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동아 로고

  • Magazine dongA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시사포토

화약 냄새 없는 ‘매향리 봄’을 기다리며…

  • < 사진 / 김성남 기자 > photo7@donga.com < 글 / 황일도 기자 > shamora@donga.com
입력
2004-10-26 15:24:00
  • 작게보기
  • 크게보기

화약 냄새 없는 ‘매향리 봄’을 기다리며…

화약 냄새 없는 ‘매향리 봄’을 기다리며…
매향(梅香). 생각해 보니 매향리는 ‘매화 향기가 가득한 고을’이었던 모양이다. 사격장이 들어서기 전에는 바닷가 모래언덕 위에 매화나무가 줄지어 서 있었다는 주민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사격장 조성공사가 시작되어 나무들이 불도저에 뿌리째 뽑혀 나가기 전까지만 해도 해마다 꽃피는 봄날이면 바닷바람에 실려 매화 향기가 온 마을을 뒤덮곤 했을 것이다.

그 사격장을 에워싼 녹슨 철조망 주위로 2년생 매화 묘목을 심는 것은 매향리에 다시 그 향기가 한가득 불어오기를 바라는 마음 때문이다. 언덕 가득 매화꽃이 만발하던 반세기 전, 미군도 폭격도 분단도 전쟁도 없이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던’ 시절로 돌아갈 수 있다면 하는 바람 때문이다.

화약 냄새 없는 ‘매향리 봄’을 기다리며…

전만규 쿠니폭격장 주민대책위원장이 심은 나무

경기도 화성시 우정면 매향리에 자리잡은 미 공군의 쿠니사격장. ‘매향리’는 어느새 일반명사가 돼버렸지만 하늘을 찢는 폭음과 오발탄에 가족을 잃은 마을 주민들의 아픔은 위로받은 바 없다. 지난 3월29일 김동신 국방장관과 토머스 슈워츠 주한미군사령관이 합의, 서명한 미군 공여지 반환 계획에도 매향리는 포함되지 않았다. 묘목이 자라 매화가 피어나려면 얼마나 긴 시간이 필요한 것일까.



주간동아 329호 (p8~9)

< 사진 / 김성남 기자 > photo7@donga.com < 글 / 황일도 기자 > shamora@donga.com
다른호 더보기 목록 닫기
1392

제 1392호

2023.06.02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