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2일 정부와 한나라당은 당정협의를 열어 4월부터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부활하는 대신 분양가 상한제를 3년 만에 폐지하기로 합의했다. 4월부터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는 40%, 이를 제외한 서울 지역은 50%, 인천·경기는 60%의 DTI 규제를 적용받는다. 정부는 지난해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위해 DTI를 한시적으로 완화한 바 있다. 건설업계는 분양가 상한제 폐지로 주택 공급이 활성화되면 전세난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며 반겼지만, 한나라당 내부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민주당이 당론으로 반대해 실제 시행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부동산 분양가 상한제를 풀되 서울 강남 3개 구를 제외하는 수정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또한 취득세 인하를 두고 서울시·경기도가 강력하게 반발하면서 3·22 대책을 둘러싼 여진은 계속되고 있다. 쏟아지는 대책으로 부동산 냉기 가실까.
방사능 누출 일본 먹을거리 불안 확산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누출된 방사성 물질로 일본 농산물에 이어 수산물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3월 23일 후쿠시마 현에서 재배된 시금치, 브로콜리 등 채소 11종류에서 기준치를 넘는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수돗물 오염도 심각해 후쿠시마 현 밖 전국 9개 지역 수돗물에서 미세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 일본 정부는 불안감이 확산되자 “채소, 바닷물, 수돗물에서 검출된 방사성 물질이 인체에 위험한 수준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국내 유통업계도 일본 원자력발전소 사고와 관련해 일본산 일부 식품 판매를 중단하는 등 영향을 받고 있다. 무너지는 ‘MADE IN JAPAN’ 신화.
막장으로 치닫는 MBC 나가수

1월 출생아 4만7500명…9년 만에 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