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24

2006.02.28

연금술 상상력이여 부활하라!

그 가망 없는 시도 속에 화학 탄생 … 무한한 상상력 시대 금보다 더 귀한 가치

  • 중앙대 겸임교수 mkyoko@chollian.net

    입력2006-02-27 13:1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연금술 상상력이여 부활하라!

    D. 스톨치우스. 연금술의 창시자로 알려진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토스와 양극을 통일시키는 신성한 불.

    ‘현자의 돌’이라는 것이 있다. 일명 ‘철학자의 돌’이라고도 하는데, 평범한 금속을 값이 비싼 금으로 만들어주는 재료라고 한다. 금은 곧 화폐로 통하니 그 돌만 있으면 집에 돈 찍어내는 기계를 가진 셈이 된다. 고대와 중세, 그리고 근대에 이르기까지 인간들은 온갖 물질을 용해하고 합성하고 증류하는 실험을 통해 그 물질의 제조에 도달하려고 했다. 그 가망 없는 노력을 ‘연금술’이라 부른다.

    17세기에 나온 어느 그림을 보자. 언뜻 보면 평범한 그림인데 뭔가 이상한 요소가 눈에 띌 것이다. 정체 모를 입방체가 하늘에 떠돌고, 강물에 떠 있고, 길바닥에 버려져 있으며, 산 위의 암벽에 노출되어 있다. 그 입방체가 바로 현자의 돌을 만드는 재료라고 한다. 한마디로 현자의 돌을 만드는 데 특별한 재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재료는 도처에 널려 있다. 이것이 이 그림이 던지는 메시지다.

    문제는 세계에는 너무나 많은 물질들이 널려 있다는 것. 그중 어느 것이 현자의 돌(lapis)의 재료인가? 그것을 알아내려면 역시 온갖 물질들을 끓여보고 태워보고 섞어보고 증류하고 합성해볼 필요가 있다. 영국의 과학자 로버트 보일이 ‘회의적 화학자’(1661)에서 원소의 개념을 분명히 함으로써 연금술은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지지만, 오늘날 우리는 이 가망 없는 시도 속에서 오늘날의 화학이 탄생했음을 알고 있다.

    신성한 지식

    연금술 상상력이여 부활하라!

    미카엘 마이어, ‘아틀란타 푸가’(1618). 현자의 돌의 재료는 도처에 있다.

    연금술이라는 발상의 토대가 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이다. 그의 관념에 따르면 세계는 물, 불, 공기, 흙의 네 원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이 어떤 비율로 결합하느냐에 따라 세상의 온갖 다양한 사물이 만들어진다. 재미있는 것은 모든 것은 완전함을 갈구한다는 그의 관념. 그렇다면 모든 비천한 금속들은 최고의 완전함, 즉 금이 되기를 갈구하지 않겠는가. 바로 그것이 모든 금속의 꿈이자 동시에 연금술사들의 꿈이기도 했다.



    ‘우주의 영혼’이라는 스토아학파의 개념도 연금술 성립에 도움을 주었다. 모든 피조물은 이 신성한 영적 물질(pneuma)에서 나왔다. 그 영적 물질은 무수한 물질의 잠재 형상을 갖고 있으며, 각 물질의 형상은 끊임없는 변화의 상태에 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옮겨가는 이 자연적 과정을 인위적으로 연출할 수는 없을까? 바로 이 발상에서 연금술의 상상력이 나온다.

    또 하나의 근원은 그노시스 이론. 교회는 인간을 원죄의 결과로 타락한 존재라고 가르친다. 하지만 그노시스파에게 인간은 원래 신성하며 타락한 세상에 일시적으로 추방된 존재다. 인간은 그노시스 경험, 즉 과거에 자신이 신성했던 시절의 지식 내지 기억을 되찾는 수련을 통해 다시 천상으로 날아오를 수 있다. 물질만 조작하는 화학과 달리 연금술에는 이렇게 영혼의 정화로써 불멸에 도달한다는 고대의 존재미학이 있다.

    연금술 상상력이여 부활하라!

    하인리히 쿤라트, ‘에메랄드 평판’(1606). 연금술사들의 사도신경.

    한동안 잊혀졌던 고대의 연금술의 기억을 되살려낸 것은 아랍인들. 연금술에 실험화학이 가미된 것 역시 이들을 통해서였다. ‘알코올’ ‘알칼리’ ‘나트륨’ ‘나프타’와 같은 물질의 이름이 아랍어에서 유래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일이다. 이제까지 얘기한 것은 요약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에 스토아학파의 효모가 가미되고, 후에 그노시스교의 신비주의가 섞이고 다시 아랍 과학자와 철학자들의 생각에 의해 걸러진 이론이 서구 연금술 이론이다.”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토스

    서양 연금술의 전설적 창시자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토스.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헤르메스가 이집트로 건너가 거기서 발명의 신인 토트와 결합되어 형성된 신화적 인물이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모두 3만6000권의 원전을 집필했다고 한다. 한마디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인간에게 지식을 전해준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거기에는 물론 후에 모든 연금술사들에게 ‘바이블’이 된 저작도 포함되어 있었다.

    ‘에메랄드 평판’이라 불리는 이 한 페이지 남짓한 글의 기원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전설이 전해진다. 일설에 따르면 알렉산더 대왕이 발견했다고도 하고,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가 어느 동굴에서 헤르메스의 뻣뻣해진 손과 더불어 발굴했다고도 한다. 실제로는 6~8세기에 씌어진 이 평판은 14세기에 아랍어로부터 라틴어로 번역되어 서구에 널리 퍼졌고, 모든 연금술사들은 자신들의 작업을 이 평판에 기록된 12개의 명제에 꿰맞추려 했다.

    연금술 상상력이여 부활하라!

    아틀란타 푸가의 ‘화학적 결혼’.

    “1. 허구가 아니라 확실하고 진실한 것을 말하라. 2. 물질의 기적을 완수할 때 아래에 있는 것과 위에 있는 것과 같고, 아래에 있는 것은 위에 있는 것과 같다. 3. 한 존재에 대한 한 단어로 모든 사물들이 만들어지는 것처럼, 모든 사물들은 이 하나의 사물로부터 만들어진다. 4. 그의 아버지는 태양이며 그의 어머니는 달이라. 바람은 그것을 자궁에 옮겨주고 그 양분은 흙이라 (…).” 이게 무슨 뜻일까?

    그림을 보자. 네 귀퉁이에 물, 불, 공기, 흙이 보인다. 동그란 부분에서 위는 천상, 아래는 현세다. 해와 달과 별은 천상에도 있고 현세에도 있으며, 모습도 일치한다. 왼쪽 성인의 삼각형은 ‘불’, 오른쪽 인물의 역삼각형은 ‘물’, 이 둘이 합쳐진 별이 바로 모든 것을 금으로 변성시키는 ‘현자의 돌’이다.
    연금술 상상력이여 부활하라!

    현자의 돌(1749).

    그 아래로 현세를 상징하는 어두운 동굴에 아폴로가 뮤즈들을 거느리고 있다. 뮤즈들은 금속, 아폴로는 현자의 돌로 이 금속들을 합성해 만든 현세의 금을 의미한다.

    화학적 결혼

    내가 연금술에 열광한 것은 그 그림들에 매료됐기 때문이다. 가령 ‘Na+Cl=NaCl’이라 표기하는 것을 나트륨을 상징하는 인물과 염소를 상징하는 인물로 의인화해, 이 둘의 사랑으로 묘사한다고 생각해보라. 얼마나 멋진가? “누이와 남동생을 결합시켜 사랑의 잔을 마시게 하라.” 실제로 ‘아틀란타 푸가’(1617)에 나오는 그림은 근친적인 성분을 결합시켜 새로운 물질을 얻어내는 화학반응을 ‘화학적 결혼’으로 묘사하고 있다.

    연금술 상상력이여 부활하라!

    금속의 순교(16세기).

    그럼 거꾸로 ‘NaCl=Na+Cl’로 분해하는 것은 어떻게 표상해야 할까? 화학적 결합과 더불어 연금술에 자주 사용되는 표상이 바로 ‘금속의 순교’라는 개념이다. 화학반응이 끝나면, 전에 있던 금속은 사라지고 그 자리에 다른 금속이 등장한다. 연금술사들은 이를 영적으로 거듭나기 위해 금속이 순교를 하는 것으로 묘사했다. 16세기에 그려진 어느 끔찍한 그림에는 이렇게 씌어 있다. “그의 머리를 자르고 그의 살과 근육을 조각내어 결국에는 그가 벌을 받게 되도록 하라.”

    이런 식으로 묘사하면 우리가 고등학교 화학시간에 외워야 했던 그 지겨운 원소주기율표도 서로 가깝고 먼 인물들의 원무(圓舞)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여기서 무정한 기호로 표기되는 딱딱한 화학의 반응은 사랑과 미움, 결혼과 이혼, 순교와 부활 등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드라마가 된다. 그것은 방금 본 것처럼 화학적 결혼과 같은 멜로일 수도 있고, 금속의 순교와 같은 끔찍한 잔혹극일 수도 있다. 거기서는 심지어 근친상간의 묘사도 허용된다.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히에로니무스 보슈의 초현실주의적 그림도 아마 연금술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의 작품에서는 금속, 식물, 동물, 인간의 명확한 구별이 없다. 금속은 식물로 되고 식물은 동물로, 동물은 인간으로 이행하고, 인간의 몸이 금속과 합쳐지기도 한다. 이렇게 그의 작품 속에서는 세계 전체가 살아 있고, 그 안의 모든 사물이 서로 다른 것으로 이행하면서 유전하는 연금술의 상상력이 깔려 있다.

    풀무 불 속에서

    연금술 상상력이여 부활하라!

    주석과 구리로 금을 합성하는 가속기 다름슈타트.

    전설에 따르면 여러 연금술사가 실제로 현자의 돌을 만들었다고 하나, 물론 믿을 만한 얘기가 못 된다. 하지만 그들의 꿈은 오늘날 실현됐다. 사진은 독일 다름슈타트의 어느 연구소에 있는 가속기인데, 이것을 이용하면 내가 이해할 수 없는 어떤 방식으로 주석과 구리 원소를 금으로 바꿔놓을 수 있다고 한다. 물론 그렇게 금을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이 거기서 나오는 금의 값보다 비싼 게 유일한 흠이다.

    금을 만드는 꿈을 이루지 못했지만 연금술사들의 풀무 속에서 우리는 어쩌면 금보다 귀중한 다른 것들을 얻었다. 그 불 속에서 근대의 화학이 탄생했으며, 집단적 원형을 논하는 융의 정신분석학이 영감을 얻었으며, 또한 예술가들의 초현실주의적 상상력이 타올랐다. 17세기 합리주의를 표방한 근대는 상상력을 배제했으나 다시 근대의 끝에서 상상력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연금술의 상상력은 부활해야 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