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다. 국화과 식물 일색인 가을 숲 속에서 그 특별한 자태를 뽐내며 보는 이의 눈길을 사로잡는 꽃이 있다. 이제 막 꽃피우기를 시작한 투구꽃. 신비한 보랏빛과 함께 덩굴도 아닌 것이 비스듬히 자라는 독특한 모양은 한 번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감탄사를 연발하게 한다. 누구나 눈여겨보게 되고 이름도 궁금해진다. 그러다 투구꽃이란 이름을 들으면 고개를 끄덕인다. 실제 꽃 모양이 마치 머리에 쓰는 투구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투구꽃은 미나리아재빗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다른 물체에 기대어 비스듬히 자라는 것을 바로 세워보면 높이가 1m를 조금 넘는다. 잎은 전체적으로는 둥근 모양이지만 손바닥처럼 깊게 다섯 혹은 세 갈래로 갈라졌다. 9월쯤 피기 시작해 10월이면 전국 어디서나 절정을 맞는다. 꽃 한 송이 길이가 3cm도 더 되는 꽃송이가 이삭 모양으로 모여 주렁주렁 달린다.
사실 투구꽃은 약용식물로 더 유명하다. 초오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 깊은 산에 가면 이 식물의 덩이뿌리를 약으로 쓰려고 찾아다니는 약초꾼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식물이야말로 잘 쓰면 약이요, 잘못 쓰면 독이라는 이야기가 꼭 들어맞는다. 초오는 통증을 가라앉히고 경련을 진정시키며 습기로 허리 아래가 냉해지는 증세나 종기로 인한 부기를 다스리는 등 다양한 곳에 사용한다.
하지만 많은 미니라아재빗과 식물이 그러하듯, 약재로 사용하는 덩이뿌리에 맹독 성분이 들어 있어 전문가 처방 없이 그저 약초라는 이름만 듣고 복용하다가는 자칫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사약을 만드는 그 유명한 부자(附子)가 이 투구꽃과 형제 식물이라는 점만 봐도 투구꽃의 독이 얼마나 무서운지 짐작할 수 있다. 한때는 이 식물에서 독을 뽑아내 화살촉이나 창끝에 발라 독화살을 만들기도 했다고 한다. 독성을 없애려고 입이 마비되는 느낌이 없어질 때까지 소금물에 반복해서 우려내거나 증기로 찐다고 한다.
투구꽃은 약용으로뿐 아니라 관상용으로도 훌륭한 꽃이다. 정원에 심어보는 것도 시도해볼만하다. 꽃 모양과 늘어지는 줄기에 매달리는 분위기가 독특해 꽃꽂이 소재로도 개발 가능성이 있다. 화단에 심을 때는 인공적으로 만든 정원보다 낙엽이 지는 큰키나무 밑에 퍼져 자라도록 심으면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추석이 되면 모두 떠나온 고향집으로 발길을 향한다. 그런데 투구꽃도 이동한다. 식물은 한자리에서 움직이지 못한다는 고정관념을 깬 것. 동물처럼 뛰어다니는 건 아니지만 덩이뿌리가 썩고(괴근) 인근 다른 뿌리에서 새싹이 올라오는 과정에서 아주 조금씩 자리를 움직인다. 뿌리 크기만큼 옆으로 이동하는 셈이다. 생각해보면 한자리에서 몇 년씩 양분을 빨아들이는 것보다 더 기름진 옆쪽 토양으로 이동하는 것이 이득일 테니 투구꽃으로선 아주 현명한 생존전략인 셈이다. 성묘를 위해 찾은 고향 마을 뒷산자락에서 행여나 이 신비한 꽃을 만날 수 있다면 한가위가 주는 또 하나의 행복이리라.
투구꽃은 미나리아재빗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다른 물체에 기대어 비스듬히 자라는 것을 바로 세워보면 높이가 1m를 조금 넘는다. 잎은 전체적으로는 둥근 모양이지만 손바닥처럼 깊게 다섯 혹은 세 갈래로 갈라졌다. 9월쯤 피기 시작해 10월이면 전국 어디서나 절정을 맞는다. 꽃 한 송이 길이가 3cm도 더 되는 꽃송이가 이삭 모양으로 모여 주렁주렁 달린다.
사실 투구꽃은 약용식물로 더 유명하다. 초오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 깊은 산에 가면 이 식물의 덩이뿌리를 약으로 쓰려고 찾아다니는 약초꾼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식물이야말로 잘 쓰면 약이요, 잘못 쓰면 독이라는 이야기가 꼭 들어맞는다. 초오는 통증을 가라앉히고 경련을 진정시키며 습기로 허리 아래가 냉해지는 증세나 종기로 인한 부기를 다스리는 등 다양한 곳에 사용한다.
하지만 많은 미니라아재빗과 식물이 그러하듯, 약재로 사용하는 덩이뿌리에 맹독 성분이 들어 있어 전문가 처방 없이 그저 약초라는 이름만 듣고 복용하다가는 자칫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사약을 만드는 그 유명한 부자(附子)가 이 투구꽃과 형제 식물이라는 점만 봐도 투구꽃의 독이 얼마나 무서운지 짐작할 수 있다. 한때는 이 식물에서 독을 뽑아내 화살촉이나 창끝에 발라 독화살을 만들기도 했다고 한다. 독성을 없애려고 입이 마비되는 느낌이 없어질 때까지 소금물에 반복해서 우려내거나 증기로 찐다고 한다.
투구꽃은 약용으로뿐 아니라 관상용으로도 훌륭한 꽃이다. 정원에 심어보는 것도 시도해볼만하다. 꽃 모양과 늘어지는 줄기에 매달리는 분위기가 독특해 꽃꽂이 소재로도 개발 가능성이 있다. 화단에 심을 때는 인공적으로 만든 정원보다 낙엽이 지는 큰키나무 밑에 퍼져 자라도록 심으면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추석이 되면 모두 떠나온 고향집으로 발길을 향한다. 그런데 투구꽃도 이동한다. 식물은 한자리에서 움직이지 못한다는 고정관념을 깬 것. 동물처럼 뛰어다니는 건 아니지만 덩이뿌리가 썩고(괴근) 인근 다른 뿌리에서 새싹이 올라오는 과정에서 아주 조금씩 자리를 움직인다. 뿌리 크기만큼 옆으로 이동하는 셈이다. 생각해보면 한자리에서 몇 년씩 양분을 빨아들이는 것보다 더 기름진 옆쪽 토양으로 이동하는 것이 이득일 테니 투구꽃으로선 아주 현명한 생존전략인 셈이다. 성묘를 위해 찾은 고향 마을 뒷산자락에서 행여나 이 신비한 꽃을 만날 수 있다면 한가위가 주는 또 하나의 행복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