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53

..

유년의 옷 벗고 성장통을 겪다

  • 이준희 기자/ 월간미술

    입력2004-09-15 16:0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유년의 옷 벗고 성장통을 겪다

    금중기&주하연, ‘건조시대’(설치,2004).

    이제는 귀에 익숙한 용어가 된 비엔날레는 2년마다 열리는 국제미술제를 가리키는 말이다. 한국의 ‘문화수도’임을 자임하는 빛고을 광주에서 제5회 광주비엔날레가 개막됐다.

    9월10일 대통령과 문화부 장관을 비롯한 각계 인사가 참여한 가운데 열린 개막식을 시작으로 11월13일까지 65일간 계속되는 이번 비엔날레는 올해로 창설 10년째를 맞았다. 그래서인지 공식 개막 하루 전 내외신 기자단이 참여한 프레스 오픈에 모든 작품의 설치를 완벽히 끝내놓고 매끄러운 진행을 보여줌으로써 좋은 첫인상을 주기에 충분했다. 개막 직전까지 작품을 완성하지 못해 어수선한 분위기를 풍기던 예년의 비엔날레와 사뭇 비교되는 모습이었다.

    42개국 200여명의 작가가 참여한 가운데 열리는 이번 비엔날레의 주제는 ‘먼지 한 톨 물 한 방울’. 전체 밑그림을 그린 예술총감독 이용우씨는 “먼지 한 톨, 물 한 방울은 아주 작지만 생명 현상의 중심에 있으므로 가장 큰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물질이 아니라 정신이자 담론을 상징한다. 동양적 사유 전통에 바탕을 둔 풍부한 인문사회학적 담론의 창출과 함께 시각적 전시 연출을 통한 문화생태학적 미술행위를 제안하고, 특히 관객을 문화생산 활동의 주체로 참여시키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고 주제 선정의 배경과 전시 기획의 주안점을 설명했다.

    유년의 옷 벗고 성장통을 겪다

    위에 민쥔&류더장, ‘낭만주의와 사실 연구’(조각,2003).

    올해 비엔날레의 관람 포인트는 크게 두 가지다. 메인 전시라고 할 수 있는 중외공원 내 비엔날레관에서 열리는 ‘주제전’과 교육홍보관을 비롯한 5·18자유공원과 5군데 광주지하철 역사를 무대로 진행되는 ‘현장들’ 전시가 그것. 먼저 비엔날레관 5개 전시장에서 열리는 주제전은 작가와 일반인을 짝지어 이들이 서로 토론하고 의견을 나누면서 완성한 것이다. 관객과 창작가가 짝을 이뤄 작업을 성사시키는 이러한 기획 의도를 부정적인 측면에서 바라보는 일각의 시선도 없지 않았다. 이것은 자본주의의 권력자이기도 한 소비자(관객)의 입맛에 작품의 질을 맞추려는 불손한 시도이며, 나아가 작가의 창작 행위에 대한 본질을 훼손하는 일이란 이유 때문이다.

    지하철 전시의 식상함 ‘옥의 티’



    그러나 이런 우려 속에서도 주제전에 출품된 작품들은 전반적으로 차분하고 안정된 공간 연출을 보여주었다는 게 전시를 둘러본 관계자들의 중론이었다. 예년에 비해 스펙터클한 분위기의 미디어 영상 작품의 수는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회화와 조각, 설치 같은 비교적 전통적인 형식의 작품이 고루 출품되었다.

    유년의 옷 벗고 성장통을 겪다

    일카 마이어&슈테판 라바누스, 공중정원(설치,2004)

    이와 같은 주제전이 해외작가를 중심으로 동시대 현대미술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는 전시라면, 4개의 테마별로 각각 다른 장소에서 열린 ‘현장들’ 전시는 한국 작가 중심으로 진행되어 우리나라 현대미술의 오늘을 가늠하는 기회가 되고 있다. 2002년 제4회 광주비엔날레에서 처음 전시장으로 사용되면서 강한 인상을 주었던 ‘광주 5·18 기념공원’에서 열리는 ‘그 밖의 어떤 것 마이너리티’라는 제목의 현장전은 광주라는 지역성을 주제로 한 전시다. 그러나 출품작 대부분이 완성도가 높지 않고 전체적으로 어수선한 분위기를 풍김으로써 기획자의 기획 의도가 전시장소의 역사성과 장소성에 함몰되고 있었다.

    물론 이곳이 전시를 위한 정식 공간이 아닌 점을 감안하더라도 다소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마지막으로 광주시내 지하철 역사(驛舍)와 화장실, 그리고 전동차 내부에서 진행된 ‘비엔날레 에코메트로’는 그동안 서울시 지하철에서 여러 번 시도됐던 이른바 ‘지하철 미술’의 리바이벌이었다.

    지하철이라는 대중적 공간을 무대로 한 이벤트성 성격의 이 전시가 광주시민들에게는 새로운 경험이 되었을는지는 몰라도 기획의 컨셉트와 출품작의 수준은 식상함을 넘어 오히려 옥의 티로 여겨질 만큼 기대 이하의 결과를 초래했다.

    유년의 옷 벗고 성장통을 겪다

    김승영&노성태, ‘기억의 방’(설치,2003).

    지난달 오픈한 제2회 부산비엔날레를 비롯해 이천도자비엔날레, 청주공예비엔날레, 미디어_시티 서울 등 최근 몇 년간 국내에서는 비엔날레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경쟁적으로 열리는 이와 같은 문화행사를 마냥 환영만 할 수도 없다. 자본과 경제논리 앞에 너무나도 무력한 국내의 문화 인프라와 관료의 마인드를 생각한다면, 지난해로 창설 100년을 맞은 제50회 베니스비엔날레의 전통과 권위는 우리에게 언제까지나 말 그대로 ‘남의 나라 일’로만 여겨질 테니 말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