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들의 모습을 그린 김홍도의 그림.
정조 때 가문의 위세 절정
이번 호에서 언급할 실학자 서유구(徐有, 1764~1845) 역시 두말할 필요가 없는 벌열이요 경화세족이다. 서유구를 언급하는 것은 그의 방대한 저술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때문이다. 먼저 그의 족보부터 훑어보자. 선조대의 명신 서성(徐)에서부터 시작되는 이 가문의 위세는 서명선(徐命善, 1728~1791)에 와서 절정에 이른다. 거의 50년을 집권한 노쇠한 영조가 세손(世孫·正祖)에게 대리청정을 시키려 하자, 노론의 홍인한(洪麟漢)이 한사코 반대하고 나섰다. 서명선은 홍인한을 탄핵해 정조의 대리청정과 즉위에 결정적 공을 세운다. 뒤에는 또 정조의 의중을 헤아려 권신 홍국영(洪國榮)을 제거하는 데 앞장선다. 정조의 공신인 것이다.
정조는 즉위한 해(1776년)에 49세의 서명선을 우의정에 임명하고, 다음 해에는 좌의정, 그 다음 해에는 영의정에 임명한다. 서명선은 1780년에 잠시 한직으로 물러났다가 다시 이 과정을 되풀이한다. 정조는 서명선의 형 서명응(徐命膺)까지 홍문관과 예문관 대제학, 곧 양관 대제학에 임명한다. 양관 대제학은 영의정 부럽지 않은 명예로운 벼슬이다. 서명응의 맏아들 서호수(徐浩修) 역시 정조 즉위 후 도승지·대사성·대사헌과 규장각 직제학을 지낸다. 둘째 아들 서형수(徐瀅修)도 이조참판과 경기관찰사를 역임한다. 어떤가? 영의정·좌의정·우의정에 대제학·도승지·대사헌·관찰사라니, 이것이 절정이 아니면 무엇이겠는가.
1764년 태어난 서유구가 청소년기에 접어들 때 ‘가문의 영광’이 막 시작되고 있었다. 그는 대갓집 똑똑한 도련님의 교육 코스를 거친다. 숙부 서형수에게서 문장을 배우고, 이의준(李義駿)에게서 명물고증학과 성리학을 배운다. 그리고 1779년부터는 서명응을 시봉(侍奉)한다. 서명응은 당시 천문학과 농학에 큰 업적을 남긴 조선 최고의 학자였다. 서명응은 이 시기 전래된 서양의 과학과 기술의 존재를 알았고, 이것들을 자신의 학문체계에 녹여 수렴했다. 서유구의 아버지 서호수 역시 한문으로 번역된 서양의 천문학과 수학, 기하학에 정통한 사람이었고, 숙부 서형수는 명물고증학과 경학(經學)에서 최고의 학자였다. 이렇듯 서유구의 가문은 18세기 후반 베이징(北京)에서 발원한 새로운 학문을 앞서 수용한 최고 수준의 학자 가문이었고, 그는 그 가문의 훈육을 받았던 것이다.
2005년 출간된 서유구의 ‘산수간에 집을 짓고’(돌베개). ‘임원경제지’에 담긴 집 짓는 법에 관한 내용을 정리했다.
서유구는 1790년 문과에 합격해 관료의 길을 걷는다. 1792년 그는 규장각 대교, 예문관 검열 등 당시 문벌가의 젊은이들이 걷는 출세 코스를 밟기 시작했다. 특히 규장각에서 서적의 교열과 편찬에 종사하면서 정조의 인정을 받는다. 앞에 탄탄대로가 놓여 있었다. 하지만 날이 언제나 화창하지는 않다.
1805년 12월 김달순(金達淳)의 옥사가 일어나자 서유구의 가문은 일거에 몰락했다. 정조 때 영남 사림이 정조의 생부인 사도세자를 추숭(追崇)해야 한다고 상소를 올리자, 반대파가 들고일어났다. 정조는 반대파가 탐탁지 않았지만, 여러 이유로 사건을 덮는다. 그런데 우의정 김달순이 순조 5년(1805년) 12월 그 반대파 두 사람을 표창하자고 주장했던바, 이에 반대하는 세력이 들고일어나 김달순을 귀양 보내고 급기야 목숨까지 빼앗았던 것이다. 이 사건의 배경은 너무 복잡하니 여기서 더 언급할 필요가 없다.
숙부 유배 후 자신도 벼슬 그만둬
중요한 것은, 서유구의 숙부인 서형수가 김달순의 배후자로 지목되어 귀양길에 올라 여러 곳을 전전하다 1823년 전라도 임피현(臨陂縣)에서 사망한다는 것이다. 서명응은 1787년, 서명선은 1791년, 서호수는 1799년에 사망해 서씨 가문에서는 서형수만 유일하게 정계에 남아 있었다. 서형수가 유배되자 출셋길을 달리던 서유구 역시 순조 6년 1월18일 상소를 올려 당시 맡고 있던 홍문관 부제학을 자진해 사퇴한다. 가문은 순식간에 몰락했다. 그가 정계에 복귀하는 것은 순조 24년 자신의 벗이었던 남공철(南公轍)의 주선으로 회양부사(淮陽府使)가 되면서부터다. 그는 이후 1848년 사망할 때까지 6조의 판서와 규장각·예문관의 제학, 대사헌 등을 거친 뒤 1839년 치사(致仕)한다. 하지만 정치적 실세는 아니었으니 가문의 영광은 사라진 뒤였다.
조정을 떠난 18년 세월 동안 그가 한 일은 무엇이었던가. 다산은 강진에서 초당을 짓고 제자를 길러 거대한 학문의 산을 이룬다. 서유구 역시 같은 길을 걸었다. 18년 동안 여섯 번 이사를 하면서 저술에 몰두한다. 하지만 그 저술은 다산과 달리 제자가 아닌 단 한 사람의 아들 서우보(徐宇輔)의 도움을 받았다(이 아들은 그보다 일찍 죽어 가슴을 아프게 한다). 세상에서 잊힌 18년의 학문적 노동의 결과는 113권 52책이란 거질의 ‘임원경제지’로 탄생한다.
강산이 두 번 바뀌는 세월을 쏟아부은 이 책은 어떤 책인가. ‘임원(林園)’이란 도시가 아닌 전원 곧 농촌이고, ‘경제’란 물질적 생활의 영위다. 쉽게 말해 농촌에서 양반이 물질적 생활을 구가하는 방법이란 뜻이다. 양반이 시골에서 자족적인 생활을 할 경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윤리적인 문제를 묻는 것이 아니다. 오직 생활에 있어 물질적 삶의 방법에 대한 물음이다.
가장 필요한 것은 역시 먹을 것이다. 그래서 본리지(本利志, 권1~13)에 전제(田制), 수리(水利), 토양, 절후(節候), 개간, 비료, 종자, 파종, 각종 곡물 종류, 농기구, 관개에 걸쳐 곡물을 중심으로 한 농업 일반에 대한 서술이 있다. 그런데 먹을 것은 곡물만이 아니다. 채소도 가꾸어 먹어야 한다. 채소 가꾸는 것은 관휴지(灌畦志, 권14~17)에서 다룬다.
채소를 재배하면 꽃의 재배도 절로 연상된다. 예원지(藝志, 권18~22)가 수십 종의 꽃과 그 재배법을 상설(詳說)한다. 어떤 꽃은 지면 열매를 맺는다. 그래서 만학지(晩學志, 권23~27)에서 31종의 과일과 15종의 과류(瓜類)를 심고 가꾸고 수확하고 저장하는 방법을 일러준다. 먹을 것의 재배와 함께 심고 가꾸어야 할 것이 직물의 원료다. 뽕나무를 심고 기르고 비단을 짜고 염색하는 방법을 논한 것이 전공지(展功志, 권28~32)다.
농사를 지으려면 날씨와 절후를 알아야 한다. 위선지(魏鮮志, 권33~36)에서 그것을 다룬다. 곡식과 채소, 과일 외에 단백질의 보충을 위해 고기가 필요한바, 전어지(佃漁志, 권37~40)에서 목축, 사냥, 어업에 관련된 지식을 제공한다. 자, 이제 이렇게 얻은 재료를 요리해보자. 정조지(鼎俎志, 권41~47)에서 요리법과 조미료를 만들고 술 담그는 법을 소개한다.
이제 집안을 돌아볼 차례다. 먼저 집을 지어야 할 것이니, 건축기술과 집 짓는 재료와 공구가 필요할 것이고, 집이 완성되어 그 속에서 살자면 침구와 와구(臥具), 촛불, 등불 등 조명시설이 필요할 것이다. 또 출입할 때 쓸 말이나 가마, 배 등등이 필요할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 모든 것에 대한 지식을 섬용지(贍用志, 권48~51)가 자세히 제공한다.
먹을 것, 입을 것, 주거만 있다 해서 만족스러운 삶일 수는 없다. 의식주가 구비되더라도 건강하게 오래 살아야 할 것이다. 식이요법과 단전호흡 같은 여러 가지 보양법(保養法), 곧 요즘의 ‘웰빙’에 해당하는 생활방법을 보양지(養志, 권52~59)가 꼼꼼히 권해준다. 이렇게 했는데도 병이 난다면 의약(醫藥)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인제지(仁濟志, 권60~87)는 ‘임원경제지’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해 필요한 의약을 조목조목 일러준다.
이상적 삶 위해선 ‘윤리’보다 ‘물질’ 중요시
이렇게 살면 자족한 삶이 된다. 하지만 향촌에서는 홀로 사는 게 아니다. 이웃이 있고, 이웃과 갈등을 피하기 위해 예(禮)를 차릴 필요가 있다. 그래서 자기 집안에서 차려야 할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예는 물론 이웃과의 예인 향음주례(鄕飮酒禮)·향사례(鄕射禮)·향약(鄕約)이 필요한데, 그것들을 정리해 향례지(鄕禮志, 권88~90)로 엮었다.
사람이 밥만 먹고 살 수는 없다. 교양도 쌓고 취미도 길러야 한다. 독서법, 활 쏘는 법, 서예, 그림 그리는 법을 소개하는가 하면, 거문고 양금 생황도 뜯고 치고 불 줄 알아야 한다. 이것을 다룬 것이 저 유명한 유예지(遊藝志, 권91~98)다. 품위 있는 생활을 하자면 그에 따르는 물건도 여럿이다. 그래서 이운지(怡雲志, 권99~106)에서는 품위 있는 생활을 하기 위한 여러 도구, 예컨대 문방구, 다구(茶具), 서화 골동품, 장서, 나들이할 때 쓰는 도구 등을 낱낱이 거론한다.
이제 마무리할 때가 되었다. 상택지(相宅志, 권107∼108)에서는 조선 전체의 지리적 공간에서 살 곳을 고르는 방법, 살 터전을 마련하는 방법 등을 소개한다. 그리고 예규지(倪圭志, 권109~113)에서 조선 전체의 경제에 대해 총괄적으로 다룬다.
‘임원경제지’의 내용은 농촌에서 사는 사대부의 이상적인 삶이다. 하지만 굳이 사대부의 이상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그것은 아마도 서유구가 상상한 이상적 사회였을 것이다. 조선의 이데올로기 성리학은 물질적 생활의 윤택함에 바탕을 둔 인간의 삶이 아니라, 유가의 윤리에 의해 의식화된 도덕적 삶을 이상적인 삶으로 규정했다.
그럴까? 도덕적 삶이 아름답기야 하지만, 그래도 물질적 삶의 영위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그 도덕이 무슨 소용이 있을 것인가. 서유구는 ‘임원경제지’를 통해 이상적 삶은 윤리적으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안정되고 세련된 물질적 생활의 풍요 속에 있다고 반론을 편 셈이다. 이것이 그의 학문을 실학이라 말하는 근거일 터다. 18년 동안 세상에서 버려진 사람의 가슴속에는 자신이 학문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고 믿은 유토피아가 있었던 것이다.
끝으로 한마디. 이 방대한 책, ‘임원경제지’는 서유구의 저작인가. 그렇다. 하지만 또 아니다. 이 책은 900여 종의 책에서 인용된 자료로 구성된 책이다. 물론 서유구 자신의 저술도 포함됐지만 몇 종에 불과하다. 어떻게 이런 책이 가능했을까? 이 점을 다음 호에서 다루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