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엽기적인 그녀’로 관객들을 한바탕 웃음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던 곽재용 감독이 이제 관객을 눈물바다로 안내할 참이다. 전작의 여세를 몰아 야심차게 들고 나온 ‘클래식’은 자극적인 최루물이다. 그러나 나름대로 격조를 갖춰 눈물샘을 자극하되 상투적이지 않다.
‘클래식’은 사실 한마디로 규정하기가 힘든 영화다. 물론 장르로 볼 때 ‘클래식’은 정통 멜로드라마의 범주에 속한다. 이 점은 관객으로 하여금 어느 정도 마음의 준비를 하게 만든다. 최소한 손수건 한 장쯤은 적실 슬픈 사랑의 이야기가 펼쳐질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은 무척이나 유쾌하다. 아니 ‘엽기적’이라고 해야 더 적당할지 모르겠다. 곽감독이 전작인 ‘엽기적인 그녀’에서 웅변적으로 보여주었던 그 엽기성이 ‘클래식’을 이끌어가는 주된 색깔이기 때문이다.
곽감독은 전작 ‘엽기적인 그녀’에서 ‘엽기적’이란 것이 꼭 흉물스럽고 기괴하고 변태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줬다. 그에게 있어 엽기적이란 것은 끔찍하게 귀여워 죽겠다는 역설적 표현이나 다름없었다. 곽감독은 사전적 통념을 멋들어지게 해체함으로써 엽기적인 그녀를 ‘사랑스런 그녀’로 만들었던 것이다. 이 엽기 코드가 ‘클래식’에도 고스란히 이어진다. 차이가 있다면 전작의 코믹한 엽기성이 이번엔 멜로적 엽기성으로 바뀌었다고 할까.
‘클래식’의 엽기적인 그녀는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신예 손예진이다. 정통 멜로물에 흔히 등장하는 청순가련형의 이미지에 딱 들어맞는 마스크가 아닐까 싶다. 특히 손예진의 해맑은 웃음은 단연 압권이다. 그래서 제아무리 가슴 저미는 사랑의 상처라도 그녀의 미소 앞에서는 쉽게 치유되고 말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세대를 넘어선 사랑의 부활, 혹은 사랑의 유전을 이야기하고 있는 이 영화에서 이런 청순가련형 인물은 수많은 인고의 세월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외유내강형이기도 하다.
영화의 성패 여부는 배우의 스타성과 극중 캐릭터의 이미지가 얼마나 들어맞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에 곽감독은 그 점에 특히 신경을 쓴 것으로 보인다. 아무리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배우라고 할지라도 극중 배역과 겉돌면 ‘말짱 도루묵’이다. ‘엽기적인 그녀’에 출연하기 전 전지현은 CF계의 요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출연한 영화마다 실패했다. 심지어 이현승 감독의 야심작인 ‘시월애’에서는 이정재와 호흡을 맞췄는데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전지현의 스타성이 기본적으로 발랄함과 귀염성에서 비롯된 것인데 영화 속 캐릭터는 오히려 청순가련형 쪽이었던 탓이다. 곽감독은 ‘클래식’에서 그 점을 놓치지 않았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이 있다. ‘엽기적인 그녀’에서도 패러디로 잠깐 등장했지만, ‘클래식’은 어찌 보면 황순원의 단편소설 ‘소나기’를 대하드라마로 각색한 느낌이 든다. ‘소나기’는 제대로 열매 맺지 못한 지고지순한 사랑의 감정을 원형적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그 이후가 궁금해지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만약 그 소녀가 원작처럼 죽지 않았더라면, 그녀가 죽지 않고 살아 또 다른 사랑 이야기를 펼치고 있다면 그녀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봄직하지 않은가?
‘클래식’은 청춘의 열정을 다룬 영화다. 첫눈에 반해 타오른 사랑의 감정이 더 이상 태울 가슴이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타오르는 사랑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그러면서도 여느 국산 멜로물답지 않게 스케일이 제법 크다. 월남전부터 유신 말기를 관통하는 현대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 그것이 주제가 아니라 배경에 지나지 않더라도 시대의 고통과 주인공 개개인의 내면적 아픔을 아우르려는 감독의 의도는 평가할 만하다. 그래서 최근 들어 복고적이고 신파적인 분위기를 앞세운 가벼운 코미디물들이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순수주의를 부르짖으며 등장한 ‘클래식’이 예사롭지 않아 보인다.
‘클래식’은 사실 한마디로 규정하기가 힘든 영화다. 물론 장르로 볼 때 ‘클래식’은 정통 멜로드라마의 범주에 속한다. 이 점은 관객으로 하여금 어느 정도 마음의 준비를 하게 만든다. 최소한 손수건 한 장쯤은 적실 슬픈 사랑의 이야기가 펼쳐질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은 무척이나 유쾌하다. 아니 ‘엽기적’이라고 해야 더 적당할지 모르겠다. 곽감독이 전작인 ‘엽기적인 그녀’에서 웅변적으로 보여주었던 그 엽기성이 ‘클래식’을 이끌어가는 주된 색깔이기 때문이다.
곽감독은 전작 ‘엽기적인 그녀’에서 ‘엽기적’이란 것이 꼭 흉물스럽고 기괴하고 변태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줬다. 그에게 있어 엽기적이란 것은 끔찍하게 귀여워 죽겠다는 역설적 표현이나 다름없었다. 곽감독은 사전적 통념을 멋들어지게 해체함으로써 엽기적인 그녀를 ‘사랑스런 그녀’로 만들었던 것이다. 이 엽기 코드가 ‘클래식’에도 고스란히 이어진다. 차이가 있다면 전작의 코믹한 엽기성이 이번엔 멜로적 엽기성으로 바뀌었다고 할까.
‘클래식’의 엽기적인 그녀는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신예 손예진이다. 정통 멜로물에 흔히 등장하는 청순가련형의 이미지에 딱 들어맞는 마스크가 아닐까 싶다. 특히 손예진의 해맑은 웃음은 단연 압권이다. 그래서 제아무리 가슴 저미는 사랑의 상처라도 그녀의 미소 앞에서는 쉽게 치유되고 말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세대를 넘어선 사랑의 부활, 혹은 사랑의 유전을 이야기하고 있는 이 영화에서 이런 청순가련형 인물은 수많은 인고의 세월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외유내강형이기도 하다.
영화의 성패 여부는 배우의 스타성과 극중 캐릭터의 이미지가 얼마나 들어맞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에 곽감독은 그 점에 특히 신경을 쓴 것으로 보인다. 아무리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배우라고 할지라도 극중 배역과 겉돌면 ‘말짱 도루묵’이다. ‘엽기적인 그녀’에 출연하기 전 전지현은 CF계의 요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출연한 영화마다 실패했다. 심지어 이현승 감독의 야심작인 ‘시월애’에서는 이정재와 호흡을 맞췄는데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전지현의 스타성이 기본적으로 발랄함과 귀염성에서 비롯된 것인데 영화 속 캐릭터는 오히려 청순가련형 쪽이었던 탓이다. 곽감독은 ‘클래식’에서 그 점을 놓치지 않았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이 있다. ‘엽기적인 그녀’에서도 패러디로 잠깐 등장했지만, ‘클래식’은 어찌 보면 황순원의 단편소설 ‘소나기’를 대하드라마로 각색한 느낌이 든다. ‘소나기’는 제대로 열매 맺지 못한 지고지순한 사랑의 감정을 원형적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그 이후가 궁금해지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만약 그 소녀가 원작처럼 죽지 않았더라면, 그녀가 죽지 않고 살아 또 다른 사랑 이야기를 펼치고 있다면 그녀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봄직하지 않은가?
‘클래식’은 청춘의 열정을 다룬 영화다. 첫눈에 반해 타오른 사랑의 감정이 더 이상 태울 가슴이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타오르는 사랑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그러면서도 여느 국산 멜로물답지 않게 스케일이 제법 크다. 월남전부터 유신 말기를 관통하는 현대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 그것이 주제가 아니라 배경에 지나지 않더라도 시대의 고통과 주인공 개개인의 내면적 아픔을 아우르려는 감독의 의도는 평가할 만하다. 그래서 최근 들어 복고적이고 신파적인 분위기를 앞세운 가벼운 코미디물들이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순수주의를 부르짖으며 등장한 ‘클래식’이 예사롭지 않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