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nks for the Memory(추억을 남겨줘서 고마워요)’는 얼마 전 100세를 일기로 타계한 미국의 전설적인 코미디언 보브 호프가 불러 유명해진 노래다. 영국 태생으로 네 살 때 미국으로 건너와 17세에 미국 시민이 되어 미국 대통령이 18번이나 바뀌는 것을 지켜본 보브 호프. 그는 위대한 코미디언이며 배우, 가수, 명사회자, 골프를 지극히 사랑한 사람, 그리고 장수한 부호로 기억될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보브 호프는 평생 세계 곳곳을 다니며 미군 위문공연을 펼친 것으로 유명하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부터 한국전, 월남전 전선을 누볐고 80세를 훨씬 넘긴 나이에 걸프전 최전선에서 위문공연을 했다. 이처럼 그는 전쟁이라는 가장 힘든 상황에 처한 사람들에게 위로와 웃음, 그리고 그의 이름 그대로 희망(hope)을 안겨준 진정한 코미디언이다.
‘보브 호프’ 죽음 기리는 미국인들 교훈 되새겨야
이런 그의 공로를 기려 미국 의회는 1997년 미국 역사상 전무한 ‘명예퇴역미군’ 표창을 했고, 1998년 영국 정부는 그에게 기사 작위를 내렸다. 보브 호프의 이름을 딴 미 해군함정, 공군항공기, 할리우드의 길거리 등도 생겼다. 또 지난 5월 미국 정부는 그의 100세 생일을 기념해 ‘보브 호프 애국상’을 제정하기도 했다.
부시 대통령은 그의 죽음에 부쳐 한 위대한 미국 시민을 잃었다고 애도하면서 전국에 조기를 걸도록 지시했고, 매스컴은 앞다투어 추모특집을 만들었다. 한 연예인의 죽음이 온 미국을 술렁이게 한 것이다.
그런데 보브 호프의 죽음을 대하는 미국인들을 보면서 새삼 깨닫는 사실이 있다. 미국 사회가 연예인이든 스포츠 스타든 혹은 정치인이든 어느 분야에서나 오랫동안 축적된 값진 경험과 전통을 소중히 여긴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전통이 없는 나라이기 때문이라고 폄하하기도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것이 등장하고 옛것이 금세 기억 속에서 사라져버리는 오늘의 세태를 생각할 때 전통을 중시하는 미국의 분위기는 큰 의미가 있다.
언제나 그랬듯이 미국 사회는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축적한 경험을 귀히 여기고 오랜 세월의 고난을 이겨내며 만들어진 전통을 중시한다. 보브 호프의 경우만 해도 1903년에 태어나 100년을 살다 간 사람이니 구세대 중에서도 한참 구세대고, 오늘을 사는 우리가 그에 관해 아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의아해하기 쉬우나 미국에서는 그렇지 않다. 제이 레노, 우디 앨런, 제리 사인펠드, 코난 오브라이언 등 미국의 내로라하는 배우, 코미디언들은 보브 호프로부터 큰 영향을 받고 영감과 배움을 얻었다고 고백한다. 그것이 미국의 전통이다.
이 대목에서 한국의 상황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지금 한국에서는 젊은층을 주요 지지기반으로 하는 참여정부가 들어서 하나의 새로운 정치세대를 탄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옛것에 모조리 ‘수구(守舊)’라는 낙인을 찍고 배척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정치개혁, 재벌개혁, 언론개혁 등등 정권이 바뀔 때마다 개혁이라는 말이 참으로 흔해지는 것이 한국 사회다.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것을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과거의 경험과 연륜을 헌신짝처럼 내던지고 ‘개혁’에만 매달리는 것 같아 안타깝다. 한국 사회에서 유행하고 있는 ‘사오정’ ‘오륙도’와 같은 우스갯소리가 그 사실을 단적으로 대변한다. 그렇다면 지금 한국 사회는 모든 분야에 풋내기(rookie)들만 있는 셈이다. 지금 한국 사회가 다소 위험스럽게 보이는 것은 그 때문이다. 반면 미국 사회가 견실해 보이는 것은 경험과 연륜과 전통을 존중하는 사회라는 데 있다. 풋내기들 앞에는 그들보다 먼저 시행착오를 겪으며 풋내기에서 노장으로 성장한 이들이 있고, 또 풋내기들도 언젠가 노장이 된다는 사실을 왜 모르는가.
옛것이 오랜 세월을 두고 가치가 있는 것은 상황과 여건이 바뀔 때마다 일을 처리하는 도구와 방법론은 바뀌더라도 예전부터 추구해오던 가치와 이상 그 자체는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경험과 연륜과 전통은 하루아침에 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더욱 하루아침에 내팽개쳐서는 안 된다. 경험과 연륜과 전통을 존중하는 사회는 튼튼하다. ‘Thanks for the Memory’의 선율과 함께 보브 호프에 대한 추억은 오래도록 우리 곁에 머물 것이다. 한국인들의 가슴속에 보브 호프는 과연 어떤 사람으로 남아 있을까. 우리가 다음 세대에게 물려주고 싶은 추억은 또 무엇인가.
하지만 무엇보다도 보브 호프는 평생 세계 곳곳을 다니며 미군 위문공연을 펼친 것으로 유명하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부터 한국전, 월남전 전선을 누볐고 80세를 훨씬 넘긴 나이에 걸프전 최전선에서 위문공연을 했다. 이처럼 그는 전쟁이라는 가장 힘든 상황에 처한 사람들에게 위로와 웃음, 그리고 그의 이름 그대로 희망(hope)을 안겨준 진정한 코미디언이다.
‘보브 호프’ 죽음 기리는 미국인들 교훈 되새겨야
이런 그의 공로를 기려 미국 의회는 1997년 미국 역사상 전무한 ‘명예퇴역미군’ 표창을 했고, 1998년 영국 정부는 그에게 기사 작위를 내렸다. 보브 호프의 이름을 딴 미 해군함정, 공군항공기, 할리우드의 길거리 등도 생겼다. 또 지난 5월 미국 정부는 그의 100세 생일을 기념해 ‘보브 호프 애국상’을 제정하기도 했다.
부시 대통령은 그의 죽음에 부쳐 한 위대한 미국 시민을 잃었다고 애도하면서 전국에 조기를 걸도록 지시했고, 매스컴은 앞다투어 추모특집을 만들었다. 한 연예인의 죽음이 온 미국을 술렁이게 한 것이다.
그런데 보브 호프의 죽음을 대하는 미국인들을 보면서 새삼 깨닫는 사실이 있다. 미국 사회가 연예인이든 스포츠 스타든 혹은 정치인이든 어느 분야에서나 오랫동안 축적된 값진 경험과 전통을 소중히 여긴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전통이 없는 나라이기 때문이라고 폄하하기도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것이 등장하고 옛것이 금세 기억 속에서 사라져버리는 오늘의 세태를 생각할 때 전통을 중시하는 미국의 분위기는 큰 의미가 있다.
언제나 그랬듯이 미국 사회는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축적한 경험을 귀히 여기고 오랜 세월의 고난을 이겨내며 만들어진 전통을 중시한다. 보브 호프의 경우만 해도 1903년에 태어나 100년을 살다 간 사람이니 구세대 중에서도 한참 구세대고, 오늘을 사는 우리가 그에 관해 아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의아해하기 쉬우나 미국에서는 그렇지 않다. 제이 레노, 우디 앨런, 제리 사인펠드, 코난 오브라이언 등 미국의 내로라하는 배우, 코미디언들은 보브 호프로부터 큰 영향을 받고 영감과 배움을 얻었다고 고백한다. 그것이 미국의 전통이다.
이 대목에서 한국의 상황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지금 한국에서는 젊은층을 주요 지지기반으로 하는 참여정부가 들어서 하나의 새로운 정치세대를 탄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옛것에 모조리 ‘수구(守舊)’라는 낙인을 찍고 배척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정치개혁, 재벌개혁, 언론개혁 등등 정권이 바뀔 때마다 개혁이라는 말이 참으로 흔해지는 것이 한국 사회다.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것을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과거의 경험과 연륜을 헌신짝처럼 내던지고 ‘개혁’에만 매달리는 것 같아 안타깝다. 한국 사회에서 유행하고 있는 ‘사오정’ ‘오륙도’와 같은 우스갯소리가 그 사실을 단적으로 대변한다. 그렇다면 지금 한국 사회는 모든 분야에 풋내기(rookie)들만 있는 셈이다. 지금 한국 사회가 다소 위험스럽게 보이는 것은 그 때문이다. 반면 미국 사회가 견실해 보이는 것은 경험과 연륜과 전통을 존중하는 사회라는 데 있다. 풋내기들 앞에는 그들보다 먼저 시행착오를 겪으며 풋내기에서 노장으로 성장한 이들이 있고, 또 풋내기들도 언젠가 노장이 된다는 사실을 왜 모르는가.
옛것이 오랜 세월을 두고 가치가 있는 것은 상황과 여건이 바뀔 때마다 일을 처리하는 도구와 방법론은 바뀌더라도 예전부터 추구해오던 가치와 이상 그 자체는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경험과 연륜과 전통은 하루아침에 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더욱 하루아침에 내팽개쳐서는 안 된다. 경험과 연륜과 전통을 존중하는 사회는 튼튼하다. ‘Thanks for the Memory’의 선율과 함께 보브 호프에 대한 추억은 오래도록 우리 곁에 머물 것이다. 한국인들의 가슴속에 보브 호프는 과연 어떤 사람으로 남아 있을까. 우리가 다음 세대에게 물려주고 싶은 추억은 또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