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큰 성공을 거둔 뮤지컬 ‘레베카’가 다시 관객을 찾았다. 뮤지컬 ‘엘리자벳’ ‘모차르트!’ 작곡가 실베스터 르베이와 극작가 미하엘 쿤체가 의기투합해 만든 대표적인 흥행작이다. 1938년 영국에서 출간된 대프니 듀 모리에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1940년 스릴러의 거장 앨프리드 히치콕 감독이 영화화하기도 했다.
작품은 ‘나(I)’라는 여인이 맨덜리 저택을 회상하며 시작한다. 불의의 사고로 아내 레베카를 잃은 막심 드 윈터 백작은 몬테카를로를 여행하던 중 우연히 ‘나’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행복한 결혼식을 올린 두 사람은 윈터 백작의 맨덜리 저택으로 향한다.
제목은 ‘레베카’지만 레베카는 등장하지 않는다. 극중 선박 사고로 이미 사망한 것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그 대신 ‘나’를 제외한 모든 출연진은 레베카를 만난 적이 있다. 처음에 ‘나’는 레베카가 어떤 사람일까 궁금해하지만, 실체 없는 대상에 대한 호기심은 이내 공포로 바뀐다.
막심 역엔 초연 당시 열연했던 오만석 외에 엄기준과 민영기가 새롭게 캐스팅됐고, ‘나’ 역에는 임혜영과 오소연이 캐스팅됐다. 일반 작품이라면 주연이 중요하겠지만, ‘레베카’에서 가장 중요한 역은 조연인 댄버스 부인이다. 그는 끊임없이 긴장감을 부여하고, ‘나’와 대립하며, 관객까지도 레베카가 살아 있다고 믿게 만든다.
이 역은 폭발적인 성량과 카리스마를 기본으로 갖추고 대표 넘버인 ‘레베카’를 소화하면서 압도적인 존재감을 보여줘야 한다. 이런 댄버스 부인 역에는 옥주현과 신영숙 외에 리사가 새롭게 합류했다. 옥주현은 제7회 더 뮤지컬 어워즈에서 댄버스 부인 역으로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숭배했던 레베카의 숨겨진 진실을 알고 배신감을 느낀 댄버스 부인이 광기에 사로잡혀 대저택에 불을 지르는 장면은 이 작품의 하이라이트. 히치콕 감독의 동명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이 장면은 무대에서 어떻게 재연됐을까. 해외판 뮤지컬 ‘레베카’에서는 횃불을 들고 계단을 걸어 올라가는 댄버스 부인 뒤로 아슬아슬한 타이밍에 불기둥이 치솟는다.
아쉽게도 국내 작품에선 이런 장면을 만날 수 없다. 초연 당시 “국내 소방법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라이선스 계약을 할 때 그 장면이 빠졌다”는 설이 돌았는데, EMK뮤지컬컴퍼니 관계자로부터 직접 들은 바로는 “배우 안전을 고려했고, 기술적으로 극장 안에서 구현할 수 있는 최대한의 상황을 연출했다”고 한다. 국내 공연에선 바닥에서 불길이 솟구치는데, 앞자리 관객은 후끈함을 느낄 수 있다. 활활 타오르는 회전무대를 보지 못하는 건 아쉽지만, 화려한 넘버와 배우들의 호연이 충분히 만족감을 준다. 11월 9일까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
작품은 ‘나(I)’라는 여인이 맨덜리 저택을 회상하며 시작한다. 불의의 사고로 아내 레베카를 잃은 막심 드 윈터 백작은 몬테카를로를 여행하던 중 우연히 ‘나’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행복한 결혼식을 올린 두 사람은 윈터 백작의 맨덜리 저택으로 향한다.
제목은 ‘레베카’지만 레베카는 등장하지 않는다. 극중 선박 사고로 이미 사망한 것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그 대신 ‘나’를 제외한 모든 출연진은 레베카를 만난 적이 있다. 처음에 ‘나’는 레베카가 어떤 사람일까 궁금해하지만, 실체 없는 대상에 대한 호기심은 이내 공포로 바뀐다.
막심 역엔 초연 당시 열연했던 오만석 외에 엄기준과 민영기가 새롭게 캐스팅됐고, ‘나’ 역에는 임혜영과 오소연이 캐스팅됐다. 일반 작품이라면 주연이 중요하겠지만, ‘레베카’에서 가장 중요한 역은 조연인 댄버스 부인이다. 그는 끊임없이 긴장감을 부여하고, ‘나’와 대립하며, 관객까지도 레베카가 살아 있다고 믿게 만든다.
이 역은 폭발적인 성량과 카리스마를 기본으로 갖추고 대표 넘버인 ‘레베카’를 소화하면서 압도적인 존재감을 보여줘야 한다. 이런 댄버스 부인 역에는 옥주현과 신영숙 외에 리사가 새롭게 합류했다. 옥주현은 제7회 더 뮤지컬 어워즈에서 댄버스 부인 역으로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숭배했던 레베카의 숨겨진 진실을 알고 배신감을 느낀 댄버스 부인이 광기에 사로잡혀 대저택에 불을 지르는 장면은 이 작품의 하이라이트. 히치콕 감독의 동명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이 장면은 무대에서 어떻게 재연됐을까. 해외판 뮤지컬 ‘레베카’에서는 횃불을 들고 계단을 걸어 올라가는 댄버스 부인 뒤로 아슬아슬한 타이밍에 불기둥이 치솟는다.
아쉽게도 국내 작품에선 이런 장면을 만날 수 없다. 초연 당시 “국내 소방법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라이선스 계약을 할 때 그 장면이 빠졌다”는 설이 돌았는데, EMK뮤지컬컴퍼니 관계자로부터 직접 들은 바로는 “배우 안전을 고려했고, 기술적으로 극장 안에서 구현할 수 있는 최대한의 상황을 연출했다”고 한다. 국내 공연에선 바닥에서 불길이 솟구치는데, 앞자리 관객은 후끈함을 느낄 수 있다. 활활 타오르는 회전무대를 보지 못하는 건 아쉽지만, 화려한 넘버와 배우들의 호연이 충분히 만족감을 준다. 11월 9일까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