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59

..

인도로 간 한국 기업들 돈 벌어 정승같이 쓴다

LG전자·현대자동차, 순회진료·기부·장학사업 등 사회적 책임 완수로 이미지 쑥쑥

  • 델리 = 이지은 통신원 jieunlee333@hotmail.com

    입력2008-10-27 15:0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도로 간 한국 기업들 돈 벌어 정승같이 쓴다

    초호화 주택과 전용기 구입 등으로 구설에 오른 인도 제일의 부자 무케시 암바니 릴라이언스 그룹 회장.

    올해 인도인들을 두 번이나 어이없게 한 기업가가 있으니, 바로 릴라이언스 그룹의 총수이며 세계 부자 1위에 등극한 무케시 암바니다. 그는 일가족이 살겠다고 공사비 20억 달러를 들여 63빌딩과 맞먹는 160m 높이의 22층 건물을 짓더니, 아내에게 6000만 달러짜리 초호화 에어버스 제트기를 선물해 인도인뿐 아니라 세계인을 질리게 했다. 더구나 개인 용도의 전용기를 상용인 전세기로 신고해 세금포탈을 함으로써 우리 돈으로 50억원가량을 ‘아꼈다’는 소식에 많은 인도인이 고개를 내저었다.

    카스트에 따른 개별적인 직업윤리 전통 때문인지 일반적으로 인도인들은 기업가가 돈을 얼마나 모으든, 또 축적한 부를 어떻게 사용하든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그럼에도 암바니는 두 번의 과시로 구설에 올랐다. 많은 사람들은 이런 일에 돈을 쓰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평소 릴라이언스 그룹이 자선이나 사회공헌에 인색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세금포탈 건도 기업 이미지에 먹칠을 하는 결과가 됐다.

    이에 반해 타타그룹 회장인 라탄 타타는 오래전부터 가장 존경받는 부자다. 라탄 타타뿐 아니라 타타 가문 출신의 역대 회장들과 타타그룹의 사회공헌은 역사적으로도 유명하다. 식민지 시대에는 방직공장을 세워 영국산 직물에 맞섰고, ‘개와 인도인은 출입금지’라는 팻말이 붙은 유럽인 전용 호텔에 대항해 세계적으로 유명한 타지마할 호텔을 지었다. 독립 이후에는 철강산업에 투자해 인도 중공업의 기틀을 세우기도 했던, 말 그대로 국민기업이다.

    공장 주변환경 개선·친환경 부품 사용에도 앞장

    인도로 간 한국 기업들 돈 벌어 정승같이 쓴다

    인도 현지에서 진료 봉사활동을 벌이고 있는 LG건강센터.





    타타 재단이 세운 연구소와 도서관에서 타타 장학금을 받으며 공부한 인재들이 현재 인도를 이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타타그룹은 이러한 ‘인도인의 기업’ 이미지를 활용해 ‘인디카’라는 상표의 소형 승용차를 만들어 성공을 거뒀고, 이동통신사 이름도 ‘인디콤’이라고 지었다.

    이런 민족기업들의 역사가 길기 때문에 인도 사람들은 겉으로는 ‘남이 돈을 어떻게 쓰든 알 바 아니다’라는 태도를 취하면서도 내심 ‘훌륭한 부자’들을 존경한다. 더구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는 외국 기업들에 엄격하게 적용된다. 알게 모르게 ‘남의 나라에 와서 국부를 빼앗아간다’라는 피해의식이 자리잡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특히 제조업 분야의 생산시설들이 주변 지역의 환경이나 교통 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점 때문에, 그리고 특별경제구역 지정으로 인근 주민들과 마찰을 빚는 경우가 많은 최근의 상황 때문에 산업시설 주변지역 주민들과의 우호관계 확립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난관에 봉착한 포스코의 제철소 건설에서도 볼 수 있듯, 지역 주민들과의 관계는 외국기업일수록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인도로 간 한국 기업들 돈 벌어 정승같이 쓴다

    현대자동차 공장 견학 및 무료 야유회에 초청된 인도 어린이들 .

    이런 점에서 수도인 뉴델리 인근 그레이터 노이다에 자리한 LG전자는 일찍부터 주민들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사업을 진행해왔다. 1998년부터 인근 마을에서 순회진료 봉사를 하는 LG전자는 주민들의 건강증진과 관련된 활동, 공장 주변의 환경 개선, 친환경 부품 사용 등을 통한 그린(Green) 이미지 확립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의료시설이 전무했던 인근 농촌지역에서 순회진료의 인기는 높다. 처음에 서너 개 마을을 도는 것으로 시작했던 순회진료는 이제 인근의 17개 마을을 일주일에 2회씩 정기 방문하며 주민들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다. 2004년에는 2개 마을에 상설 진료소도 세워졌다. 푸네에 제2공장이 설립되면서 2006년부터는 푸네에서도 LG건강센터가 지역 환자들을 진료 중이다.

    신상품 광고를 겸한 ‘즐거운 기부’ 캠페인도 눈에 띈다. ‘아이들에게 웃음을 주세요’라는 제목의 이 캠페인은 카메라폰인 ‘뷰티’의 론칭과 함께 시작됐다. 각 쇼핑몰에서 고객을 대상으로 카메라폰으로 사진 촬영을 해주는 판촉행사에 기부문화를 접목한 것으로, 촬영한 사진 프린트를 받은 참가자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한 모금액을 아동복지 관련 비정부기구(NGO)에 기부하고 있다.

    인도 진출 10년을 맞이하는 현대자동차도 사회공헌 활동에 열성적이다. 현대자동차 인도법인은 2005년 인도에 ‘현대재단’을 설립, 자동차를 한 대 판매할 때마다 일정 금액을 기부해 학교와 기숙사 건립, 책걸상 및 휠체어 기증, 기술학교 설립 등을 지원한다. 최근 현대 글로벌 자원봉사단도 인도에서 한 달 동안 의료봉사와 환경개선 사업 등을 펼쳤다. 이 행사는 한국 봉사단원들과 인도 젊은이들이 두 나라의 음식을 나눠 먹고, 저녁때는 문화공연을 선보이는 등 민간교류의 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가 있었다. 올해 인도 몽골 등 4개국을 방문한 현대 글로벌 자원봉사단은 앞으로도 매년 인도를 비롯한 오지에서 봉사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현대자동차 인도법인은 주말마다 인도 전역 100여 곳에서 실시하는 무료 자동차 순회 서비스에 건강검진 코너를 마련해 인도인들의 호응을 얻기도 했다. 얼마 전에는 자동차 순회 서비스와 동시에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사생대회를 개최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교통문화 바로잡기 위한 캠페인도 각별한 후원

    ‘현대 교통봉사대’ 또한 자동차 회사의 이미지를 부각하면서 인도 교통문화 발전에 이바지하는 캠페인이다. 2006년 델리에서 시작된 이래 지난해에는 첸나이, 올해는 콜카타로 확산돼가는 이 봉사 캠페인은 현대자동차가 도로교통 교육 연구소, 각 도시 경찰청과 손잡고 진행 중이다. 도시별로 100명씩의 대학생을 선발해 경찰청, 도로교통 교육 연구소 주관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이 학생들이 각 도시의 주요 도로에서 교통정리 자원봉사를 한다. 학생들은 현대자동차로부터 장학금을 받으며, 도로교통 교육 연구소의 교통봉사대 담당직원들의 급여와 활동비도 현대자동차에서 지급된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세계 최고인데도 시민들의 질서의식이 희박한 점을 바로잡아 교통문화를 선도해나가자는 취지의 이 활동은 3개 대도시 외에 뭄바이 등 교통량이 급증하고 있는 도시로 활동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민족감정을 떠나 우리 기업들이 이윤추구라는 1차 목표를 지향하면서도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잃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 가슴 뿌듯하다. 아직은 기업의 사회참여가 대기업 중심으로만 이뤄지나, 향후 많은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깨닫고 동참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