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29

..

남북협력사업은 ‘아직도 겨울’

3~4곳 빼놓고 승인 업체 대부분 개점 휴업 … ‘경협 합의서’ 이행 없인 획기적 진전 어려울 듯

  • < 성기영 기자 >sky3203@donga.com

    입력2004-10-27 14:0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남북협력사업은 ‘아직도 겨울’
    임동원 외교안보통일 특보의 특사 파견으로 남북관계 복원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경제협력사업 분야만큼은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정부로부터 남북 경제협력사업 승인을 받아놓고도 5∼8년째 개점휴업 상태인 사업자들이 대부분이어서 또 다른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통일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경제분야에서 남북협력사업 승인을 받은 업체는 모두 23곳이다. 그러나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중 녹십자와 평화자동차, 삼성전자 등 3∼4개 기업을 제외하면 최소한의 사업조차 제대로 벌이고 있는 곳이 전혀 없다. 경제분야 남북협력사업은 1992년부터 승인되기 시작해 1997∼98년에는 무려 29건이나 승인되는 등 절정을 이루었고 지난해에도 6건이 승인된 바 있다(도표 참조).

    그러나 승인이 이렇게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사업 내용은 지지부진한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경제분야 남북협력 승인 사업 중에는 대우가 남포공단에 세웠던 의류공장 같은 사업들도 아직까지 그대로 남아 있다. 95년 협력사업 승인을 받았던 고합의 의류봉제사업, 한일합섬의 봉제·방적사업, 국제상사의 신발사업 등은 각각 해당 기업의 부실화 또는 부도로 사업 자체가 중단되어 버린 경우. 게다가 한화, 코오롱 등 재벌급 대기업에서 합영투자한 사업이든 소규모 수산업체 등에서 수산물 가공사업 등을 위해 투자한 사업이든 간에 승인만 받아놓고 실제로는 사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KOTRA 북한실 김삼식 과장은 “남북협력사업 승인을 받은 사업들 중 경수로 건설사업과 현대의 금강산사업을 제외하면 순수 민간의 투자승인액이 수천만 달러에 불과할 정도로 대북 투자기반은 취약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남북협력사업은 ‘아직도 겨울’
    또한 한때 남북경협 사업의 모범 사례로 꼽혀온 ㈜태창의 금강산 샘물사업은 아예 사업부를 해체해 버렸다. 지난 97년 정부로부터 남북협력사업 승인을 받은 뒤 금강산 온정리에 생수공장을 세워 금강산샘물을 생산해 오다가 북측의 가격 인상 요구로 사업이 중단된 뒤 2년 가까이 아무 일도 하지 못하고 있는 것. ㈜태창은 이미 2001년 금강산샘물 생산을 맡은 식품사업부를 해체했고 550만 달러에 달하는 투자금액도 2001년 반기결산에서 손실처리해 버렸다. 사실상 사업 종결 선언을 한 것이나 다름없는 상태. 태창 관계자는 “중국 내 투자법인을 통한 대북 접촉 등 모든 사업이 중단됐으며 현재는 통일부에 정기 보고서만 제출한다”고 말했다.

    지난 98년 평양에 초코파이 공장을 설립할 계획으로 575만 달러 규모의 남북협력사업을 승인받았던 롯데제과 역시 5년째 아무런 진척도 보지 못하고 있는 경우. 광명성총회사를 사업 파트너로 합영사업을 구상했던 롯데는 중국이나 러시아에서 초코파이가 갖고 있는 인기를 북한 시장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했으나, 결과적으로 공수표만 날린 셈이 됐다. 롯데 관계자는 “당시 경쟁 업체인 동양제과와 중국 시장 등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던 상황에서 장기적 안목에서는 북한 시장 선점에 대한 욕심이 앞섰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시 남북 경협 열기를 타고 너도나도 대북합작사업에 뛰어들다 보니 일부 부작용이 드러나기도 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북한에서는 참깨가 제대로 생산되지 않는데도 북한에 참기름 공장을 세우겠다고 협력사업 승인을 받은 업체도 있다”고 전했다.

    이렇게 합영·합작 사업이 부진하다 보니 최근 들어 협력사업 승인 업체들이 승인 신청 당시의 계획을 모두 수정해 대부분 단순 임가공사업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단순 임가공은 정부로부터 협력사업 승인이 필요하지 않은 분야. 임가공이 남북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최근 들어 30%를 넘어섰다. 상업적 성격을 띠는 거래성 교역만 놓고 보면 단순 임가공이 50% 이상을 차지한다. 따라서 임가공 방식은 지금과 같이 남북 경색 상태가 지속되는 한 당분간 남북 교역의 중심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역시 남북간 기술자 교류 문제가 해결되고 경의선 연결을 통해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지 않는 한 더 이상 진전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KOTRA 김삼식 과장은 “지금은 단순 임가공에 그치고 있지만 앞으로는 설비를 직접 반출해 위탁 가공하는 설비제공형 임가공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볼 때 현재 그나마 경제분야 협력사업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것은 정보기술(IT) 분야의 협력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승인된 경제협력사업 6건 중 4건이 소프트웨어 공동개발을 포함한 IT 분야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중에는 최근 범태평양 조선민족 경제개발 촉진협회(범태)와 함께 조선복권 합영회사를 설립, 인터넷 복권 사이트를 개설해 화제를 몰고 왔던 ㈜훈넷도 포함되어 있다. 다산인터넷 등 벤처기업이 공동출자해 세운 하나비즈닷컴은 남북간 프로그램 공동개발을 내걸고 중국 단둥(丹東)에 프로그램 센터를 출범시키기도 했다. 이 프로그램 센터에는 지난해 8월부터 북한 견습생 30명이 나와 4개월 과정으로 IT 교육을 받고 돌아갔으며 오는 4월 2기생에 대한 교육을 시작할 예정이다.

    남북협력사업은 ‘아직도 겨울’
    이처럼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IT 분야의 협력사업은 초기 투자자금이 적은 데다 중국 등 제3국에서 사업을 시작할 수 있어 북한으로서도 부담이 적은 것이 사실. 이런 이유 때문에 국내에서는 벤처기업들이 별다른 수익을 내지 못하고 고전하고 있으나 남북간 IT 협력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그러나 북한과의 IT 협력에 대해 과도한 기대를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한국개발연구원 조동호(KDI) 북한경제팀장의 분석.

    “북한이 IT산업을 내세우는 것은 IT산업을 주력 산업으로 내세우겠다는 것이 아니다. 경제구조의 ‘전산화’ 정도로 이해해야 한다. 말하자면 주판으로 계산하던 것을 개인용 컴퓨터로 대체하는 수준이라는 말이다. 중국 등에 교육센터를 만들어 IT 협력을 추진한다고 하지만 여기에 따르는 부대 비용 등을 감안하면 결코 만만치 않을 것이다.”

    현행 남북교류협력법에서는 협력사업을 승인받은 사업자가 분기마다 사업 경과에 대한 보고서를 통일부에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분기 보고를 받아 협력사업 승인 업체의 활동 내용을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 정상적으로 꾸준히 진행되는 사업도 있지만 남북한 어느 한쪽의 문제로 인해 제대로 안 되고 있는 것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구체적 활동 내용은 기업의 영업 비밀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

    북한 전문가들은 남북 경협 활성화를 위해서는 하루빨리 지난 2000년 12월 남북한 당국간에 서명한 경협 4대 합의서의 이행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투자 보장, 이중과세 방지, 청산 결제, 상사분쟁 해결 절차 등 4개의 경협 관련 합의는 기업들의 대북 투자를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보완장치로 꼽힌다. 그러나 임특보의 방북 과정에서도 경협 합의서는 아직까지 별 관심을 끌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말 열린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0기 5차 회의에서도 기대했던 경협 합의서 비준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우리 국회도 4대 경협 합의서를 아직 비준하지 않고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