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83

..

베이스볼 비키니

꽃길만 걷는 마무리 투수는 필요할까

7점 차 9회 말 투아웃에 등판한 정우람 논란에 세이브 제도 회의론 떠올라

  • 황규인 동아일보 기자 kini@donga.com

    입력2019-04-05 17: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KIA 타이거즈 투수 문경찬이 3월 26일 광주 홈경기에서 9회 말 타석에 올라 한화 이글스 투수 정우람을 상대하고 있다. [동아DB]

    KIA 타이거즈 투수 문경찬이 3월 26일 광주 홈경기에서 9회 말 타석에 올라 한화 이글스 투수 정우람을 상대하고 있다. [동아DB]

    한화 이글스와 안방팀 KIA 타이거즈가 맞붙은 3월 26일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한화가 13-7로 6점 앞선 9회 말 2아웃 상황에서 한용덕 한화 감독은 지난해 35세이브로 1위를 기록한 정우람(34)을 마운드에 올렸습니다. 그러자 김기태 KIA 감독은 원래 타석에 있던 황대인(23)을 빼고 투수 문경찬(27)을 대타로 내보냈습니다. 문경찬이 어깨에 방망이를 걸친 채 3구 삼진을 당하는 동안 김 감독은 연거푸 생수만 들이켰습니다. 

    경기 후 투수를 대타로 내보낸 이유에 대한 궁금증이 이어졌지만 김 감독은 입을 굳게 닫았습니다. 그 대신 선수들이 입을 열었습니다. 한 KIA 베테랑 선수는 “그라운드에서 지켜야 할 예의와 존중을 지키지 않은 데 대한 경고”라고 말했습니다. 요컨대 한화에서 ‘불문율’을 어겼다는 겁니다. 

    반면 한 감독은 “도발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는 “정우람이 계속 등판하지 못해 컨디션을 점검할 필요가 있었다”며 “지금까지처럼 잘 지내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정우람이 실전 등판한 건 같은 달 19일 시범경기 이후 일주일 만에 처음이었습니다.

    세이브가 뭐길래?

    한화 이글스 마무리 투수 정우람. [동아DB]

    한화 이글스 마무리 투수 정우람. [동아DB]

    ‘불문율(不文律)’은 ‘문서의 형식을 갖추지 않은 법’(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라는 뜻입니다. 문서로 명확한 기준을 밝혀둔 게 아니기 때문에 사람마다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날 광주에서 KIA 쪽은 ‘이 정도면 불문율을 어겼다’고 판단한 반면, 한화는 ‘이 정도는 아니다’라고 생각했던 겁니다.



    그래서 정말 불문율이 문제인 걸까요? 이렇게 해석이 달라서 문제가 생겼으니까 차라리 ‘6점 이상 벌어졌을 때는 마무리 투수를 투입해 상대팀 심기를 거스르지 않는다’고 명문화하면 되는 걸까요?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이번 사건은 불문율이 아니라 마무리 투수가 문제였습니다. 마무리 투수라는 포지션이 따로 없었다면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았을 겁니다. 

    한화는 광주로 향하기 전 서울 잠실LG·두산홈야구장에서 두산 베어스와 개막 2연전을 치렀습니다. 이 두 경기에서 정우람은 왜 마운드에 오르지 못했을까요? 위기가 없어서? 

    한화는 개막전(3월 23일) 때 3-3 동점이던 8회 말 2사 이후 2점을 내주면서 결국 4-5로 패했습니다. 9회에 추가점을 뽑았으니 8회를 무실점으로 막았다면 승리할 수도 있었습니다. 한화는 이날 8회 송은범(35)-김범수(24)-이태양(29)을 잇달아 마운드에 올렸지만 끝내 실점을 막지 못했습니다. 

    이날 8회 2사 1, 2루에 두산 타석에 들어선 건 왼손 타자 호세 미구엘 페르난데스(31)였습니다. 이럴 때는 왼손 투수를 내보내는 게 일반적이고 정우람은 왼손 투수지만 한 감독은 그를 마운드에 올리지 않았습니다. 왜일까요? 간단합니다. 세이브 상황이 아니었으니까요! 

    그 탓에 한화는 팀에서 제일 좋은 불펜 투수, 그것도 왼손 투수를 써보지도 못하고 개막전을 내줬습니다. 만약 한화가 두산과 한국시리즈 7차전을 치렀대도 한 감독이 정우람을 올리지 않았을까요? 당연히 아닐 겁니다. 마무리 투수가 세이브를 올리는 것보다 팀 승리가 중요하니까요. 

    (여기서 잠깐 퀴즈. 한 감독이 지난해 역전 주자가 나가 있는 상황에서 정우람을 마운드에 올린 건 몇 번이었을까요? 정답은 마지막에 공개합니다.) 

    물론 시즌 마지막 경기와 개막전은 다릅니다. 시즌이 길게 남아 있으면 불펜 투수 등판 일정을 조정하는 것도 당연합니다. 그런데 그다음 날에는 선발로 나선 외국인 투수 채드 벨(30)이 너무 잘 던지는 바람에 11-1로 이겨 한 감독은 또 정우람을 쓰지 못했고, 광주에서 결국 사달이 났습니다. 

    감독이 미래를 알 수는 없지 않느냐고요? 네, 제 말이 그 말입니다. 나중에 세이브 기회가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데, 팀에 이미 위기가 찾아왔는데 팀에서 제일 좋은 불펜 투수를 끝까지 아끼는 게 팀에 무슨 도움이 될까요? 도대체 마무리 투수는 뭐고, 세이브는 뭔데요?

    세이브를 잊어버리자!

    최근 3년간 최고 세이브를 기록한 롯데 자이언츠 마무리 투수 손승락. [동아DB]

    최근 3년간 최고 세이브를 기록한 롯데 자이언츠 마무리 투수 손승락. [동아DB]

    타선이 1회 초에 1점을 냈습니다. 이후 투수 9명이 각 1이닝 무실점으로 막으면서 1-0 승리를 거뒀습니다. 그러면 이 투수 9명의 기록은 어떻게 될까요? 2회에 던진 투수는 승리, 3~8회를 맡은 투수 7명은 홀드, 9회에 나온 투수는 세이브를 기록합니다(한국, 일본과 달리 메이저리그에서는 홀드가 공식 기록이 아닙니다). 

    영어 낱말 그대로 풀이하면 세이브(save)는 ‘지켜낸다’라는 뜻. 이 경기에서 9회에만 위기가 있었고 그 선수만 위기에서 팀 승리를 지켜냈다고 확언할 수 있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래도 이 선수만 세이브를 얻어갑니다. 

    이 사례는 너무 극단적이지만 마지막 1이닝을 책임지는 마무리 투수만 특별 대접을 받는다는 사실은 똑같습니다. 최근 3년(2016~2018) 동안 한국 프로야구에서 나온 세이브는 총 950개. 이 중 540세이브(56.8%)를 정확히 1이닝을 던진 선수가 가져갔습니다. 아웃 카운트를 1개(54세이브) 또는 2개(64세이브)를 잡고 세이브를 기록한 투수까지 합치면 이 비율은 69.3%까지 올라갑니다. 

    이렇게 세이브를 기록할 수 있을 때까지 아끼고 아껴주기 때문에 마무리 투수는 위기를 별로 맞지도 않습니다. 이 3년 동안 세이브를 제일 많이(85세이브) 기록한 건 롯데 자이언츠 손승락(37)입니다. 손승락은 이 기간 총 732타석을 상대했는데 역전 주자가 누상에 있던 건 7번(0.96%)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맞습니다. 다 잡았던 고기를 놓치는 게 처음부터 못 잡는 것보다 훨씬 아깝습니다. ‘9회에는 유령이 산다’고 말하는 분도 있습니다. 7, 8회에 잘 던지던 투수도 마무리를 맡겨놓으면 흔들리는 일이 잦다는 겁니다. 

    정말 맞는 말일까요? 메이저리그 기록을 살펴보면 세이브(1969년 도입)라는 공식 기록이 존재하지 않았던 1960년대나 1이닝 마무리 투수가 보편화된 1980년대 이후나 9회 역전패 비율은 거의 변화가 없습니다(표 참조).

    마무리가 무슨 의미가 있나요?

    말하자면 1이닝 마무리 투수는 △실제로는 승률을 별로 끌어올리는 것도 아닌데 △최대한 아끼고 아주 잘 관리해 △세이브를 기록할 수 있는 상황에만 곱게 마운드에 올려 보내야 하는 ‘천연기념물’ 같은 존재입니다. 물론 때로는 장기간 세이브 상황이 없을 수도 있으니 상대팀 심기를 불편하게 하지 않을 때를 잘 골라 컨디션을 점검하는 일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맙소사! 

    메이저리그에서는 이미 ‘1이닝 마무리 투수’ 회의론이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2015년 메이저리그에서 30세이브 이상 기록한 투수는 총 20명이었는데 지난해에는 절반(10명)으로 줄었습니다. ‘세이브용’ 투수를 따로 두는 대신 상황에 맞는 불펜 운용을 선택한 결과입니다. 크레이그 킴브렐(31)은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뛴 지난해 42세이브로 아메리칸리그 1위를 기록하고도 새 시즌을 개막할 때까지 새 팀을 찾지 못했습니다. 

    정우람은 2015 시즌이 끝난 뒤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어 한화와 4년간 총액 84억 원에 계약했습니다. 연평균 21억 원을 받아가는 셈이죠. 이 21억 원짜리 투수가 지난해 마운드에 오른 건 총 55번입니다. 그러면 이 가운데 역전 주자가 누상에 있던 건 몇 번이었을까요? 정답은 제로(0)입니다. 그 대신 연봉 3600만 원이던 김민우(24)가 이런 상황에서 19번 한화 마운드를 지켜야 했습니다. 정말 이 정도로 아끼고 아껴야 할 만큼 마무리 투수가 고귀한 존재고, 세이브가 대단한 기록인가요? 팀 승리보다 더?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