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90

2011.06.07

“Never Forget 가평!”

호주, 6·25 참전 희생자 추모 열기…춘계대공세 막아낸 가평전투 戰史에 기록

  • 시드니=윤필립 시인·호주 전문 저널리스트 phillipsyd@hanmail.net

    입력2011-06-07 09:3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Never Forget 가평!”

    4월 24일 시드니 근교 홀스워디에 위치한 3대대에서 ‘가평의 날’ 행사가 열렸다. 사진은 가평 퍼레이드.

    호주를 처음 방문하는 사람은 나라 곳곳에 세워진 전몰자 추모탑을 보고 의아해한다. 아주 작은 동네라도 사람 왕래가 많은 공원 한복판에 추모탑을 세워놓았기 때문이다. 추모탑에는 그 고장 출신으로 전쟁터에 나가 희생한 사람의 이름과 함께 참전한 나라, 전사한 날짜, 나이, 계급 등을 새겨놓았다. 추모탑 중앙에 헌화대가 있는데, 그 위에 ‘우리가 잊지 않게 하소서(Lest we Forget)’라는 시구 한 줄이 있다. 헌화 후 시구를 읽으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을 자연스럽게 추모하게 된다.

    추모탑을 둘러보면 제1, 2차 세계대전과 6·25전쟁이 호주가 참전한 주요 전쟁임을 알 수 있다. 베트남전쟁과 최근 발발한 이라크전쟁, 아프가니스탄전쟁 희생자도 확인할 수 있다. “호주는 지금도 전쟁 중”이라는 주요 정치인들의 연설이 문뜩 떠오른다.

    사방 어디를 둘러봐도 평화롭게 보이는 나라지만, 150년 동안 전쟁을 이어가고 있다. 1861년 호주는 마오리족과 백인이 싸움을 벌인 뉴질랜드전쟁에 파병했다. 올해로 꼭 150년 전의 일. 지금도 이 나라 군인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전쟁을 하는 중이다. 2월 22일 전사한 리처드 E 와킨슨 상병은 22세 청년이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전사한 22번째 호주 군인으로, 22라는 숫자가 세 번이나 겹쳐서 화제가 됐다. 그는 150년간의 전쟁에서 희생된 호주의 10만2812번째 전몰자로 기록됐다.

    호주가 파병한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단전쟁(1885), 남아프리카전쟁(일명 보어전쟁·1899~1902), 중국 의화단혁명(1900~01), 제1차 세계대전(1914~18), 제2차 세계대전(1939~45), 승전국으로 일본 점령(1946~51), 6·25전쟁(1950~53), 말레이 비상사태(1950~60), 인도네시아 내전(1963~66), 베트남전쟁(1962~75), 제1차 걸프전쟁(1990~91), 이라크전쟁(2001~05), 아프가니스탄전쟁(2001~현재), 평화유지군 임무 수행(1947~현재).

    호주 10만2812번째 전몰자



    그중에서 호주군 사상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전쟁은 제1차 세계대전이다. 당시 6만3163명이 전사하고 15만2171명이 부상당했다. 그때 호주 인구가 약 450만 명이었으니, 피해가 어느 정도였는지 알 수 있다. 호주 국민 11명 중 1명꼴인 31만3814명이 전쟁터에 나갔고, 그들 가운데 65%가 죽거나 부상당했다. 특히 18~44세 호주 남성 5명 중 1명이 전사했다. 이 나라의 작은 마을에도 전몰자 추모비가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호주군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가장 치열하게 전투를 벌인 곳은 터키의 갈리폴리와 프랑스 서부전선의 포지에르다. 특히 6주 동안 벌어진 포지에르전투에서 2만3000명이 전사했다. 하루 평균 약 550명이 세상을 떠난 것.

    제1차 세계대전은 사람들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이름 없이 죽어간 병사들의 원혼처럼 피어난 빨간색 양귀비꽃. 호주를 비롯한 영국, 프랑스, 미국에선 제1차 세계대전 종전기념일인 11월 11일을 ‘추모의 날’로 정하고, 그날 가슴에 양귀비꽃을 단 채 11시 11분 11초에 전국적인 묵념을 올린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은 호주 국민에게 ‘국가’와 ‘애국’이라는 개념도 남겼다. 로열오스트레일리아역사학회 프랭크 본지오노 교수는 “1901년 연방국가로 출범한 호주는 국가 정체성을 확실하게 정립하지 못하다가 제1차 세계대전에서 큰 피해를 본 뒤 비로소 국가 의식을 확실하게 갖게 됐다”고 분석했다.

    6·25전쟁 역시 만만치 않았던 전쟁으로 이 나라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 호주는 6·25전쟁에 육군 1만657명, 해군 4057명, 공군 2000명을 참전시켰고 전사 339명, 부상 1216명, 포로 29명이라는 희생을 기록했다. 특히 6·25전쟁에서 매우 중요한 전투였던 ‘가평전투’는 호주 육군 3대대(이하 3대대)가 주역이다. 당시 수도 서울을 이틀 만에 빼앗길 정도로 무력했던 한국군은 연합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를 역전했지만, 중공군의 인해전술로 다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중공군의 ‘춘계대공세’가 있던 1951년 4월 23~24일 이틀간 경기 가평 일대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이때 3대대가 이 가평전투에 참가했던 것.

    3대대는 ‘가평대대’ 자부심

    “Never Forget 가평!”

    가평전투 참전용사 프랭크 윈터스 씨.

    4월 24일 밤 중공군이 퇴각한 가평전선은 서울에서 불과 56km 떨어진 곳으로, 3대대의 희생이 없었다면 서울까지 속수무책으로 밀렸을 것이다. 호주군 33명과 뉴질랜드군 2명이 전사한 가평전투는 호주 전쟁사에 기록됐다. 3대대는 트루먼 미국 대통령의 부대 표창과 함께 ‘가평대대’라는 별칭도 얻었다.

    올해로 60주년을 맞은 가평전투를 기념하려고 4월 16일 콩코드병원(구 전쟁부상자 원호병원) 채플에서 ‘가평전투 60주기 추모식’을 열었다. ‘6·25전쟁 참전용사협회 NSW(New South Wales) 지부’가 주관한 이 추모식에는 뉴사우스웨일스 주 마리 배셔 총독과 6·25전쟁 참전국 외교사절 등이 참석했다. 배셔 총독은 가평전투 당시 유엔군 총사령관이었던 매튜 B. 리지웨이 장군이 쓴 공적 인증서를 인용해 “3대대가 4월 23일 새벽부터 24일 야간까지 완전히 포위된 상태였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결사항전의 정신으로 중공군 1개 사단의 공격을 막아냈다”며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날 추모식에는 호주 시드니에 거주하는 프랭크 윈터스(78) 씨가 참석했다. 그는 “가평전투 당시 18세로 가평대대 막내였다. 부대원 대부분이 제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여서 대열 뒤쪽에서 싸우도록 배려해줬다”고 회고하면서 “이틀 동안 빵 한 조각 먹을 수 없는 급박한 상황이었지만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호주인 특유의 동료애가 없었다면 불가능한 전투였다”고 말했다.

    시드니에서 성대하게 열린 ‘가평의 날’

    4월 24일 오전, 시드니 근교 홀스워디에 위치한 3대대에서 가평전투 60주년을 기념하는 ‘가평의 날’ 행사를 열었다. 이날 3대대 연병장에는 수많은 관람객이 운집했다. 어린 자녀를 동반한 군인 가족, 호주 국기와 태극기를 함께 든 청소년들이 눈에 띄었다. 특수부대인 3대대는 1년 내내 철통같은 보안을 유지하지만 ‘가평의 날’ 하루는 일반인에게 공개한다. 고막이 터질 듯한 굉음이 울리고 붉은색 연막이 여기저기 피어오르는 동안, 낙하산을 타고 내려온 3대대 병사들은 건물 침투 훈련 시범을 마치 실제 상황처럼 선보였다. 이어 이날의 하이라이트인 ‘가평 퍼레이드’를 시작했다.

    2시간 남짓 이어진 퍼레이드에서 가장 감동적인 장면은 가평전투 당시 중대장이었던 벤 오도우드(92) 대령이 휠체어를 타고 연병장으로 나가 가평대대 깃발에 ‘가평 휘장’을 묶는 모습이었다. 연단 바로 옆 관람석에 앉아 있던 존 브라운(89) 참전용사는 “2/400116 군번으로 오도우드 중대장과 함께 싸웠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이날 가평 퍼레이드는 시드니에 작별을 고했다. 3대대가 올 연말에 타운즈빌로 옮겨가기 때문. 3대대 트렌트 스콧 대대장은 “가평 퍼레이드는 호주 육군 연례행사 가운데 아주 중요한 행사”라며 “오늘은 시드니에서 열리는 마지막 퍼레이드인 만큼 규모도 크게 늘렸고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다.

    줄리아 길라드 호주 총리는 가평전투 60주년을 맞아 4월 24일 한국을 방문했으며, 가평전투 현장에서 호주 출신 희생자를 추모했다. 그는 가평전투 현장을 방문한 최초의 호주 총리다. 4월 24일자 ‘시드니모닝헤럴드’는 ‘길라드 총리, 망각으로부터 기억하다’라는 제목으로 이 사실을 크게 보도했다.

    한인동포의 참전 보은행사

    “올핸 우호증진의 밤 … 참전용사 존경, 호주 국민 정서 배워야”


    6·25전쟁에 참전해 큰 공을 세운 호주 용사를 위해 해마다 보은행사를 여는 한인동포들이 있다. ‘대한민국 베트남 참전 유공전우회 오스트레일리아지회’(회장 이중광)는 해마다 ‘가평전투 기념일’ 즈음해 6·25전쟁에 참전했던 호주 군인들을 초청해 ‘한호 참전용사 우호증진의 밤’ 행사를 개최한다. 2006년 이 행사를 처음 구상하고 개최한 이윤화 당시 회장은 “가평 퍼레이드에 빠지지 않고 가보니 해마다 참석하는 호주 군인의 숫자가 줄고 있었다”며 “그들 대부분이 고령자로 언제 세상을 떠날지 모른다는 걸 알게 된 후 서둘러 행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는 “6·25전쟁이 호주에서 서서히 잊히면서 섭섭해하던 노병이 대거 참석했다”며 “어떤 이는 전쟁으로 폐허가 된 대한민국만 기억하다가, 한국인 이민자들이 보은행사를 여는 것을 보고 감격의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고 말한다.

    4월 25일 버우드RSL클럽에서 열린 2011년 행사에는 수백 명의 노병이 참석했다. 노병들은 3시간 동안 다양한 한국 문화 공연과 호주 컨트리음악 공연을 감상했다. 그리고 디너쇼가 끝난 다음 한국에서 온 정성스러운 선물과 건강을 기원하는 한국인 후배 용사들의 경례를 받았다. 지팡이에 의지한 호주 노병들은 자신들의 희생이 결코 헛되지 않았다며 떨리는 목소리로 답례했다.

    이 전 회장은 시드니에 거주하는 동갑내기 베트남전쟁 참전 전우 고영환 씨, 곽명근 씨와 함께 이 행사가 이어질 수 있도록 후원한다. 경제적 후원뿐 아니라 자원봉사에도 적극 나선다. 현재 호주에는 6·25전쟁과 베트남전쟁에 참전한 한국인이 300명 남짓 거주한다. 두 전쟁에 참전한 노병도 4명 있다. 호주 정부는 이 나라가 개입한 모든 전쟁에 참전한 이민자도 이 나라 참전용사로 대우한다. 이 나라 참전용사가 국가로부터 받는 각종 혜택을 똑같이 누리는 것.

    참전용사는 일반인이라면 67세 이상이 돼야 받을 수 있는 노인연금을 60세부터 받는다. 노인연금은 월 2300호주달러(약 250만 원). 그뿐 아니라, 펜션카드를 이용해 교통비, 병원비, 건강유지비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런 혜택은 배우자에게도 똑같이 돌아간다. 게다가 1년에 두 차례씩 부부동반 버스투어까지 가능하다. 그야말로 세계 최고 수준의 국가유공자 보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 2007년 가평전투 기념일에 맞춰 이 나라를 방문한 채명신 전 주월사령관은 “호주의 국가보훈제도에 크게 감명했다”며 “경제적 지원도 그렇지만, 학생을 포함한 전 국민을 상대로 국가를 위해 목숨 걸고 싸운 참전용사를 마음 깊이 존중하도록 만드는 정서가 부럽다”고 말했다.

    이 전 회장도 “이 나라의 제대 군인과 함께 시가행진을 하며 한국을 생각한다”면서 “우리나라도 전쟁이 발발했을 때 목숨 걸고 나라를 지킨 호국영령과 참전용사를 대우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