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한국의 영어교육은 회화와 독해를 따로, 문법과 단어를 따로 공부하는 식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그런 방법으로 영어의 왕도에 도달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은 많은 국민이 알고 있다. 그럼에도 새롭고 획기적인 영어학습 방법론을 찾지 못한 채 예전 방식을 되풀이해온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한국의 영어교육은 우리말 실력을 그대로 영어 실력으로 바꿔주는 방식이 돼야 하고,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게 필자의 믿음이다. 이처럼 우리말을 영어로 바꿔주는 방법론은 아이나 어른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학습자의 연령과 지식 수준에 따라 접근 방법과 교재 내용이 달라진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어린이 영어교육은 다음과 같은 기본 틀로 진행된다. 첫 단계에서는 우리말 실력을 키운다. 우리말 실력이 어느 정도 정착된 뒤에 영어 학습에 들어간다. 다음은 우리말 실력을 계속 보강해가면서 우리말을 영어로 바꾸는 훈련을 하는 단계다. 이 단계에서 원어민의 어순 감각을 터득하고 살아 있는 문법을 익히게 된다. 마지막으로는 우리말을 거치지 않고 직접 영어의 세계로 들어가는 단계다. 이 단계에 이르면 우리말 학습과 영어 학습을 별도로 해도 서로 상승효과를 일으켜 능숙한 2개 언어 구사자가 되는 토대가 마련될 것이다.
여기서는 한정된 지면상 두 번째 단계를 어떻게 할 것인지 그 방법론을 소개한다. 먼저 다음 우리말 문장을 읽어보자.
(1) 해가 비친다. (2) 너는 더 참는 법을 배워야 한다. (3) 그는 그 새 장비를 작동하는 법을 아는 유일한 사람이다.(4) 그녀는 너무 빨리 말해서 나는 그녀가 무슨 말을 하는지 전혀 알아듣지 못했다.
초등학교 아이들이면 이 정도 문장은 쉽게 구사할 것이다.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목표는 (1)번의 단순구문에서 시작해 (4)번의 복합구문에 이르기까지 손쉽게 영어로 옮길 수 있는 실력을 키워주는 것이다. 초등학교에서 체계적인 영어교육을 통해 복합구문까지 즉각 영어로 바꿀 수 있는 실력을 키운다면 중학교 이후에는 원어민 아이들에 버금가는 실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이제 이 목표를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지 설명해보려고 한다.
1_ 가장 먼저 영어의 발음기호를 가르친다
영어를 처음 접하는 아이들에게 가장 먼저 발음기호를 가르친다. 우리말에 자음 14개, 모음 10개가 있는 것처럼 영어의 모든 자음과 모음을 가르쳐 영어 ‘소리’를 익히도록 한다. 꾸준한 연습을 통해 발음기호만 적어도 능숙하게 읽을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어린이 영어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토대가 된다. 재미있게 발음기호 공부를 할 수 있도록 그림 등 시각교재를 활용하면 좋을 것이다.
발음기호에 친숙해진 뒤에는 알파벳을 가르친다. 발음기호와 알파벳을 충분히 익힌 아이는 영어세계로 들어갈 일차적인 준비가 완료됐다고 봐도 좋다.
2_ 우리말을 영어로 어떻게 바꾸나
우리말 실력을 영어 실력으로 바꾸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우리말에서 영어로 건너가려면 다음 3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1) 우리말 어순을 영어 어순으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 (2) 영어 단어를 알아야 한다. (3) 영어 문법을 알아야 한다. 우리말을 영어식 흐름으로 바꾸면서 영어 구문론을 체득하고, 그 틀 안에서 단어와 문법(품사론)을 터득하면 우리의 영어교육은 살아 있는 교육이 될 것이다.
① 우리말 어순을 영어 어순으로 바꿔야
한국인은 일본어를 비교적 쉽게 배운다. 왜 그럴까?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말과 일본어의 어순이 같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인이 영어를 어려워하는 가장 큰 이유는 두 언어의 어순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른 정도가 아니라 아예 정반대다. 그러니 우리가 영어에 쩔쩔매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 영어 학습의 한 가지 중요한 단서가 나온다. 우리가 일본어를 습득하는 것처럼 어렵지 않게 영어를 정복하려면 우선 원어민의 어순 감각부터 익혀야 한다는 점이다. 영어의 어순 감각이 생기면 일본어를 공부하는 것처럼 영어도 낯설게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다음 우리말 문장을 읽어보자.
‘다람쥐는 이빨로 호두를 깐다.’
이 문장의 어순을 흩뜨려 영어식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다람쥐는/ 깐다/ 호두를 / 이빨로’
영어 어순으로 바꾸면 이렇게 이상한 글이 되지만, 이것이 영어의 어순이다. 영어 원어민들은 모든 일을 이 같은 흐름으로 생각하고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부터 우리가 해야 할 첫 번째 작업은, 어떤 우리말 문장이 주어져도 이를 즉각 영어식 어순으로 바꿀 수 있는 감각을 키우는 일이다.
아이들에게도 영어 어순 감각을 연습시켜야 한다. 어려서부터 영어 어순에 익숙해지면 영어 세계로 쉽게 들어갈 수 있다. ‘주어-동사’의 가장 단순한 구문에서 복잡한 구문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영어식 어순을 훈련하도록 한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두 언어의 어순 감각이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
어린이는 영어학습에 흥미를 잃기 쉬우므로 놀이와 접목한 공부방법이 효과적이다.
간혹 우리말 어순을 영어 어순으로 바꾸는 훈련을 하면 우리말 감각에 혼동이 생기지 않을까 우려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그럴 필요가 없다. 우리말 어순 감각은 주(主)언어 감각이 되고, 영어 어순은 보조 어순 감각으로 공존하게 될 것이다.
우리말과 영어 어순의 차이는 크게 다음 3가지다.
(1) 영어는 주어(주부) 다음에 반드시 동사가 온다. 한국어에서는 동사가 문장의 맨 끝에 오지만, 영어는 주어 다음에 동사가 온다.
우리말 어순 : 그는 10분 전에 갔다.영어 어순 : 그는 갔다 10분 전에
(2) 동사는 그 뒤에 보어, 목적어, 수식어를 달고 온다.
① 그녀는 -이다(동사가 보어를 필요로 한다) ② 새들은 -버렸다(동사가 목적어를 필요로 한다) ③ 나는 -주었다(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를 필요로 한다)
(3) 형용사구와 형용사절이 수식하는 단어 (선행사) 뒤에 온다. 우리말에서는 형용사구와 형용사절이 수식하는 단어 앞에 오지만, 영어에서는 반드시 뒤에 온다. 이 차이가 한국인의 언어 감각을 뒤집어놓는다.
우리말 어순 : (내 뒷줄에 있는) 여자가 심하게 기침했다.영어 어순 : 여자가 (내 뒷줄에 있는) 기침했다 심하게
이 영어 어순에서 형용사절이 수식하는 단어 뒤에 오는 것으로 끝이 아니다. 형용사절 안에서 또 한 번의 어순 조정이 일어난다. 동사가 위치 이동을 하기 때문이다.
여자가 (있는 내 뒷줄에) 기침했다 심하게
우리말과 영어 어순의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은 이 3가지다. 이 3가지 차이가 우리 몸으로 체득돼야 한다. 이것을 훈련하면 모든 영어 문장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깨닫게 되고, 복잡한 구문도 어떻게 형성되는지 감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② 영어 단어를 알아야 한다
어순 감각이 생겨도 단어를 모르면 영어 세계로 들어갈 수 없다. 위 문장에 들어 있는 ‘다람쥐’ ‘깐다’ ‘호두’ ‘이빨’ 등이 영어로는 뭐라고 하는지부터 알아야 한다.
평소에 영어 단어를 많이 암기하고 있으면 어순이 바뀜과 동시에 우리말 단어가 영어 단어로 신속하게 전환될 것이다. 여기서 효과적인 영어 단어 암기 방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발음기호와 오리지널 소리로 단어를 외운다 : 우리 아이들은 한국어를 배울 때 그림 카드를 가지고 엄마를 따라 단어를 익혔다. 이때 우리는 우리말 ‘소리’와 그림을 연결하는 연습을 했다. 영어 단어를 외울 때에도 발음기호와 오리지널 소리를 통해 외워야 한다. 철자는 눈으로 익히면 된다. 아이들이 발음기호와 소리로 단어를 외우면 어른들이 단어를 외우는 속도보다 훨씬 빠를 것이다.
② 상황을 통해 단어를 외운다 : 그림 카드를 통해 외울 수 있는 기본 명사나 동사를 어느 정도 외운 다음에는 상황을 통해 단어를 외운다. 상황은 한국어를 갖고 재구성한다. 한국어로 이미 알고 있는 단어나 개념인 경우 영어로 넘어가는 일이 한결 수월해진다. 한국의 초등학교 학생이 과학 수업시간에서 생태계·환경·서식지·무생물 등의 용어를 배웠다면, 그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를 외우는 것은 간단한 일이다.
③ 영어 문법을 알아야 한다
우리말을 영어 어순으로 바꾸고 단어를 외웠다. 그런데 우리말 단어를 영어 단어로 단순 치환해서는 영어 문장이 되지 않는다.
다람쥐는 깐다 호두를 이빨로squirrel crack nut tooth
마지막 한 단계를 더 거쳐야 한다. 영어 문법이다. 문법이란 단어가 문장 안의 자기 위치에서 각자 어떤 형태를 취해야 하는지 사전에 정해놓은 법칙이다. 문법을 모르면 정확한 영어의 세계로 들어갈 수 없다.
문법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말들이 많다. 문법 무용론을 말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그것은 영어라는 언어를 잘 모르고 하는 소리일 뿐이다. 문법을 제대로 알아야 훌륭한 영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음은 상식이다. 다만 문법을 살아 있는 법칙으로 체득해야 한다. 달리 말해 문법 지식이 즉각적으로 실전 현장에서 적용되도록 해야 한다.
이 문장에서 우리가 알아야 할 문법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문법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영어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Squirrels crack nuts with their teeth.
지금까지 우리말에서 영어로 건너가는 과정을 설명했다. 영어 세계로 들어가기 위해서 3단계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영어 어순 감각, 단어 및 문법이다.
우리말에서 영어로 건너가는 과정은 가장 단순한 구문에서 복잡한 구문까지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것을 영어교육 과정에 반영하는 것이다. 아이들이 초등학교 시절에 단순구문에서 복잡구문까지 우리말을 영어로 바꾸는 학습을 받으면 영어의 세계가 열리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 두 개의 문장을 예로 들어 학습 패턴을 설명해보기로 한다.
경기 용인시 에버랜드에서 열린 `경기도 겨울영어 캠프`에 참가한 어린이들이 원어민 선생님과 함께 모의화폐로 물건 구입하기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읽기 학습 역시 간단한 구문에서 점차 복잡한 구문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주어-동사’의 구문을 공부할 때에는 ‘주어-동사’의 어순을 갖고 있는 영어 문장들을 해석하도록 하고, ‘주어-동사-목적어’의 구문을 공부할 때에는 같은 어순의 영어 문장을 해석하도록 연습한다.
행간 독해 학습도 단순구문에서 시작해 복잡구문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학습을 필요로 한다. 복잡구문에 이르기까지 행간 독해 학습이 완료되면 영어 독해의 세계로 직접 들어가서 자유자재로 실력을 키울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우리말 도움 없이 영어를 영어로 이해할 수 있다. 그 다음부터는 당사자의 노력에 따라 원어민처럼 영어를 읽고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영어 어순 감각을 가지고 영어를 독해하는 경지에 오르는 것이다.
예)1) The boat leaks. 그 배는 샌다. 2) He opened another shop last month.그는 열었다 (무엇을?) 다른 가게를 (언제?) 지난달3) She finally consented to marry him.그녀는 마침내 동의했다 (무엇을?) 결혼할 것을 (누구와?) 그와4) We rejoiced when we heard that Grandmother’s operation was successful.우리는 기뻤다 우리가 들었을 때 (무엇을?) 할머니의 수술이 ~이었다는 것을 성공적인
4_ 소리 영어 학습
지금까지 설명한 영어 학습 과정은 모두 소리영어와 병행해야 한다. 즉 학습의 전 과정은 발음기호와 소리를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 아이들이 알고 있는 우리말 혹은 하고 싶은 말을 영어로 바꾸는 실력을 키울 수 있으면 영어회화도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될 것이다.
구체적인 교재가 없어 실감이 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영어 학습 방법론에 기초한 교재들이 만들어지면 어린이 영어 학습에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확신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