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정작 대상이 막대한 광고비를 써가며 유해성 논쟁을 제기한 뒤에도 웬일인지 소비자들이 혼합간장을 기피하는 현상이 별로 나타나지 않고 있어 대상측을 애태우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이미 산분해 간장 유해성 논란이 새로울 것이 없는 데다 정부에서 유해성 물질의 주범으로 꼽히는 DCP(Dichloro Propanol)와 MCPD(Monochloro Propanediol)의 잔류 허용 기준치를 두고 관리하고 있어 소비자들이 그동안 입맛에 맞는 혼합간장을 여전히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다른 업체들도 대상에 공문을 보내 소비자들을 불안하게 하는 유해성 논쟁을 계속할 경우 공동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는가 하면, 대상의 장류 원료 납품을 거부할 움직임마저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상은 “어차피 중장기적으로 간장 시장이 양조간장 쪽으로 재편될 것이기 때문에 단기적 손실은 크게 문제 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대한장류공업협동조합 김동현 실장은 “국산 제품에 대한 불신이 가중될 경우 수입 제품이 국내 소비자들의 밥상을 차지할지도 모르는 일”이라고 우려했다. 간장 파동이 정작 소비자들은 소외된 채 간장업계의 ‘땅 뺏기’ 싸움이 돼버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