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69

2005.01.18

이름 모를 연인들의 정체를 밝혀라

  • 듀나/ 영화평론가 djuna01@hanmail.net

    입력2005-01-14 11:5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름 모를 연인들의 정체를 밝혀라
    공정식 감독의 ‘키다리 아저씨’는 진 웹스터 의 동명 소설에서 ‘익명의 후원자와 나누는 사랑’이라는 기본 아이디어를 따와 21세기 초 한국 멜로드라마에 이식했다. 영화의 주인공 영미(하지원)는 원작 소설의 주디가 그랬던 것처럼 익명의 후원자가 보내주는 돈으로 등록금을 내며 대학을 다닌다. 대학을 졸업하고 방송국 작가가 된 영미는 자신을 도와주는 ‘키다리 아저씨’를 계속 찾는 한편, 같은 직장에서 일하는 준호(연정훈)와 사랑에 빠진다.

    웹스터의 원작 소설과 공정식의 영화를 갈라놓는 것은 서술 기법이다. 영화는, 요양하고 있는 방송국 직원의 집에서 잠시 머물게 된 영미가 그 집 컴퓨터로 날아오는 ‘1년 전에 보낸 편지’를 읽으며 편지 속 연인인 박은혜와 현빈의 모습을 상상하는 부분을 담고 있다. 영미가 이 이름 모를 연인들의 정체를 밝히려고 하는 과정은 키다리 아저씨를 찾고 준호와 연애를 하는 것과 함께 이 영화의 중요한 줄거리 축을 형성한다. 당연한 일이지만, 세 이야기는 끝에 가서 모두 하나로 연결된다.

    이 아이디어는 상당히 생산적일 수도 있지만, 영화는 그 가능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다.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언뜻 보기에 전혀 상관없는 것 같은 스토리 라인이 셋이나 된다면 여기서부터는 고단수의 트릭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감성 멜로’를 선언한 영화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머리를 쓸 생각을 하지 않는다. 영화는 어떤 안전장치도 없이 이야기들을 풀어놓고 그것들이 알아서 자기 문제들을 해결할 때까지 기다린다. 그 결과 영화는 산만하고 설득력이 떨어지며 어색한 이야기들의 조합이 되었다.

    이름 모를 연인들의 정체를 밝혀라
    ‘키다리 아저씨’는 연애 영화로서도 힘이 없다. 세 개나 되는 이야기에 관심이 분산되는 통에 정작 중심이 되어야 할 영미와 준호의 연애 이야기는 알맹이가 담긴 로맨스가 될 시간적 여유를 얻지 못한다. 이들의 이야기는 운명적인 느낌도 없고 아기자기한 달콤함도 없다. 의욕 없는 권투선수가 의무방어를 하듯, 그들은 로맨스 영화를 위해 꼭 필요한 것들만 대충대충 하며 넘어간다. 신이나 정준하 같은 조연 배우들이 자기 할 일을 열심히 하긴 하지만, 마치 ‘캔디’ 만화에서 따온 것 같은 도식적인 조연 캐릭터들 역시 주연을 보조해줄 만한 매력이나 개성을 갖추고 있지는 못하다.

    전체적으로 ‘키다리 아저씨’는 캔디 랜드로 가는 코끼리 열차 같다. 어떻게든 목적지에 도달하긴 하겠지만 관객의 흥미를 유발할 만한 이야기로서의 매력이나 영화적 흥분은 제공해주지 못한다. 가뜩이나 인공적인 구성과 가게에서 사온 것 같은 지루한 설정으로 애를 먹는 영화인데, 그들을 구제해줄 만한 생기마저도 갖추고 있지 못한 것이다.



    Tips

    진 웹스터 (1876~1916) 미국 뉴욕 출신 작가로 ‘패티, 대학에 가다’와 ‘키다리 아저씨’ 등으로 인기를 얻었다. 유머 있는 문체와 미국적 이상주의가 담긴 소설을 썼으며, 마크 트웨인의 조카이기도 하다.




    영화평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