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97

..

노란 꾀꼬리가 나무를 쪼는 형국

  • 김두규/ 우석대 교수 dgkim@core.woosuk.ac.kr

    입력2003-08-07 17:2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노란 꾀꼬리가 나무를 쪼는 형국

    전북 정읍시 태인면에 있는 가수 송대관의 생가.

    가수 송대관을 유명하게 만들어준 노래는 ‘쨍 하고 해 뜰 날’이다. 가수로서 이름을 날리기 전 어두웠던 시절 그에게 ‘쨍!’ 하고 햇빛을 비춰준 이 노래는 1970년대 당시 가난한 서민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다.

    70년대 중반 필자가 전주에서 고등학교에 다닐 무렵이었다.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영생고등학교가 있었는데 그 학교에는 야간반이 있어서 시골 출신들이나 고학생들이 많이 다녔다. 야간수업을 끝내고 귀가하는 그들은 매일 밤 ‘쨍 하고 해 뜰 날’을 목이 터져라 부르며 우리 집 앞을 지나갔다. 어째 조용하다 싶은 날은 주말이나 공휴일이다. 그들이 그렇게 ‘쨍 하고 해 뜰 날’을 유독 좋아했던 데는 특별한 이유가 있다. 송대관이 바로 영생고 선배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에게 밤의 ‘교가(校歌)’는 ‘쨍 하고 해 뜰 날’이었고, 송대관은 그들의 우상이었다.

    노래의 가사 내용은 힘든 삶을 살고 있는 이들에게 희망을 주기에 충분했다. ‘꿈(목표)→노력→성공’이라는 ‘삶의 모델’을 명쾌하게 제시하고 있고, 그것을 송대관이 자신의 삶을 통해 모범적으로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풍수에서 흔히 인걸지령론(人傑地靈論)을 이야기한다. 땅에 따라 다양한 직업 혹은 재능을 가진 인물들이 나온다는 것이다. 예컨대 ‘장군형’에서는 무인적 기질의 사람이, ‘옥녀(玉女)형’에서는 팔방미인이, ‘선인(仙人)형’에서는 속세를 벗어난 자유분방한 예술인이 나온다고 한다.

    송대관이 ‘트로트의 제왕’이 될 수 있었던 데는 어떤 것들이 영향을 미쳤을까? 다양한 풍수적 요인들이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노란 꾀꼬리가 나무를 쪼는 형국
    송대관의 생가는 전북 정읍시 태인면 소재지에 있다. 호남 제일의 정자로 알려진 피향정이 있는 이곳 태인은 자타가 공인할 만큼 보수적 성향이 강한 곳이다. 일제 때 태인 대신 ‘신태인’이란 이름으로 철도역이 개설된 것도 바로 그 보수성 때문이라고 한다. 답사 중에 만난 김종순씨(58)는 “(태인 사람들이) 입도 짜고, (태인의) 물도 짜고, 사람도 짜다는 말이 있다”고 말했다. ‘사람도 짜다’는 말이 그 보수성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물이 짜다’는 것은 태인에서 오래 산 사람들은 모두 공감한다. 답사 중에 만난 김송자씨(58) 역시 “이곳 물은 맛이 짤 뿐만 아니라 빨래를 하면 때가 지지 않아. 그래서 시집 와서 처음에 얼마나 고생했는지 몰라”라고 말했다.

    물맛에 따라 인심이 달라진다는 사실은 이미 2500여년 전 중국의 사상가이자 정치가인 관중(管仲:?~B.C. 645)이 이야기한 것으로, 그는 “물은 만물의 본원이자 모든 생명체의 종실이며, 아름답고 추함, 어질고 어리석음을 생겨나게 하는 것”이라고 했다. 최근 일본인 에모토 마사루가 쓴 ‘물은 답을 알고 있다’에서 “물은 생명을 잉태하는 어머니이며, 몸의 70%를 차지하는 물 속에 기억된 정보가 우리의 인격을 형성한다”는 주장 역시 그다지 새로운 내용은 아니다.

    태인의 또 다른 특성은 그곳 사람들이 ‘노래를 잘한다’는 것이다. 송대관의 외삼촌인 국희엽씨(68)는 “이곳에는 노래 잘하는 사람이 많은데, 특히 송대관 외갓집 식구들이 모두 음정이 정확하다”며 “대관이가 어려서부터 노래에 소질이 있었다”고 말했다.

    특이한 것은 송대관의 생가 터다. 주산(主山)인 항가산의 큰 산줄기가 일직선으로 내려오는 곳 중간 지점에 생가가 있고, 산줄기는 다시 내려가 넓은 들판으로 잦아든다. 지세가 마치 큰 나무와 같다. 내룡(來龍·주산에서 뻗어 내려온 산줄기)은 태인의 넓은 들판에 뿌리를 내린 나무의 굵은 줄기에, 우산처럼 펼쳐진 항가산은 나무의 잎부분에 해당한다. 송대관의 생가 터는 나무줄기에 매달려 있는 새와 같다.

    풍수에서는 이를 ‘노란 꾀꼬리가 나무를 쪼는 형국(黃鶯啄木形)’이라고 말한다. 꾀꼬리는 노랫소리가 아름답다. 그러나 꾀꼬리는 나무에 잠시 살다가 떠난다. 그래서일까, 이런 집터는 사람을 오래 머물 수 없게 한다. 가수 송대관이 태어나 자랐던 그 집터는 그새 주인이 몇 번 바뀌었다.

    ‘쨍 하고 해 뜰 날’의 노래가사처럼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오늘의 그를 있게 해준 배경에는 그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고향의 인심과 환경, 물맛, 집터,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가 있을 것이다.



    실전 풍수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