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91

..

후손들 감정싸움 200년 만의 화해

  • 김두규/ 우석대 교수 dgkim@core.woosuk.ac.kr

    입력2005-06-24 10:4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후손들 감정싸움 200년 만의 화해

    윤관 장군 묘(담 뒤에 영의정 심지원의 무덤이 있다·왼쪽)와 심지원의 묘.

    1969년 7월. 파평 윤씨와 청송 심씨 대표가 만난 자리에 파주군수와 파주경찰서장 등이 입회한 가운데 다음과 같은 화해증서가 작성된다.

    “파주군 광탄면 분수리에 소재한 파평 윤씨의 선조 문숙공 분묘에 청송 심씨의 선조 만사 상공 분묘가 압뇌(壓腦)돼 있어 윤·심 두 성 사이의 송사가 수백년에 걸쳐 계속돼왔는데, 두 성 사이의 세혐(두 집안 사이에 대대로 내려오는 미움과 원한)으로 인한 분쟁을 종식하기 위해 양가의 대표가 이 증서를 작성, 각각 보관하기로 한다.”(윤학준의 ‘나의 양반문화 탐방기’에서 재인용함).

    문숙공과 만사는 누구인가. 문숙공은 저 유명한 고려의 명장 윤관(1040~1111년)으로 문하시중을 지냈고, 만사는 심지원(1593∼1662)으로 효종 임금 당시 영의정을 지낸 청송 심씨가 배출한 걸출한 인물이다.

    두 사람의 생존 연대가 500년 넘게 차이 나는데 후손들 사이에서 분쟁이 생긴 까닭은 무엇일까? 직접적인 계기는 윤관 장군과 영의정 심지원의 무덤이 같은 산줄기에 몇 m를 사이에 두고 있게 된 데 있다.

    1111년 윤관 장군이 죽자 ‘파평현 분수원 북간원(北艮原)’에 안장되어 조선 초기까지는 묘지가 잘 관리되었다. 그런데 중기에 들어서 금산(禁山)제도가 도성 100리까지 확대되면서 일반인들이 이곳을 출입할 수 있는 길이 막히고 그 후 거듭된 전란으로 윤관 장군의 묘가 실전(失傳)돼버린 것이다.



    윤관은 여진족을 소탕하고 국경을 확장한 명장으로 알려져 있지만 풍수에서도 당대 최고였다. 그의 대표적 업적은 바로 현재의 경복궁 터를 도읍지가 될 만한 땅으로 소점한 것이다. 1101년 9월 남경을 설치할 터를 물색하라는 고려 숙종의 명을 받은 윤관은 한양 일대를 살핀 뒤 다음과 같은 계를 올린다.

    “양주군 노원역과 해촌, 용산 등 여러 곳에 나가 산세를 살폈으나 도성으로 적당하지 아니하고, 삼각산 면악(북악) 남쪽을 보니 산 모양과 수세가 옛 문헌과 부합됩니다. 주산 줄기에 중심을 정하고 큰 맥에 임좌병향(壬坐丙向·남향)이 되도록 지형에 따라 도성을 건설할 것을 주청드립니다.”

    숙종은 윤관 장군의 의견을 받아들여 그로 하여금 5년에 걸친 도성 축조를 지휘하게 한다. 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천도하기 300년 전의 일이다. 지금 서울의 밑그림과 기초는 윤관 장군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풍수의 대가인 윤관이 자신의 무덤 터로 정한 곳이라면 당연히 풍수적으로 좋은 자리라는 것은 상상하고도 남는다.

    윤관 장군 묘 바로 몇 m 위에 있는 영의정 심지원의 무덤 자리는 또 어떨까. 심지원은 조선 효종 임금 때 영의정에 올랐을 뿐 아니라, 그의 아들 심익현이 효종의 딸 숙명 공주와 결혼해 효종과는 사돈관계였다. 효종이 죽자 심지원이 총호사의 직책으로 국상을 주관하면서, 효종의 능 자리 선정에 고산 윤선도를 추천할 정도로 풍수에 탁월한 식견을 가졌다. 고산 윤선도는 훗날 정조 임금에게서 신안의 경지에 오른 인물이라는 칭찬을 받은 최고의 풍수 고수였다. 그런데 그러한 심지원이 자기 조부모와 자신의 무덤 자리를 윤관 장군 무덤 바로 위에 잡은 것이다. 윤관과 심지원 모두 이 땅이 명당임을 알아보았던 것이다.

    심지원이 이곳에 안장된 지 90년쯤 후, 윤관 장군의 후손이 실전된 조상의 무덤을 찾아다니던 끝에 드디어 그 자리를 찾아낸다. 그때부터 파평 윤씨와 청송 심씨 문중은 서로 기득권을 주장하며 다투기 시작했다. 영조 임금이 분쟁 조정에 나섰지만 실패했다. 일제강점기까지 두 집안의 분쟁은 계속되었으며 두 문중 간의 감정의 골 역시 더욱 깊어만 갔다. 그러니 상대 문중과 결혼을 하는 것은 생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1969년에야 분쟁은 윤관 장군과 영의정 심지원의 무덤 사이에 곡장(曲墻)을 두르고 화해증서를 쓰는 것으로 종식된다. 그야말로 200년 만의 화해였다.

    이곳을 답사하다가 만난 윤여순(서울 용산구 거주·72) 씨에게 “지금도 두 문중 간에는 결혼을 하지 않습니까”라고 묻자 “서로 좋아서 하는 것을 누가 말립니까!” 하고 웃는다.



    실전 풍수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