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40

..

보이는 것은 모두 진실이라는 ‘착각’

인화지 밑에는 찍는 사람 텍스트 깔려 … 이미지 가공 눈치 못 채면 ‘영상 문맹자’

  • 중앙대 겸임교수 mkyoko@chollian.net

    입력2006-06-19 10:5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보이는 것은 모두 진실이라는 ‘착각’

    노동자 동맹.

    “자기들은 지식인의 전형이고, 일반 대중은 무지하다는 전제가 항상 그들의 머릿속에 들어 있는 것이다. 인터넷 첨단시대를 사는 대중은 더 이상 무지하지 않다. 그러니 더는 가르치려 들지 말라. 지금은 근대 계몽시대가 아니다.”

    언젠가 어느 황우석 지지자가 내가 진행하던 방송의 인터넷 게시판에 올린 글이다. 이 글을 쓴 사람은 이제 모든 대중이 문자를 읽을 줄 알고 첨단 인터넷으로 무장했기에 더 이상의 ‘계몽’은 필요하지 않다고 굳게 믿고 있는 듯하다. 이게 그 사람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그래서 언젠가 이렇게 쓴 기억이 난다. “계몽의 과제는 성취되지 않았으나, 계몽의 시대는 지나가버렸다.”

    계몽의 핵심은 대중에게 ‘문자’를 가르치는 데에 있다. 정보와 지식의 전달이 문자로 이루어지던 시절에는 대중이 권력에서 해방되려면 문자를 알아야 했다. 하지만 오늘날 문자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고등학교 졸업자의 80%가 대학에 가는 시대에 ‘계몽’이라는 단어는 심훈이 ‘상록수’를 쓰던 시대를 연상시킬 만큼 낡은 말이 되었다.

    미래의 문맹

    하지만 문맹이 사라진 시대에도 여전히 새로운 유형의 문맹이 존재한다.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문자(text)에서 영상(image)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발터 벤야민은 “미래의 문맹자는 글자를 못 읽는 사람이 아니라 사진을 못 읽는 사람이 될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지식과 정보의 전달이 영상에 의존하는 시대에는 영상을 읽지 못하는 사람이 문맹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동자가 시위를 한다고 치자. 똑같은 사건이라도 다음 날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에는 각기 다른 사진이 실리게 마련이다. 한쪽 지면에는 노동자가 경찰을 구타하는 장면이, 다른 한쪽 지면에는 노동자가 경찰에게 맞는 사진이 오를 게다. 이 사진을 보고 보수신문의 독자는 노동자가 과격하다는 생각을 할 것이고, 진보신문의 독자는 경찰이 여전히 폭력적이라고 믿을 것이다.

    이렇게 사람들은 사진을 세계의 그림으로 착각하곤 한다. 하지만 사진은 세계의 그림이기 이전에 그것을 찍는 사람의 머릿속의 그림이어서, 모든 사진의 바탕에는 찍는 이의 생각이 감춰진 텍스트의 형태로 깔려 있다. 인화지 밑에 깔려 있는 텍스트를 읽지 못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본 영상을 실재라고 믿을 것이다. 이로써 그는 다른 사람이 만든 매트릭스 속에 들어가 그걸 현실로 알고 살아가게 된다.

    이미지의 주술

    똑같은 범죄 현장을 묘사한 이미지라도 사진은 법정에서 증거로 채택되지만, 그림은 대부분 증거가 되지 못한다. 왜 그럴까? 그림과 현장 사이에는 인간의 손이 끼여 있기 때문이다. 손으로 그린 그림에는 조작의 가능성이 있다. ‘manipulation(조작)’이라는 단어의 ‘mani’는 ‘손’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사진 이미지는 인간의 손이 만든 게 아니라 기계의 화학적 작용의 산물일 뿐이다. 그래서 믿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보이는 것은 모두 진실이라는 ‘착각’

    로젠탈.

    카메라의 셔터가 열렸다 닫히는 짧은 순간 인간은 완전히 무력하다. 그렇다고 사진으로 거짓말을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가령 사진을 찍기 전에 세팅(연출)을 할 수도 있고, 사진을 찍은 뒤에는 변형(가공)을 할 수 있으며, 완성된 사진에 엉뚱한 표제(맥락 일탈)를 붙일 수도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림과 달리 사진은 세계를 정직하게 증언한다고 믿기에, 이런 과정을 거쳐 조작된 이미지도 세계의 참모습으로 받아들인다.

    원시인들은 가상을 실재로 착각했다. 그래서 가상의 이미지를 만들어 거기에 작용을 가함으로써 현실을 지배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런 주술적 사유를 깨뜨린 것이 바로 문자 문화의 합리적 사유다. 하지만 우리는 구텐베르크의 은하, 즉 문자 문화의 끝에 서 있다. 다시 영상이 복귀하고 있다. 이 영상을 읽지 못하면 원시인들처럼 가상을 현실로 착각하는 새로운 주술에 빠져들게 될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의 이미지

    먼저 ‘가공’의 예를 보자. ① 사진 속의 인물들은 볼셰비키당의 전신인 ‘노동자 동맹’의 멤버들이다. ② 사진에서는 한 사람이 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스탈린 집권 시기에 사진에서 지워진다는 것은 곧 목숨을 다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반대로 없는 인물을 집어넣는 경우도 있다. 가령 스탈린은 요양 중인 레닌의 독사진에 자신의 모습을 집어넣음으로써 없는 친분을 과시하기도 했다.

    다음은 ‘연출’의 예. ③ 사진은 로젠탈의 작품으로 제2차 세계대전의 승리를 상징하는 유명한 이미지다. 저곳은 이오지마섬. 이 섬을 점령하면 일본 본토에 대한 폭격이 가능했기에 이곳에서 미국과 일본군 사이에 치열한 격전이 벌어졌고, 수많은 희생을 치른 끝에 미군이 마침내 산 정상에 성조기를 꽂는 극적인 장면이다. 하지만 저 사진은 연출된 것이다. 진짜 현장 모습은 ④ 사진이다. 보기에 너무 썰렁하지 않은가?

    보이는 것은 모두 진실이라는 ‘착각’

    베를린 점령.

    ⑤ 사진 역시 제2차 세계대전 승리의 상징으로, 소련군이 독일 제국의회 건물에 소비에트 깃발을 게양하는 장면이다. 이 역시 베를린 점령 3일 후에 병사들을 데려다가 연출해서 찍은 것이다. 이 사진의 작가는 당시 정치보위부에 불려가 이런 소리를 들어야 했다. “동무, 소비에트 군대는 인민의 약탈자가 아니오.” 확대된 ⑥ 사진 속 병사의 양 손목을 보라. 양 손목에 시계가 보인다. 당연히 시계 하나는 지워져야 했다.

    이라크전의 이미지

    이어서 ‘맥락 일탈’의 예. 몇 년 전 스캔들을 일으켰던 ‘공산주의 흑서’(공산주의 학살에 관한 연대기)는 ⑦ 사진을 소련에 있는 강제수용소라고 소개했다. 하지만 ⑧ 사진을 보면 표지판의 키릴문자 위로 핀란드어 문구가 보인다. 원래 저 사진은 소련 영토로 진주한 핀란드군이 전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러시아 주민들을 소개해놓은 장면이라고 한다. 표제를 엉뚱하게 붙이자 졸지에 소련의 강제수용소로 둔갑한 경우다.

    보이는 것은 모두 진실이라는 ‘착각’

    공산주의 흑서.

    옛날에만 이런 짓을 한 게 아니다. ⑨ 사진은 1차 이라크전쟁 당시 쿠웨이트를 탈출한 어느 간호사의 기자회견 모습이다. 그는 쿠웨이트를 침공한 이라크 병사들이 병원에 들어와 신생아를 학살했다고 증언해 세계인을 경악시켰다. 하지만 이 여인은 사건 당시 이라크에 있지도 않았고, 더군다나 간호사도 아니었다고 한다. 그럼 누구인가? 주미 쿠웨이트 대사의 딸이었다. 세계는 한 편의 연극을 실재로 착각했던 것이다.

    하지만 귄터 안더스가 지적한 것처럼 더 중요한 조작은 연출, 가공 혹은 표제를 붙이기 전에 이루어진다. 즉 정작 중요한 조작은 사진으로 무엇을 보여주고, 무엇을 보여주지 않을 것인가를 결정할 때 이미 시작되는 것이다. 가령 우리는 미국 슈워츠코프 장군의 브리핑 덕분에 이라크전쟁을 마치 컴퓨터게임처럼 체험해야 했다. 이로 인해 우리가 보지 못한 것은 미군의 폭격으로 새까맣게 타 죽은 이라크 병사의 시체다.

    새로운 주술의 시대

    보이는 것은 모두 진실이라는 ‘착각’

    이라크 간호사.

    전쟁을 어떤 이미지로 표상하느냐에 따라 ‘전쟁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판단이 달라질 것이다. 1차 이라크전쟁을 일종의 컴퓨터게임으로 체험했던 미국 국민들은 2차 이라크전쟁을 너무나도 쉽게 결정했다. 그리고 그 파국적인 결과를 우리는 지금 생생하게 보고 있다.

    이렇듯 사진은 세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누군가 만들어놓은 영상의 매트릭스를 현실로 알고 살아가고 있다.

    사진의 이미지에 속는 것은 글자를 모르는 사람들만이 아니다. 아무리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도, 사진의 바탕에 깔린 텍스트를 읽지 못하면 영상의 주술에 걸릴 수밖에 없다. 오늘날 ‘문자의 계몽’은 낡은 말이 되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계몽 자체가 필요 없어진 것은 아니다. 새로운 매체는 새로운 문맹을 낳는다. 문자문맹이 사라진 시대의 새로운 문맹은 ‘영상문맹’이다. 그리고 이들을 위한 영상 계몽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