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31일 경기도 한 고등학교에서 열린 사설학원 입시설명회에 참석했다가 문득 그날의 기억이 떠오른 건, 아마도 그때 그 어머니의 표정과 이날 만난 학부모들의 눈빛이 다르지 않았기 때문일 겁니다. 이날도 학부모들은 열정적이었습니다. 강의 시작 30분 전부터 운동장 가득 승용차가 늘어서기 시작하더니, 평일 저녁인데도 적지 않은 수의 ‘아버지’들이 자리를 채웠습니다. 학원에서 제공한 자료집을 펴놓고 여백 가득 강사가 들려주는 수험 전략을 메모하는 모습은 진지하기 이를 데 없었습니다.
7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달라진 건 외부 환경뿐인 것 같습니다. 학부모들이 좀더 쾌적하게 사교육 ‘전문가’를 만날 수 있도록 진학상담 장소가 오피스텔에서 학교로 바뀌었습니다. 이제는 현직 교사들이 조연으로 등장해 장내 정리를 해줍니다. 강사가 ‘입시 전략’을 들려주는 동안 교사들은 학생들을 동원해 보조 좌석을 배치하느라 바빴습니다.
![지난 7년간 달라진 것](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20/09/04/10/200904100500014_1.jpg)
서울시교육청 대학진학지도지원단 팸플릿 첫 장에 쓰여 있는 문구입니다. 고등학교 선생님이 해야 하는 일이 진학지도만은 아닐 겁니다. 하지만 인문계 고3 학생 대부분의 목표가 대학 진학인 현실에서, 담임교사가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에 대해 함께 대화할 수 없다면 선생님과 학생 사이의 거리가 좁혀질 수 있을까요. 사설학원 강사들이 학교까지 진출하는 현실을 보며 ‘공교육 정상화’의 길이 얼마나 멀고 험한지 새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