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43

..

탈 많은 CJ “서울환경연합 너무해”

잇단 제품 파동에 불매운동 직격탄 맞고 “모든 것 싸잡아 비난은 부당” 항변

  • 정현상 기자 doppelg@donga.com

    입력2004-07-08 17:1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탈 많은 CJ “서울환경연합 너무해”

    시중에 시판 중인 육가공 제품들에 발색제로 들어 있는 아질산나트륨의 유해성 논란이 일고 있다. 소비자들이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서 물건을 고르고 있다.

    불량 만두소 파동, 보존료(아질산나트륨) 허위 표기, 너비아니 이물질 검출 ….’

    국내 최대 식품기업인 CJ㈜가 요즘 바람 잘 날 없다. 6월 초 불량 만두소 파동 초기 CJ는 자사 홈페이지와 언론을 통해 자사는 문제의 쓰레기 만두소로 만든 만두를 판매한 적이 없다고 했다가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의 발표로 들통나자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해 기업 위신이 추락했다.

    6월16일에는 CJ와 자회사 모닝웰이 환경운동연합 지역 조직인 서울환경연합으로부터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까지 당했다. 햄 동그랑땡 등 육가공 식품에 보존료(방부제)를 첨가했으면서도 하지 않은 것처럼 허위 표기(표시광고 공정화에 관한 법률상 부당한 표시광고 행위)를 했다는 혐의다. 또 아질산나트륨의 사용 금지를 촉구하는 온라인 서명운동도 맞닥뜨렸다.

    6월21일엔 CJ모닝웰 제품 ‘너비아니’에서 이물질이 나왔다는 주장이 제기돼 본사 고객경영실 사람들은 혼비백산했다. 6월8일 저녁 정모씨가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사온 너비아니를 저녁식사 때 먹었는데 이를 함께 먹은 아홉 살 자녀가 새벽에 복통을 일으켜 보관돼 있던 제품을 살펴본 결과 검은색 이물질이 발견됐다는 항의를 받은 것. CJ 측 직원 5명은 다급히 정씨를 찾아가 “한 번만 봐달라”고 읍소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일련의 파동으로 CJ 이미지가 실추되고, 서울환경연합 등에서 자사 제품 불매운동까지 벌이자 내부 직원들은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당하고만 있을 수 없다는 강한 분위기도 형성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CJ 한 관계자는 “우리가 잘못한 사항이 있다면 그만큼 책임지면 되지만, 모든 것을 싸잡아 비난하는 것은 부당하며 참을 수 없다”고 말했다.



    “환경聯 매장도 원산지 미표기로 적발”

    아질산나트륨 허위 표기 등을 계기로 CJ의 주요 10개 제품(백설 설탕·백설 식용유·백설 밀가루·햇반·다시다·스팸·백설 군만두·해찬들 고추장·비트·건강음료 팻다운)에 대한 불매운동이 벌어지자, CJ 지지자들은 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를 방문해 게시판에 비난의 글과 아질산나트륨의 안전성을 알리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심지어 환경운동연합이 직접 운영하는 유기농산물 판매처인 에코생협의 ‘거짓말’에 대해서도 비난하기 시작했다. 불량 만두소 파동이 일어난 당시 에코생협의 거래업소인 ㈜더불어식품이 원산지 미표기로 적발돼 미국산 밀과 중국산 팥 일부를 국내산과 섞어 쓴 사실이 들통났다. 당시 문제가 됐던 제품은 수입통밀쌀을 원료로 한 통밀스낵, 중국산 팥을 쓴 통단팥빵, 갈비빵, 팥찐빵, 보리찐빵 등이었다. 결국 에코생협은 더불어식품의 제품을 믿고 소비자에게 국산이라고 팔아 ‘본의 아닌 거짓말’을 한 꼴이 되고 말았다.

    물론 에코생협은 사건 발생 직후 더불어식품의 제품 판매를 중단하고 사과성명을 낸 뒤 재발 방지를 위한 정밀조사에 들어갔지만, 신뢰를 가장 중요한 바탕으로 하고 있는 생협 조직으로서 이미지에 큰 타격을 받았다. CJ의 한 직원은 “비슷한 일을 당했는데 우리는 에코생협의 제품 불매운동을 할 수 없지만, 환경운동연합은 우리 제품 불매운동을 할 수 있다는 게 억울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가 확대될 것을 우려한 CJ 측은 자사 임직원들이 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에 접속하지 못하게 차단 명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자칫 이런 자존심 싸움이 외부로 알려져 기업 이미지가 더 실추되지나 않을까 우려한 것이다. CJ 홍보실 관계자는 “시민단체와의 공방전은 괜한 오해를 살 우려가 있다”며 “우리는 기업을 계속해야 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아질산나트륨 유해 여부 의견 엇갈려

    골뱅이 포르말린 사건, 불량 만두소 파동 등으로 이미 확인됐듯, 식품관련 기업들에 식품사고는 생존에 직결될 정도로 중요한 문제다. 물론 소비자들은 생명과 건강의 문제이기 때문에 과민반응을 보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언론이나 여론이 좀더 차분하게 반응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탈 많은 CJ “서울환경연합 너무해”

    서울환경연합 회원들이 6월 말 “CJ가 자사 제품에 보존료를 첨가하고도 하지 않은 것처럼 허위로 표기했다”며 불매운동을 펴고 있다.

    예컨대 이번 아질산나트륨 파동도 당분간 논란이 예상된다. 서울환경연합은 고발장에 CJ 등 육가공업체들이 포장지 뒷면 원재료 명과 함량 표시란에는 아질산나트륨이라고 표시한 뒤 앞면에는 ‘무보존료’라고 표시하는 방식으로 허위광고를 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분명 관련 지식이 부족한 소비자들을 우롱하는 행위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아질산나트륨의 섭취와 관련한 주장에 대해서는 이견도 나오고 있다.

    서울환경연합은 5월 말 햄·소시지 등 육가공식품들이 정부의 아질산나트륨 제조 기준치는 충족하고 있지만, 이 기준치가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치와 맞지 않아 소량만 먹어도 하루 섭취 허용량을 넘긴다고 주장했다. 시판되고 있는 일부 제품들의 아질산나트륨 잔존량을 검사한 결과 체중 20kg의 어린이가 1조각만 먹어도 WHO 기준으로 체중 1kg당 0.06mg인 하루 섭취 허용량(ADI·체중 20kg인 어린이는 1.2mg)을 넘기는 양으로 나타났다는 것. 국내 육가공제품 아질산나트륨 제조 기준치는 제품 1g당 0.07mg이다.

    아질산나트륨은 대개 하얀색인 소시지·햄 등 육가공제품을 붉은색을 띠어 먹음직스럽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집어넣는 발색제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것이 방부제 같은 보존료 기능을 하기도 한다. 식중독균의 성장을 억제하기 때문. 그러나 이를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혈관이 확장되고 혈액의 효소운반 능력이 떨어진다. 특히 어린이들은 메트헤모글로빈 환원효소가 부족해 예민하게 반응한다고 한다.

    아주대 장재연 교수(예방의학)는 “아질산나트륨 자체에 독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몸속에 들어가서 ‘아민’과 반응하면 니트로스아민이라는 아주 강력한 발암물질이 생성된다. 그래서 식품에 극히 제한적으로만 사용토록 하고 있다. 이를 반복적으로 다량 섭취하면 구역질·구토 등이 일어날 수 있고, 몸속에 발암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질산나트륨의 독성을 인정하면서도 서울환경연합의 대응이 지나쳤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강릉대 이근택 교수(식품과학과)는 “하루섭취 허용량은 날마다 그 양을 평생 동안 섭취한다고 가정할 경우의 기준치이므로 일시적으로 이 기준을 넘겼다고 해서 반드시 나쁘다고만 할 수 없다”며 “식품의 섭취량 및 섭취 빈도수를 고려하지 않고 인체에 유해하다는 주장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탈 많은 CJ “서울환경연합 너무해”

    아이들이 아질산나트륨이 들어 있는 육가공제품들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건강에 이롭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식약청 관계자도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려는 환경단체의 처지도 나름대로 소중하지만 안전성 문제를 거론할 때는 좀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001년 보건복지부 국민영양조사의 식품섭취량 조사에 따르면 7~12살(평균 체중 30kg)의 1일 섭취량이 ADI값인 1.8mg의 33.9%에 그치고, 성인도 ADI값의 9.7% 수준이라고 한다.

    그동안 식약청은 아질산나트륨 등 식품첨가제의 섭취 정도에 대한 정밀 조사를 벌인 적이 없다. 올 들어 처음으로 ‘한국인의 식품첨가물 일일섭취량 조사 연구’라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데 먼저 올해 과학적 조사방법을 수립하고, 내년부터는 정기적인 조사를 통해 사용 기준 등을 재조정할 계획이다.

    이제 우리 식탁에서 밥과 채소류를 주요 식단으로 하는 전통적인 식생활 문화를 찾아보긴 쉽지 않다. 그 자리를 빵과 고기·패스트푸드로 대표되는 서양식 음식문화가 채우고 있고, 그만큼 첨가제가 많이 들어간 가공식품을 섭취하게 됐다. 그러나 대부분의 식품첨가물은 일반 소비자들에게 이름도 낯설고 유해성에 관한 정보도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제조사와 판매사를 믿고 사먹을 수밖에 없는 소비자 처지에선 CJ와 서울환경연합의 공방이 남의 일 같지 않다. 서울환경연합은 7월3일 현재 CJ 측에 ‘아질산나트륨 프리 선언’ 등 9가지 항목을 제안했고, CJ 측은 조만간 이에 대한 자사의 방침을 밝힐 예정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