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40

..

‘바이올린 수도’엔 명장 魂이 산다

스트라디바리의 고향 伊 크레모나 … 고품질 컬렉션, 실습 위주 학교 500년 명성

  • 크레모나=김경해 통신원 kyunghaekim@tiscali.it

    입력2010-06-07 13:0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바이올린 수도’엔 명장 魂이 산다

    현악기의 명장 스테파노 코니아 부자의 공방.

    바이올린 연주자들은 자신의 감성과 기교를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는 악기를 소유하고자 한다. 역대 바이올린 연주자들이 첫손에 꼽는 마에스트로 스트라디바리(Stradivari)의 고향 크레모나 시는 세계 최고의 현악기 명장이 모인 바이올린의 ‘수도’다. 골목 어디를 거닐어도 창문 너머로 큰 앞치마를 두른 장인이 나무를 깎고 다듬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스트라디바리가 만든 바이올린의 신비한 음색과 제조 기술은 아직까지도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 5세기가 지난 지금, 그의 후손이 마에스트로의 경지에 오르고자 평생을 바쳐 도전하고 있다.

    크레모나 시는 아마티, 스트라디바리, 과르니에리 같은 조상이 대대로 제작한 바이올린을 도시 브랜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현악기는 환상적인 관광상품이다. 크레모나 시를 찾는 관광객 중 외국인은 65%에 이른다. 이 중 바이올린을 구매하기 위해 오는 사람은 전체의 40%. 나머지 60%도 공방 투어 등 바이올린의 매력에 끌려 이곳을 찾는다. 이들이 크레모나 시에 ‘뿌리고’ 가는 돈은 연간 1억 유로 이상으로 지역 경제에 원동력이 되고 있다. 또 ‘몬테베르디 국제 페스티벌’과 국제 현악기 박람회인 ‘몬도무지카(MondoMusica)’ 행사도 음악 마케팅의 하나다.

    크레모나 시가 국제 바이올린의 수도로 자리매김하기까지 세대를 이어온 시와 시민들의 노력이 있었다. 연간 3만여 명이 찾는 크레모나 시립 현악기 박물관에는 1715년 스트라디바리가 만든 ‘일 크레모네제’를 비롯해 가격을 따질 수 없는 귀한 악기들이 소장돼 있다. 그러나 한동안 이곳은 유명 악기가 대부분 해외로 유출돼 자랑할 게 없는 도시였다. 음악 도시의 명예를 되찾기 위해 크레모나 시는 국제 경매에 이곳에서 만든 현악기가 나올 때마다 구입했다. 또 적극적으로 개인 소장가들의 기증을 받아 지금은 세계가 부러워하는 현악기 컬렉션을 갖췄다.

    도시 자체가 배움의 현장

    크레모나 시립 현악기 박물의 안드레아 모스코니 관장은 “스트라디바리, 아마티, 과르니에리 등이 만든 명기의 음색을 들으면 음악가가 아니라도 장인의 혼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만인의 심금을 울린다”고 설명했다. 스트라디바리 박물관에는 스트라디바리가 만든 악기뿐 아니라 그가 사용한 연장, 모형, 친필 프로젝트 등 700여 점이 전시돼 있다. 여러 소장가의 손을 거쳤지만 늘 고향을 떠나지 않았던 이 컬렉션은 1893년 크레모나 시에 영구 기증됐다. 현재 공방에서 쓰는 연장도 5세기 전과 달라진 게 별로 없다. 신세대 장인들이 스트라디바리 시대의 제작방식을 고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500년 역사가 탄탄대로만은 아니었다. 1900년 초 현악기 제작이 사양길로 접어들어 공방 수가 급격히 줄고 전통이 끊어질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크레모나 시는 1938년 스트라디바리 국제 현악기 제조학교를 설립했다. 교육을 통해 신세대에게 전통을 전수하려는 시도였다. 이 전략은 적중했다. 크레모나를 바이올린의 국제 수도로 부활시킨 열쇠가 바로 이 학교다.

    ‘바이올린 수도’엔 명장 魂이 산다

    장인들 모두 자신만의 비밀스런운 ‘레시피’로 작업한다. 바이올린 제작은 종합예술에 가깝다.

    이 학교는 교수가 학생을 1대 1로 지도하고, 철저한 실습 위주로 커리큘럼을 짰다. 국립고등학교 과정으로 2년 예과를 마치면 나머지 3년 본과는 현악기 제조학과, 현악기 복구학과 가운데 전공을 선택한다. 복구학과는 우리나라에선 생소하지만 연륜 있는 악기의 병든 곳을 진단하고 맞춤형 치료를 해서 건강을 되찾게 하는 ‘현악기 외과전문의’를 기르는 곳이라 할 수 있다. 제작자의 의도와 스타일에 손을 대지 않고 수리와 복구만 한다는 원칙을 반드시 지킨다.

    이 학교는 매년 외국인 신입생 수가 늘고 있다. 유럽뿐 아니라 일본, 한국 유학생도 상당수다. 한국 유학생들은 “도시 자체가 배움의 현장”이라고 했다. 의문점이 생기면 아무 공방이나 들어가서 장인에게 조언을 구할 수 있다는 것. 마에스트로에 대한 존경과 배우고자 하는 후배에 대한 관용과 배려가 누구나 스트라디바리가 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준다. 현악기 장인이 되겠다는 열정과 실력으로 무장한 학생들에게 내외국인 구별 없이 교육의 기회를 주는 게 인상적이다. 이탈리아 전통 기술을 배우겠다는 외국 학생들에게도 투자를 아끼지 않는 것이 이탈리아답다.

    필자는 현악기 명장 스테파노 코니아 부자의 공방을 찾았다. 아버지 스테파노의 선친 때부터 현악기를 제작했고, 이는 아들 스테파노 주니어로 3대째 이어지고 있다. 아버지는 세계 유명 악기 경매에 악기를 출품할 만큼 손꼽히는 명장이지만 성품은 소박하고 겸손하다. 아들은 서너 살 때부터 할아버지의 공방을 놀이방, 연장과 나무를 장난감 삼아 성장했다고 한다. 30대 중반인 그는 “스트라디바리 가문도 2대에서 가업이 끊겼다”며 “두 살 난 내 아들이 4대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아버지와 아들은 서로를 동료 장인으로 대우하며, 특히 악기 제조에서 각자 개성과 취향을 존중한다고 강조했다.

    150여 명 장인이 이름 걸고 악기 제작

    현재 크레모나 시와 일대에는 장인 150여 명이 공방에서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악기를 제작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스트라디바리 국제 현악기 제조학교 출신. 졸업 후 10여 년간 마에스트로 밑에서 도제 수업을 받아야 공방을 개설할 수 있다. 이들 중에는 외국인도 많다. 졸업장이란 학력만 내세워 빨리 돈을 벌겠다는 생각은 금물. 유일한 한국인 장인 피에트로 리(Pietro Rhee)는 “자기 자신에게서 배울 수 있어야 진정한 장인”이라고 강조했다.

    원목으로 만든 벌거벗은 바이올린에 옷을 입히는 채색은 마지막 단계이자 음색을 좌우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장인들 모두 자신만의 비밀스러운 ‘레시피’로 마지막 작업까지 책임진다. 즉, 바이올린 제작은 종합예술성이 필요한 직업이다.

    이처럼 장인들은 제조에만 전념하고 홍보, 마케팅, 악기 전시, 판매 중계 등은 크레모나 현악기 공방협회가 전담한다. 장인 개인의 힘으로 할 수 없는 국제박람회 참가도 관리해준다. 공방협회의 프란체스코 토토 부회장은 “크레모나 수제 현악기 인증제를 관리하는 것이 협회의 가장 중요한 업무”라고 강조했다. 협회는 소속 장인들의 악기에 크레모나 수제 현악기 제조기준을 보증하는 국제인증서를 발급하고 있다. 이 인증서는 일종의 현악기 신분증으로 크기, 색상, 재료 등 세부사항과 사진이 첨부돼 있다. 악기의 원산지와 제작자를 증명하는 고유번호로 진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악기를 테스트하기 위해 공방협회를 찾은 러시아 비올리스트 안나 세도바는 “손재주 좋은 목공은 멋진 가구밖에 못 만들지만, 명장은 악기에 생명을 불어넣어 성격 있는 악기를 탄생시킨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