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9일, 박희태 국회의장이 2008년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과 관련해 전격 사퇴했다. 고승덕 의원이 2008년에 받았다가 돌려준 돈 봉투의 출처로 박 의장 측을 지목한 지 한 달여 만이다. 박 의장은 그간 비판적 여론에도 사퇴를 거부해왔다. 그러나 박 의장의 비서였던 고명진 씨가 검찰에서 “고 의원 측으로부터 300만 원을 돌려받은 뒤 당시 캠프 상황실장이던 김효재 현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에게 보고했다”고 진술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더는 버틸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박 의장의 임기는 5월 29일까지였다.
검사장 출신으로 1988년 13대 총선 때 정계에 입문한 박 의장은 민정당 대변인 시절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총체적 난관” 같은 뛰어난 말솜씨로 이름을 날렸다. 17대까지 내리 5선을 했지만, 18대 총선에서는 ‘MB 측근’으로 분류돼 공천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돈 봉투’ 파문의 발단이 된 2008년 7월 전당대회 때 당대표로 선출되면서 정치적으로 화려하게 부활했으나 결국 불명예 퇴진이라는 부메랑을 맞았다. 박 의장이 사퇴문에서 밝힌 ‘무한책임’ 의지가 ‘꼬리 자르기’의 다른 말은 아니겠지요?
검경 “학교폭력 용납 안 해”

대형마트 강제 휴무 논란 가열
유통산업발전법 개정 이후 대형마트의 휴무를 강제하려는 움직임이 전국 지방자치단체로 확산되고 있다. 전주시의회가 2월 8일 대형마트 휴업일을 강제로 지정하는 조례를 만들기로 한 데 이어 경남 진주시 등도 조례 개정을 추진 중이다. 대형마트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서울시도 1월 21일 자치구 25곳에 조례 개정을 준비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통산업발전법은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이 24시간 영업하는 것을 제한하고, 매달 1∼2회 의무적으로 쉬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업계는 헌법소원을 제기하겠다며 반발하고 있다. 의무휴업일 지정이 마트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고, 재산권 침해 가능성도 있다는 주장이다. 쉬는 것도 내 맘대로 안 되는 세상.
안철수, 공익재단 설립 계획 발표

주간동아 824호 (p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