이마트가 가진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그 일환으로 네이버 장보기 서비스에 이마트가 입점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네이버 장보기 서비스에는 홈플러스와 GS프레시몰, 농협하나로마트, 동네시장, 백화점식품관 등이 들어와 있다. 홈플러스와 GS프레시몰을 통해 당일배송과 새벽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마트가 입점하면 신선식품 배송이 더욱 힘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마트 역시 네이버 장보기 입점을 통해 플랫폼 확장을 꾀할 수 있다. SSG닷컴 단독 몰 외에도 네이버로 판로를 확대해 오픈마켓에 대한 갈증을 풀고, 궁극적으로 시장점유율 또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네이버쇼핑 데이터베이스와 기술력 활용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예상된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해 말 CJ그룹과도 지분을 교환했다. 쿠팡에 뒤지는 물류 역량을 보완하기 위해 CJ대한통운 인프라를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네이버는 CJ대한통운과 풀필먼트 계약을 맺은 데 이어 디지털 물류 시스템도 마련했다. 김명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네이버의 지분 맞교환은 온오프라인 유통의 효율성을 높일 뿐 아니라, 쿠팡의 중장기적 위협에도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티몬 하반기 상장 예정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왼쪽에서 세 번째) 등 쿠팡 경영진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첫날인 3월 11일(현지 시각) 상장을 기념해 오프닝 벨을
울리고 있다. [AP]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왼쪽에서 세 번째) 등 쿠팡 경영진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첫날인 3월 11일(현지 시각) 상장을 기념해 오프닝 벨을 울리고 있다. [AP]

    네이버가 이마트와 손잡았다면, 11번가는 글로벌 최대 e커머스 플랫폼인 아마존과 제휴 중이다. 11번가는 2018년 독립법인으로 분사하며 SK텔레콤 자회사로 편입됐다. 현재 e커머스 분야 4위로 밀려나긴 했지만 SK텔레콤의 전폭적 지원으로 운영 면에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SK텔레콤은 7월부터 11번가에서 아마존 상품을 바로 구매할 수 있게 하는 등 11번가를 글로벌 유통허브 플랫폼으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 연장선상으로 G마켓·옥션·G9 등 오픈마켓을 운영하는 이베이코리아 인수 경쟁에도 적극적으로 뛰어들었다.

    그동안 쿠팡과 함께 기업공개(IPO) 계획을 밝혀온 다른 e커머스업체들의 상장 계획에도 관심이 쏠린다. 먼저 티몬은 지난해 4월 미래에셋대우를 IPO 주관사로 선정하고, 전인천 전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영입하는 등 상장 준비에 한창이다. 지난달에는 305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자본결손금을 정리했다. 상장에 성공할 경우 국내 증시에 상장한 첫 온라인 쇼핑몰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을 전망이다. 티몬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를 목표로 상장을 추진 중”이라며 “멤버십 서비스가 3분기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5배가량 느는 등 업계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11번가도 SK텔레콤의 2018년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5년 내 상장” 계획을 언급한 바 있다. 그 밖에도 신세계그룹 SSG닷컴, 마켓컬리 등이 상장 유력 업체로 꼽힌다. e커머스업계 한 관계자는 “쿠팡 상장이 온라인 유통업계 전망에 대한 시각을 호의적으로 변화시킨 건 확실하다”면서도 “누군가 점유율을 높이면 누군가는 그만큼 시장을 내줘야 하는 만큼 e커머스업체 간 자본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포털에서 ‘투벤저스’를 검색해 포스트를 팔로잉하시면 다채로운 투자 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