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인’ 무기로 급성장 오프라인과 공존 필요](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20/05/06/07/200506070500041_1.jpg)
“할인형 온라인서점이 자기 능력 이상으로 빨리 시장을 확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할인판매라는 무기가 크게 작용했다. 그러나 조만간 그 무기는 더 이상 사용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머지 않아 그들의 뜻대로 정가제가 무너지고 모두가 할인판매를 시작한다면 독자들은 온라인서점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고 책은 거리의 오프라인서점에서 구입하는 역류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한소장은 기본적으로 온라인서점의 할인판매를 반대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어느 한쪽을 두둔한다는 인상을 주지만, 이 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서점의 ‘상생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는 한국의 온라인서점들은 많이 팔면 팔수록 적자만 누적되는 거대한 ‘아마존식 모델’이 아닌, 도서정가제를 근간으로 하면서 다양한 온라인서점 모델을 실험하고 있는 일본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온라인서점은 할인으로 경쟁하지 않아도 책에 관한 양질의 정보를 수집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커뮤니티를 만들어 독자들의 독서이력(履歷)을 관리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매력적이라는 것이다. 반면 경쟁력이 없는 작은 서점들도 네트워크를 구성해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서점을 구축할 수 있다.
독자이며 소비자들이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온라인서점은 폐가식 도서관이고, 오프라인 서점은 개가식 도서관이라는 사실이다. 우리에게는 둘 다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