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은 ‘외자(外資)는 곧 개혁의 파트너’라는 외자 순기능론이 지배적 여론으로 자리잡으면서 기업이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멈추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이 교수는 “지금과 같은 자유방임적 외자 지배가 지속 강화될 경우 자칫 한국 경제는 중남미 수준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 기업의 주요 주주가 된 외자가 단기 이윤에 집착하고, 이로 인해 적극적인 중장기 투자가 축소되며, 경제 살리기를 위한 정책 수단을 잃어버린 정치권이 포퓰리즘적 경향을 보이는 것이 그 증거”라는 것이다.
이 교수는 “그런 만큼 재벌의 지배권을 보장하는 대신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회계 투명성 확보나 지배구조 개선 목표는 주주 이익 강화일 뿐이므로, 기업의 진정한 사회적 책임이랄 수 있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오히려 재벌과의 ‘딜’을 통한 사회 대타협이 시급하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재벌의 목적은 물론 이윤 극대화인 것은 맞다. 그러나 외자로부터 경영권 위협을 받는 지금 상황에선 ‘거래’에 응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아울러 “사회 대타협은 정부의 수장과 재계의 리더가 협의할 문제이며, 합의 후 각 리더는 자신의 집단에 돌아가 이를 추인받은 형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