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63

..

가랑잎 정치인과 존 레논

  • 김승희 서강대 교수·국문학 / 시인

    입력2002-12-04 12:0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랑잎 정치인과 존 레논
    비가 내리더니 거리의 나무들이 모두 나체가 되었다. 나체가 된 나무들 아래로 붉고 노오란 낙엽들이 떨어져 수북히 쌓여 있다. 그것들이 나무에 매달려 있을 때는 불타는 듯 아름다웠는데 차들이 달리는 도로 바닥에 떨어져 바람 따라 이리저리 나뒹구는 것을 보니 어딘지 처량한 생각마저 든다. ‘낙엽, 떨어진 가랑잎….’ 그런 생각을 하며 속으로 ‘가랑잎’이라고 가만히 발음해보니 더 처량한 생각이 든다. ‘가랑잎’은 활엽수의 마른 잎을 뜻하는 것으로 떨어지는 잎이라는 뜻의 낙엽과는 다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낙엽’이라고 말할 때보다 ‘가랑잎’이라고 말할 때 더 처량한 느낌이 든다. 이는 식물의 노숙자요 정신적 빈사자인 탓이다.

    정체성 없이 이익 좇아 이리저리… 누가 좋아하겠는가

    문제는 성숙이라는 데 있다. 우리 모두 대자연의 변화 앞에서 낙엽처럼 떨어질 운명을 벗어날 길이 없는 존재지만 ‘낙엽’이라고 말할 때는 어딘지 그런 변화와 성숙으로서의 떨어짐을 느낀다면 ‘가랑잎’이란 말에서는 대자연의 운명에 의연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초조하고 궁색한, 어딘지 비굴한 모습을 보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가랑잎의 운명을 대자연의 변화에서만 본다면 얼마나 좋을까. 바야흐로 대선의 계절이어서 인간 가랑잎들이 이리저리 당을 바꾸며 또 이동을 시작한다. 본인들이 어떤 대의명분을 내세운다 할지라도 과거도 미래도 없이 이익만을 좇아 이리저리 움직이는 그 군상들을 ‘가랑잎’에 비유한다고 해서 지나칠 것 같지는 않다. 초겨울 비를 맞고 길바닥에 떨어져 굴러다니는 가랑잎보다도 더 처량하고 더 궁색한 것이 인간 가랑잎들의 행렬이다.

    우리는 자신의 과거라는 기억의 존엄성을 가지고 미래를 향하여 진지하게 움직일 때만 가치 있는 인간인 것인데, 아무리 정체성 상실의 시대라고 해도 정체성도 무엇도 없는 정치인들이 나라의 운명과 우리의 아까운 세금을 지배하도록 방치한다는 것은 너무 억울한 생각이 든다. 20, 30대에 진보적인 사고를 가졌었다면 지금도 변함없이 고민하고 젊은 날의 꿈을 펼치려고 노력해야 하지 않느냐는 것이다. 진부한 정치인들과는 무언가 좀 달라야 하지 않느냐는 것이다.



    출퇴근하면서 음악을 많이 듣는다. 내가 주로 듣는 음악은 비틀즈와 존 레논의 음악이다. 비틀즈는 낭만적인 면도 있지만 노동자 계급의 아들들답게 반항적이고 의외로 돈과 물질에 관해 고민하는 노래가 많다. ‘페이퍼 백 라이터’나 ‘하루 종일 힘들게 일한 밤’ 등에서는 자본주의 세계에서 돈 때문에 고민하고 돈 때문에 피곤한 젊은이들의 사랑과 꿈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한다. 그들은 사랑에 대해 많이 노래했지만 공허한 사랑에 대한 노래가 아니라 물질을 뛰어넘을 수 있는 가치는 사랑밖에 없다는 것을 노래했다. 거기에서 비틀즈의 반항정신과 사랑이 만난다.

    비틀즈 시대가 끝나고 솔로가 된 존 레논의 노래를 들어보면 그의 음악의 아름다움은 비틀즈 시대의 반항정신과 물신의 시대에 대한 부정을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철학자와도 같은 원숙한 사상을 보여준다는 점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매진’이 바로 그러하다. ‘이매진’에서 그는 사유재산과 같은 소유도 갈등을 제공하는 종교도 이기심도 없는 대동 세상을 꿈꾼다. 그야말로 제목 그대로 ‘상상’일 뿐이더라도 그는 반항정신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인류를 위한 꿈을 꾸는 철학 정신을 보여준다. 그것이 바로 존 레논이 사랑받는 이유이고 ‘성자 레논’으로 추앙받는 이유다.

    젊은 날의 문제의식과 자기 정체성을 깡그리 잊어버리고 힘센 집단이 주는 이익만을 좇아 가랑잎처럼 여기저기 굴러다니는 인간 군상을 바라보며 존 레논을 생각해본다. 자신의 과거와 국민의 과거조차 부정하고 힘센 자를 찾아 또다시 표류하는 가랑잎들이 우리의 사랑을 받을 이유란 전혀 있을 것 같지 않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