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한 웹사이트에 실제로 나와 있는 광고 내용이다. 이 사이트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가격까지 상세히 안내하고 있다. ‘해커(Hacker)’는 네트워크를 이용, 다른 사람의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해 정보를 빼내거나 파괴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위 광고는 그들이 자신의 실력을 과시하기 위해 낸 것이다.(일부에서는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활동하는 ‘해커’와 타인의 시스템을 파괴하는 악의적 해커인 ‘크래커’를 구별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두 단어를 구별 없이 사용한다.)
그렇다면 과연 이들은 자신들이 장담한 대로 의뢰인의 성적을 조작하고 복잡한 암호를 풀어낼 수 있을까. 이에 대한 답은 사이버상의 보안관인 보안업체들이 쥐고 있다. 해커들이 시스템의 허점을 뚫고 들어가 정보를 빼내려 하는 동안 보안업체들은 철통 방어벽을 쌓고 이들을 막아낼 것이기 때문이다. 이들 사이에 벌어지는 치열한 싸움에서 누가 승리하느냐에 따라 시스템의 운명은 결정된다.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해커들의 실력은 한 국가의 기간 전산망을 뒤흔들 수 있을 정도로 성장했다. 최근 발생한 우리나라 해커들의 미국 백악관 서버 공격에서 보듯 이들은 공격 대상을 정하는 데도 거침이 없다. 때문에 이를 막아내기 위한 보안업체들의 기술 개발 노력도 끊이지 않는다.
“뚫느냐 뚫리느냐” 해커 vs 보안업체 치열한 싸움
유명 해커 출신인 보안업체 해커스랩의 최영일 연구원.
그러나 보안 전문가들은 “아무리 철통 같은 보안 시스템이 작동해도 해커들의 공격을 완전히 차단하기는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머물러 있는 방패’지만 해커는 어떻게든 그 틈을 찾아내는 ‘움직이는 창’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미 해군 정찰기와 중국 전투기의 충돌 사고를 계기로 벌어졌던 미-중 사이의 ‘사이버 전쟁’은 두 나라 정부기관들의 인터넷 보안망을 손상시켜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해커들은 최고의 보안 전문가로 변신하기도 한다. 2000년 세계적 해커들이 방한해 서울대에서 컴퓨터 시스템 보안 교육을 하는 모습.
한 보안업체 관계자는 “해커들은 기존의 이론과 상상을 뛰어넘는 창조력을 가진 이들”이라며 “실력 있는 이가 마음만 먹으면 어떤 보안체계도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로서 해커를 막는 유일한 방법은 최고의 보안 시스템을 구축한 후 보안 전문가가 늘 감시하며 유사시에는 해커와 ‘직접 싸우는 것’뿐이다.
최근에는 ‘해커를 가장 잘 잡을 수 있는 사람은 바로 해커’라는 분석이 정설로 굳어지면서 해커 출신들이 보안업체의 CEO나 시스템 개발자로 활동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1995년 KAIST 해킹 동아리 ‘쿠스’와 포항공대 ‘플러스’ 사이에 벌어진 ‘해킹 전쟁’의 주역으로 화제를 모았던 노정석씨는 보안업체 인젠의 이사로 변신, 네트워크 기반 침입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보안 전문가로 활약하고 있다.
노정석씨 외에 해커스랩의 김창범 사장(KAIST 유니콘 멤버)과 최영일 연구원(KAIST 쿠스 멤버), A3시큐리티컨설팅 김휘강 사장(KAIST 쿠스 및 시큐리티카이스트 멤버), 안철수연구소 이희조 보안연구1실장(포항공대 플러스 멤버) 등도 모두 해커 출신이다. 보안컨설팅업체 해커스랩 관계자는 “해커와 보안 관리자의 차이는 같은 칼을 가지고 살인용으로 쓰느냐 조리용으로 쓰느냐의 정도뿐”이라며 “해커들이 갈고 닦은 컴퓨터 기술에 윤리의식까지 갖출 경우 뛰어난 보안 관리자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의 한 보안업체는 “퀀텀 테크놀로지를 이용해 2003년 초까지 해킹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네트워크를 만들어내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이 업체의 야심찬 계획이 성공을 거둘 것이라고 내다보는 이는 많지 않다. ‘풀리지 않는 암호는 없고, 열리지 않는 빗장은 없다’는 것이 보안업계에서 검증된 진리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해커들이 도전할 또 하나의 대상으로 이 기술의 개발을 기다리는 듯하다. 지금까지 그래왔듯 해킹 기술과 보안 기술의 상호 경쟁이 최첨단 사이버 세상을 이끌어주기를 기대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