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00

2005.08.30

달마가 ‘진리가 없다’ 말한 까닭은

  • 동아일보 문화부 기자

    입력2005-08-25 16:1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난주 조주 선사에 이어 내친김에 중국 선사들 이야기를 몇 차례 소개하고자 한다. 알다시피 불교의 발상지는 인도지만 선은 중국에서 크게 발전했다. 우리나라 선불교 전통의 원형도 중국 것을 따르기 때문에 중국의 선맥(禪脈)을 이해하는 일은 한국 선불교의 전통에 가까이 가는 일이기도 하다.

    중국에 선불교를 전한 이는 인도인이다. 우리 귀에도 익숙한 이름, 달마 스님이 바로 그다. 스님들의 생활을 소재로 해 흥행에 성공한 국내 영화 ‘달마야 놀자’ ‘달마야 서울 가자’ 등에도 이 달마 스님의 이름이 인용됐다.

    달마는 본래 산스크리트어로 ‘다르마(Dharma)’, 즉 법(佛法)이라는 뜻이다. 한자로 쓰는 ‘달마(達磨)’는 산스크리트어 발음을 한자로 음역한 것이다. 영어로는 스님들의 법문을 ‘달마토크(Dharma talk)’라 한다.

    어쨌든 인도인인 달마 스님은 스승에게서 중국에 가서 선을 가르치라는 ‘선의 국제화’를 지시받는다. 이에 달마 스님은 서기 527년 바다를 건너 천신만고 끝에 중국 남부 광저우라는 곳에 도착한다. 인도에서 사람이 와 불법을 전하고 있다는 소식은 곧 왕에게까지 알려진다. 당시 광저우를 통치하던 양나라 왕 무제는 독실한 불교 신자였다.

    중국 불교는 기록에 의하면 AD 1세기 후한 명제 때 처음 전래되었다고 한다. 그 후 달마대사 이전 500여년 동안 단단한 뿌리를 내린다. 그러나 중국 불교 전파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것이 아니었다. 인도불교의 무진장한 경전들이 번역자의 개성과 취향에 따라 두서 없이 한역(漢譯)되었고, 마침내 ‘불교의 진정한 가르침이 무엇이냐’에 대해 논란이 분분하던 참이었다.



    달마 스님은 이런 가운데, 부처의 팔만사천법문을 특정한 이론이나 경전에 의거한 가르침이 아닌 ‘마음’ 하나로 귀일(歸一)시키는 ‘생각의 혁명’을 일으켰다. 그것이 바로 선불교의 핵심이다.

    어쨌든 달마 스님을 초청해 친견하기에 이른 양나라 왕 무제는 자랑스럽게 그에게 이렇게 물었다.

    “이 몸은 즉위 이래 수많은 절을 짓고 경전을 간행했으며 교단을 후원했습니다. 어떤 공덕이 있습니까?”

    스님의 입에서 흘러나온 말은 뜻밖의 한마디, “무(無)”였다. 전혀 공덕이 없다는 것이었다.

    왕 무제는 다시 물었다.

    “그렇다면 붓다의 으뜸가는 성스러운 진리는 무엇이오?”

    스님은 이 말에도 역시 “무(無)”라고 답한다[경전에 따르면 ‘확연무성(確然無聖)’, 즉 ‘확실하고 성스러운 진리 같은 것은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 한다].

    맥빠진 표정을 하고 있는 왕을 뒤로하고 달마 스님은 홀연히 궁을 나와 산으로 들어갔다. 양쯔강 건너 하남성의 숭산(崇山) 소림굴(少林窟)이라는 곳이었다. 달마 스님은 그곳에서 9년간 면벽(面壁)하여 수행에 전념했다. 그렇다면 달마 스님의 ‘진리가 없다’는 말은 과연 무슨 뜻이었을까? (다음 주에 계속)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