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42

2016.06.15

강유정의 영화觀

아이를 통해 보는 오늘, 나의 성장

윤가은 감독의 ‘우리들’

  • 영화평론가·강남대 교수 noxkang@daum.net

    입력2016-06-13 14:12:53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성장은 하나의 드라마다. 엄마 배 속에 아이가 생기고 자라는 것부터 기적이지만 더 큰 기적은 이 아이가 홀로 세상을 살아가면서 시작된다. 도저히 엄마를 벗어나 자립할 수 없을 것 같던 아이가 어느덧 자신만의 세계를 갖게 된다. 친구를 사귀고, 우정을 쌓고, 상처를 입어 큰 흉터를 갖기도 한다. 그 모든 상처로부터 아이를 지켜주고 싶은 게 부모 마음이지만, 사실 부모가 된 그들도 그런 고통스러운 어린 시절을 지나오지 않았던가. 성장에 대해, 딱 아이들 눈높이에서 이야기하는 영화 ‘우리들’을 보면 우리의 성장, 아이의 성장, 그 많은 성장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된다.

    초등학교 4학년 선(최수인 분)은 큰 문제는 없지만 어울리고 싶은 친구들과 함께하지는 못하는 듯 보이는 아이다. 여름방학이 시작되는 날 반에서 가장 사랑받는 친구 보라(이서연 분)의 생일잔치가 열린다. 선은 초대장을 나눠주는 보라를 물끄러미 바라보지만 보라는 선을 초대할 뜻이 없어 보인다. 그러다 선은 드디어 보라에게서 초대장을 받지만, 악의적 장난일 뿐이다. 기뻐하던 선은 오히려 더 큰 실망감을 느낀다.

    그런 선 앞에 전학생 지아(설혜인 분)가 나타난다. 지아는 선과 둘도 없는 짝꿍이 돼 방학을 함께 보낸다. 엄마는 분식집을 운영하고 아빠는 공장에 다니는 선은 동생 윤(강민준 분)을 돌보는 시간이 많다. 용돈도 풍족지 않다. 또래들이 다 갖고 있는 휴대전화도 없다. 반면 지아는 용돈이 넉넉하다. 문제는 부모가 이혼해 할머니와 지낸다는 것이다. 전학 오기 전 학교에서 받은 상처도 있는 듯하다. 똑똑하고 풍족한 지아는 엄마에게 어리광을 떠는 선을 보면 마음이 불편한 듯하다.

    영화 ‘우리들’은 선과 지아의 여름방학과 개학 후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둘도 없는 친구였던 선과 지아 사이는 지아가 학원에 다니고 보라와 가까워지면서 삐걱거리기 시작한다. 보라는 아이들을 괜히 따돌리기도 하고 상처를 주기도 하는데, 그런 보라가 선을 멀리하자 지아도 보라에게 미움받기 싫어 함께 거리를 두는 것이다.

    단순하게 보면 초등학교 여학생의 왕따에 대한 보고서 같지만 윤가은 감독의 말처럼 이 영화가 다루는 건 사람과 사람 사이 문제라고 보는 편이 옳다. 사람과 사람 관계가 두 사람의 오해 없는 교제이기만 하면 좋겠지만, 사회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지아와 선의 관계는 그런 점에서 사회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어른 사이도 두 사람 관계만으로 깔끔하게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교실이라는 사회 속에 있는 두 아이처럼 어른 사이 관계도 직장이나 동아리 같은 사회 속에서 상대적으로 정립된다.





    그런 점에서 ‘우리들’은 어른이 관념적으로 만들어낸 청소년 영화가 아니라, 진짜 열한 살 소녀의 삶을 보여주는 성장기다. ‘우리들’에 출연하는 아이들은 놀라울 정도로 자연스러운 모습을 영화에 담아낸다. 아이의 눈빛을 담아낸 클로즈업에는 그들에 대한 애정과 악의 없는 다정함이 듬뿍 들어 있다.

    윤 감독은 아이들을 통해 세상의 이면 보기를 워낙 좋아하는 감독이다. ‘우리들’은 그런 아이들의 세계가 당신들, 그러니까 제3자의 세계가 아니라 바로 우리의 공간임을 보여준다. 큰 사건은 없지만 보는 내내 조마조마 마음을 졸이게 되는 이유는 성장이라는 게 얼마나 멀미 나는 경험인지 기억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게 아이들은 자란다. 그 놀랍고도 대견한 성장을 보여주는 영화, ‘우리들’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