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93

..

‘고기 잡는 법’ 가르치지 않고 ‘고기’만 먹여주는 한국 교육

  • 입력2005-07-07 17:0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고기 잡는 법’ 가르치지 않고 ‘고기’만 먹여주는 한국 교육
    자녀를 두고 있는 30, 40대 부모들이 어릴 적 아침 밥상 앞에서 가장 많이 들었던 잔소리는 무엇일까. 아마도 “학교 가서 선생님 말씀 잘 들어라”일 것이다. 지난날 우리에게 배움은 이렇듯 수동적인 형태로 존재했다. 오늘날 똑똑하다는 젊은이들도 시키는 것은 잘하지만 혼자 알아서 하라면 움찔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는 그 젊은이들이 학교 다닐 때 어려운 문제를 끙끙대며 혼자 생각해 풀기보다는 참고서나 과외선생의 도움으로 빨리 해결했다는 방증일 수도 있다.

    언젠가 미국의 한 바닷가로 휴가를 갔을 때 있었던 일이다. 배 안에서 음료수 자판기를 이용했는데, 대개 육지에서 1달러 정도인 음료들이 ‘1.25센트’로 육지보다 비쌌다. 그런데 필자 뒤로 금발의 남자아이가 다가와서 가격표를 쳐다보더니 “아빠, 음료수 값이 1달러 아니면 25센트인가 봐요”라고 말하는 것이다. 무슨 말인가 싶어 부자의 대화에 귀 기울여보니 그 아버지가 빙긋이 웃으며 “생각보다 싼데, 확실하니” 하고 묻자 아이는 “그럼요. 분명히 1달러 또는 25센트라고 쓰여 있어요”라고 자신 있게 답했다. 아마도 아이는 1과 25 사이에 찍혀 있는 점을 둘 중 하나에 해당하는 값만 내면 되는 것으로 이해한 모양이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아버지의 태도다. 아이가 착각했다는 것을 알았을 텐데도 아이에게 25센트를 건네는 것이다. 그러고는 손에 1달러를 들고 조금 떨어져 있었다. 이 부자가 어떻게 했는지 끝까지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아이가 몇 번 애쓰다 도움을 청할 때까지 뒤에서 진득하게 기다리는 아버지의 모습이 눈에 그려졌다. 자기 아들이 똑똑하지 못하다는 걱정이나 실망도 없이 말이다. 하지만 아이는 그날 이후 달러와 센트 사이엔 점이 있다는 것 하나는 확실히 배웠을 것이다.

    수학 선생님은 수학시간에 칠판에 미로 속에 갇힌 생쥐 한 마리를 그려놓고 수학문제를 푸는 것은 이 쥐가 구석에 있는 문을 찾기 위해 이길 저길을 가보는 것과 같다고 말씀하셨다. “처음엔 자꾸 길이 막혀 다시 돌아와야 해 번거롭지만 한번 길을 찾으면 그 미로 안에선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른 미로를 만났을 때 웅크리고 있지 않고 자신 있게 길을 찾아 나설 수 있는 용감한 쥐가 된다.”

    아이들이 새로운 일에 부닥쳤을 때 즐거운 마음으로 그 미로를 빠져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부모의 몫이다. 처음엔 간단한 단계의 미로여서 어른들에게는 쉬워 보이고, 또 어떤 아이들은 쉽게 빠져나오겠지만 아이에 따라선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빠르냐가 아니라, 그 미로를 나오면서 얼마나 많은 생각을 했느냐일 것이다.



    문득 아내가 한 이야기가 생각난다. 한번은 서울에서 미국으로 온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이 분수의 더하기와 빼기는 잘하는데 분수의 정확한 개념을 모르는 것 같아 긴 끈을 가지고 잘라가며 설명해주었다. 그러자 학생이 고개를 끄떡이며 열심히 듣더니 “그런데 한국에서 그렇게 가르치면 문제를 빨리 못 풀어서 학생들이 안 좋아해요”라고 말하더란다. 학생들에게 ‘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야 하는데, 급하다고 ‘고기’만 먹여주는 한국 교육의 현실을 상징하는 말 같았다. 자판기 앞에서 1달러를 들고 아이가 스스로 깨달을 때까지 기다리는 여유가 왜 우리에겐 없는 것일까.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