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변동성을 의사 결정의 일차적 잣대로 삼아야 한다. 변동성이란 가격 변화폭을 뜻한다. 변동성은 수익 원천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손실 원인이기도 하다. 변동성을 따져야 하는 이유는 만일 은퇴 초기에 큰 손실을 입으면 회복하기가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
‘-50=+100의 법칙’과 변동성
재무설계 법칙 가운데 ‘-50=+100의 법칙’이란 게 있다. 2000만 원을 투자했는데 -50% 수익률을 기록하면 원금은 1000만 원으로 쪼그라든다. 여기서 원금을 회복하려면 +50%가 아닌 +100%의 수익률을 올려야 한다. ‘-50=+100의 법칙’이 말하는 바는 시장 상황이 나빠 어쩔 수 없이 손실이 나더라도 덜 잃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다. 덜 깨먹어야 회복 가능성도 높아진다. 덜 깨먹으려면 변동성이 낮은 자산을 선택해야 한다.
은퇴자산 운용을 위해 펀드 같은 투자 상품을 고를 때도 수익률만 봐서는 안 되고, 과거 변동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개인투자자가 변동성을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 가운데 하나는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았을 때 얼마나 선방했는지를 따져보는 것이다. 수익률이 조금 낮더라도 변동성이 낮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은퇴자산 운용에선 더 바람직한 방법이다.
최근 초저금리 시대에 접어들면서 소위 중위험·중수익 상품군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중위험·중수익이라 해서 변동성이 모두 낮은 것은 아니다. 중위험·중수익 상품이라는 같은 범주에 속해도 변동성은 천차만별이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은퇴자산은 변동성 고려가 최우선](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20/14/11/24/201411240500021_2.jpg)
셋째, 한국 경제의 구조적 리스크도 생각해야 한다. 만일 우리나라가 일본처럼 잃어버린 20년 세월을 맞이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970~80년대 세계 경제를 호령했던 일본 경제는 80년대 말과 90년대 초 버블 붕괴 이후 지금까지 고통스러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소니처럼 잘나가던 기업도 줄줄이 위기에 봉착했다.
요즘 일부 전문가 사이에서는 ‘일본화(日本化·Japanization)’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부쩍 높아졌다. 일본화는 일본처럼 장기 복합 불황에 빠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저금리·저성장·저물가 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저축과 소비, 투자가 모두 줄어드는 현상도 함께 나타난다. 중앙은행을 통해 아무리 돈을 풀어도 개인과 기업은 저축과 소비, 투자를 하지 않고 부채를 갚아나간다. 일본 경제 전문가 리처드 쿠는 이런 현상을 ‘대차대조표 불황’이란 말로 표현한다. 대차대조표상에서 부채가 많기 때문에 돈이 생기는 대로 부채를 갚다 보니 저축도, 소비도 늘지 않고 경기가 침체 국면에 놓인다는 것이다.
장기 복합 불황 국면에서는 금리가 낮더라도 주식과 부동산 수익률은 높아지지 않는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두 가지뿐이다. 선구안을 높여 투자 대상 선정에 심혈을 기울이는 것이다.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할 때 시장 전체가 아닌, 세심하게 종목 투자를 해야 한다는 얘기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해외에 투자하는 것이다. 최근 국내 투자자가 후강퉁(상하이 증권거래소와 홍콩 증권거래소 간 교차매매를 허용하는 정책)의 시행으로 중국 주식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새롭게 성장하는 기업이 많은 중국에서 투자 기회를 엿보는 게 한국에만 투자하는 것보다는 투자 지평이 넓기 때문이다.
경제의 일본화(日本化)와 은퇴자산
한국 경제가 성장을 계속한다면 더 바랄 바 없겠지만 지금은 최악의 시나리오에도 대비해야 할 때다. 장기 복합 불황 국면에서 은퇴자산을 보호하는 길 가운데 하나는 자산 일부를 국내가 아닌 해외투자에 할당하는 것이다. 분산은 안전성을 높이는 위력한 방법이다.
넷째, 인출 전략을 반영해야 한다. 전통적인 포트폴리오 이론은 주식과 채권 같은 자산의 변동성과 상관관계에 있다. 중간에 돈을 인출하거나 새로 투입하는 것은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은퇴자산의 독특한 점은 언젠가 생활비 재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생활비는 자산 관점에서 보면 현금흐름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이 보유한 자산에서 현금흐름을 어떻게 꾸준히 만들어내느냐가 은퇴자산 운용의 핵심 과제다. 아직 국내에서는 다양한 인출 전략을 가진 금융상품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월지급식 펀드, 브라질 국채, 즉시 연금 정도만이 인출 구조를 갖고 있다. 향후 금융회사들은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맞춰 여러 인출 전략을 제공할 필요가 있고, 개인투자자도 인출 전략에 따라 어떻게 현금흐름을 확보할 것인지를 지금부터 깊이 고민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