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01

..

상대 마음에 주파수 맞추기

  • 김찬호 한양대 강의교수

    입력2005-09-02 11:1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상대 마음에 주파수 맞추기
    얼마 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할 기회가 있었다. 어느 시민단체가 지방에 사는 아이들을 데리고 서울을 견학하는 과정에서 내게 서울에 대해 이야기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100여명의 아이들이 강의를 듣기 위해 국회의사당에 모였다. 마침 강의실에서 난지도가 보이기에 쓰레기 문제로 말문을 열어 북한산과 한강 등 주요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거기에 얽힌 역사와 사람들의 생활 모습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서울에 처음 온 아이들이 많아서 그런지 비교적 잘 집중했다. 강의가 끝나고 질문 시간이 되자 여러 명이 손을 들었는데, 질문들은 이러했다. “도시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한국의 헌법은 무엇을 바탕에 두었나요?” “요즘 건물들을 짓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질문들의 공통점은 내 강의 내용과 별로 관련이 없다는 것, 그리고 매우 원론적이고 추상적이라는 점이다. 머릿속 정보들을 샅샅이 뒤지면서 하나씩 대답해주는 동안, 나는 지식검색 엔진이 되어버린 듯한 기분이 들었다.

    그날의 대화는 오랫동안 화두가 됐다. 아이들은 내 강의를 열심히 듣고서도 왜 거기에서 질문을 끌어내지 않았을까. 또 이틀 동안 서울을 견학하면서 생긴 궁금증은 없었을까. 아이들은 정말로 뭔가 알고 싶어서 그런 질문들을 던졌을까. 혹시 어려운 질문을 함으로써 똑똑해 보이고 싶어했던 것은 아닐까. 아니, 그보다는 교육과정에서 형성된 학습 프로그램이 더 근본적인 원인이 아닐까.

    어떻게 보면 이것은 어른들의 문제이기도 하다. 우리는 구체적인 경험과 대상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훈련을 받지 못했다. 많은 정보를 머릿속에 입력하기만 했지 생각하는 힘은 키우지 못했던 것이다. 사물화된 지식을 최대한 저장하여 단답형의 회로로 재빨리 인출하는 게임에 길들여지는 동안, 유연하고 폭넓은 사고의 공간을 확보하지 못했다. 그리고 스스로 질문을 만들어내지 못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구체적인 사고방식이다. 눈에 보이고 일상 속에서 체험하는 것들을 실마리로 세상의 원리를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이다. 그런 점에서 구체성과 추상성은 서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인 것을 제대로 파고들면 고도의 추상적 개념에 이를 수 있다. 또한 추상화하는 능력이 뛰어나면 구체적인 것의 본질을 정확하게 꿰뚫을 수 있다.

    만일 그러한 사유의 왕복 통로가 빈약하면, 구체적인 것은 단편적인 현상들에 매몰되고 추상적인 것은 막연한 관념으로 흩어져버린다.



    일상의 대화에서도 구체성은 매우 중요하다. 상투적이고 모호한 질문은 대화를 진부하게 만든다. “어떻게 지내세요?”보다는 “얼마 전 시작한 테니스 잘 되세요?” “최근에 본 영화 중에서 어떤 영화가 좋았어요?” “전에 편찮으시다고 했는데, 이젠 괜찮으세요?” 등의 질문을 받을 때 대화에 활력이 붙는다. 인간관계란 타인에 대한 관심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관심이 구체적일수록 그만큼 관계도 깊어진다. 부모와 자녀 사이도 마찬가지다. 모처럼 자녀와 둘러앉은 자리에서 “요즘 학교생활 어때?” “공부는 잘 되느냐?”는 식의 뻔한 질문은 재미없다. 캠프에 다녀온 아이에게 “재미있었어?”라는 성의 없는 질문을 던지면 대화는 일문일답으로 종결되게 마련이다.

    이는 화술이나 화법의 문제가 아니다. 상대방의 내면에 주파수를 맞추면 신선하게 말문을 열 수 있다. 자녀에게 건네는 질문을 바꿔보자. “오늘 수업에서 들었던 이야기 가운데 가장 재미있었던 것 하나만 들려줄래?” “작년 캠프 때는 시설이 엉망이어서 고생 많았는데, 이번에는 괜찮았니?” 이 정도만 돼도 말길은 역동적으로 이어진다. 대화의 초점이 잡히면서 마음의 에너지가 집중되는 것이다.

    창의성과 소통 능력이 점점 중요해지는 시대, 대화를 통해서 사유의 즐거움을 키워보자. 삶과 사물에 대한 구체적인 관심, 존재의 여백을 탐색하는 질문으로 배움의 기쁨을 만끽하자.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