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57

2008.10.21

식자재 쓰레기 취급 “눈 뜨고 못 봐”

중국에서 근무 한국 영양사들의 충격 고백 … 중국산 식품 철저한 감시 단속 필요

  • 김현진 기자 bright@donga.com

    입력2008-10-15 09:5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식자재 쓰레기 취급 “눈 뜨고 못 봐”

    돼지 내장을 가공하고 있는 한 중국인. 작업자나 작업장의 ‘절대적 위생’ 확립이 시급한 상황이다.

    “중국에서 영양사로 일하는 첫날이었다. 식자재가 도착했다기에 나가봤더니 고기와 채소가 지저분한 플라스틱 통에 함께 담긴 채 배달돼 왔다. 냉장·냉동차는 너무 비싸 쓰지 않는다고 했다. 30℃ 넘는 기온을 뚫고 일반 승합차로 배달된 고기는 뻘건 피를 뚝뚝 흘리고 있었다. 또 고기 옆에서 피로 절여진 생채소의 모습은 가관이었다. 식자재 간 ‘교차 오염’이 의심됐다.”

    “함께 일하는 중국인 요리사, 조리 보조사들이 자주 씻지 않아 고민이었다. 때 낀 더러운 손으로 식자재를 만지는 모습도 종종 목격했다. 요리사들이 손톱을 도통 깎지 않기에 그 이유를 물었더니 ‘귀를 잘 파기 위해서’ ‘복 날아가니까’라고 대답했다.”

    담배 피우며 가공, 침까지 뱉어

    “돼지고기 가공업체에 갔다. 작업자들이 담배를 피우며 일했다. 식당에 배달되는 돼지고기 사이에 종종 담배꽁초나 담뱃재가 들어 있던 이유를 알게 됐다. 돼지고기와 닭고기를 타일 바닥에 던져놓고 거치적거린다며 발로 차질 않나, 작업장 바닥에 침을 뱉지 않나. 이런 재료들을 공급하는 내 모습에 양심의 가책을 느꼈다.”

    최근 중국에서 2~3년간 일했던 한국인 영양사들이 지적한 중국 내 단체 급식 및 식자재 유통 현장의 모습이다. 이들은 모두 중국 중남부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직원 식당에서 영양사와 식자재 유통 담당자로 일했다. 그들이 일하던 식당을 이용하는 사람 가운데 10~30%는 한국 본사에서 파견됐거나 현지 채용된 한국인이었고, 나머지는 중국인이었다.



    이들은 모두 각기 다른 회사에서 일했음에도 보고 느낀 바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영양사 A씨는 납품업체의 두부 공장을 견학한 뒤 평소 좋아하던 두부를 입에도 대지 않고 있다고 고백했다.

    “두부를 만들 때 보통 간수를 응고제로 쓰잖아요. 그런데 중국에서는 이상한 화학약품을 섞더라고요. 자동화된 설비시스템을 자랑하기에 둘러봤더니 기계는 갖춰져 있지만 잘 닦지 않아 곳곳에 곰팡이가 슬어 있었어요. 거미줄이 쳐진 천장을 보고 더 기겁했죠.”

    영양사 B씨는 육류 가공업체를 방문했다가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다.

    “젖소 고기는 일반 쇠고기의 10분의 1 가격이라 대량으로 조리해야 하는 급식소에서 많이 사용해요. 고기가 질겨 연하게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 양파나 배 같은 천연 연육제 대신 화학약품을 쓰더라고요. 화학품 냄새가 나는 화학 연육제에 고기를 재워놨다 볶으면 살점이 으스러질 정도로 ‘효과’가 강력하죠. 게다가 녹이 잘 스는 무쇠칼을 소독도 하지 않은 채 사용하는데, 당장 뜯어말리고 싶은 심정이었어요.”

    한 급식업체에서 식자재 담당자로 일한 C씨는 믿을 만한 공급처를 개발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였다고 말한다. 그가 일하던 회사는 중국에 진출한 국내 대기업 계열사들의 구내식당을 운영하고 있었다.

    “되도록 낮은 단가를 유지하려다 보니 식품이라 부르기에 민망한 재료들도 받게 돼요. 하루 이틀을 꼬박 달려 도착한 채소나 과일이 썩어 있는 경우도 빈번했고, 냉장시설 없이 운반된 돼지고기를 먹고 탈이 난 사람들도 있죠. 밥에 들어 있던 유리조각에 입천장을 다친 사람도 한두 명이 아니에요.”

    그는 “그나마 한국인이 운영하는 급식업체는 위생적인 편이라 한국인들이 중국의 급식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까지 받는 실정”이라면서 “단체 도시락을 만드는 중국 회사에 가보니 마스크, 모자, 위생장갑도 갖추지 않은 채 일하고 있어 놀랐다”고 덧붙였다.

    중국에도 물론 식품위생 공무원들이 있고 종종 단속도 벌인다. 국제사회에서 중국산 식자재, 가공품들의 안전 논란이 계속되자 관련 국내법 역시 엄격해지는 추세다. 그러나 뇌물로 무마할 ‘빈 구멍’이 여전히 남아 있어 급식업체나 식당들이 빠져나갈 여지가 많은 것이 문제라고 C씨는 지적했다.

    한편 영양사 A씨와 B씨는 우리나라 유명 상표를 흉내낸 중국산 저가 당면, 조미료 등이 국내로 역수출되는 사례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우려했다.

    급식업체 ‘적극적 위생’ 의식 부족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의 조사 결과, 우리나라가 중국에서 수입하는 식품은 전체 수입 건수의 11%(1995년)에서 32.3%(2006년)로 10년 새 3배 정도 증가했다. 10월5일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소속 심재철 의원(한나라당)이 식약청에서 제출받은 ‘수입김치 검사 및 부적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 부적합 판정을 받은 중국산 김치는 모두 88건(1637t)으로 2005년 19건(279t)에 비해 4.6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위원회 소속 안홍준 의원(한나라당)이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3월부터 8월까지 식약청에 접수된 수입제품 이물질 신고 50건 가운데 절반이 중국 제품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특히 제조단계에서 발생한 이물질 혼입 사고 14건 가운데 9건(64.3%)이 중국산 식품으로 이물질의 종류는 걸레, 철수세미, 쇳조각, 애벌레 등 다양했다.

    식품위생 전문가들은 “중국에서 생산·유통되는 모든 식품이 비위생적이라고 단정짓는 것은 무리지만, 국내 수입량이 가장 많고 식품 관련 사고도 빈번한 만큼 중국산 식품에 대한 철저한 감시와 단속이 시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몇 년 전 한국 일본 중국 미국의 식품위생법 비교 관련 논문을 발표한 빈성오 대구한의대 교수(보건학)는 “중국의 위생법 자체는 우리나라, 일본과 비교해 그 수준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다만 도시를 제외한 대다수 농촌 지역이 경제적으로 아직 먹고사는 문제를 걱정할 단계에 있는 만큼 생산, 가공 등 식품위생과 관련된 ‘절대적 위생’ 기준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고 말했다.

    빈 교수는 이어 “우리나라 역시 단체 급식업체들의 ‘적극적 위생’ 의식이 부족한 수준”이라며 “법만 어기지 않으면 된다는 ‘소극적 위생’에만 급급해 선진적이라고 보기엔 아직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영양사 B씨는 중국에서 ‘학대’받는 식품들을 보고 직업 자체에 회의를 느끼기도 했다고 털어놨다.

    “결국 이런 저질 음식 때문에 인류가 멸망하는 게 아닐까 걱정한 적이 있어요. 이제 우리는 뭘 먹고 살아야 할까요.”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