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97

2011.07.25

고수익 ELS 펀드 불편한 진실 알려주마!

모르는 상품은 외면하라

  • 이건 ‘대한민국 1%가 되는 투자의 기술’ 저자 keonlee@empas.com

    입력2011-07-25 10:4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고수익  ELS 펀드 불편한 진실 알려주마!
    당신은 금융상품을 얼마나 아는가. 별로 달갑지 않은 질문이다. 금융상품은 만만치가 않다. 상품 내용은 물론 이름조차 생소하다. 난해하고 해괴망측하기까지 하다. 전문가라는 사람이 설명해줘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고, 겨우 이해해도 돌아서면 깜깜해진다. 내가 부족한 탓일까. 이렇게 생각한다면 당신은 소위 전문가의 ‘작전’에 말려든 셈이다. 순진한 고객의 기를 꺾어 놓아, 자신에게 의지하게 하려는 작전 말이다. 이런 작전에 말려들면 자칫 당신의 미래가 아니라 전문가의 미래를 살찌우는 제물이 될 수 있다. 섬뜩하지 않은가.

    복잡한 상품 알 필요 없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는다면, 도무지 뭔 말인지도 모르는 어려운 상품에 어떻게 투자한단 말인가.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공부해서 제대로 이해한 다음 투자하는 것이다. 전설적인 투자의 거장 피터 린치는 “공부하지 않고 투자하는 것은 패를 보지 않고 포커를 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패를 보지 않고 포커를 한다면, 운 좋게 몇 판은 딸지 몰라도 결국 빈털터리가 될 수밖에 없다.

    다른 하나는 아예 모르는 상품에는 투자하지 않는 것이다. 아마 금융회사 직원이 “이렇게 좋은 상품이 날이면 날마다 나오는 것이 아니므로 서둘러 투자하라”고 권유할지 모른다. 이 대목에서 조심해야 한다. 필자가 거듭 강조하는 두 가지 기준 △실력이 입증된 사람 △사심 없이 공정하게 조언할 수 있는 사람인지 따져보아야 한다. 직원 대부분이 회사에서 평가받는 기준은 투자 실력이 아니라 금융상품 판매 실력이다. 게다가 요즘 나오는 첨단 금융상품에는 흔히 선물, 옵션이 포함되므로 어지간한 전문가 아니면 이해하기 힘들다. 직원들은 고객을 관리하고 서류를 챙기는 작업만으로도 힘에 부친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고객과 금융회사 직원의 이해관계가 충돌한다는 점이다. 특히 주식을 매매하는 고객과 증권회사 직원 사이에서 이런 모습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고객이 주식을 자주 사고팔아 거래비용이 증가할수록 직원은 돈을 많이 번다. 고객이 좋은 종목을 잡아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자주 매매하지 않는다면, 직원은 손가락만 빨아야 한다. 유능한 직원으로 인정받아 돈 벌고 승진하려면 고객이 자주 매매하도록 유도할 수밖에 없다.



    이런 관계는 미국이라고 다를 바 없다. 그래서 윌리엄 번스타인은 ‘투자의 네 기둥’에서 “주식 중개인이 고객에게 해주는 서비스란 은행강도가 은행에 해주는 서비스와 비슷하다”고 꼬집었다. 펀드도 마찬가지다. 대개 직원의 능력은 ‘수익성 높은’상품의 판매 실적으로 결정된다. 고객의 수익성이 아니라 회사의 수익성이 높아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직원은 각종 수수료를 많이 떼는 상품을 적극 권할 수밖에 없다. 금융회사 직원이 가장 먼저 권하는 상품은 그 직원에게 가장 유리한 상품이고, 자연히 투자자에게는 가장 불리한 상품일 공산이 크다.

    금융회사 직원의 실력과 공정성에 대해 워런 버핏은 특유의 재치를 발휘한다.

    “금융회사 직원이 투자자의 돈에 대해 지금까지 보여준 판단력과 절제력은, 알코올 중독자가 술을 대하는 태도와 다를 바 없었습니다. 따라서 책임감 있는 바텐더가 손님의 귀갓길을 걱정해 매상이 줄더라도 한잔 더 달라는 요구를 거절하는 것처럼, 금융회사도 책임감을 느껴야 할 것입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2011년 3월 초 기준 국내 설정 펀드 수는 9227개다. 그 중 66%가 규모 100억 원이 안 되는 자투리펀드다. 자투리펀드는 운용하기 불편하면서 수입은 적은 천덕꾸러기 펀드다. 너무 많이 펀드를 만들다 보니 펀드 3개 중 2개가 천덕꾸러기가 돼버린다. 새로 나오는 금융상품에 서둘러 투자하려고 안달할 필요가 전혀 없다.

    무더기로 버려지는 상품들

    고수익  ELS 펀드 불편한 진실 알려주마!

    ELS가 아무리 좋은 제품이라도 잘 모른다면 투자하지 않는 것이 상책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인기를 누려온 주가연계증권(ELS)을 생각해보자. ELS는 대개 어떤 종목의 주가가 일정 범위를 유지하면 높은 수익을 얻고, 그 범위를 벗어나면 손실을 보는 구조다. 예컨대 종목 A가 6개월 동안 10만 원 밑으로 내려가지 않으면 높은 수익을 얻고, 내려가면 손실을 보는 식이다. 주식에 어느 정도 감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런 식으로 생각할 만하다. “A 같은 우량 종목이 설마 6개월 안에 10만 원 밑으로 내려가겠어? 요즘 시장 분위기로 볼 때 그럴 가능성은 희박해!” 어느 정도 자신감이 생긴 투자자 김씨는 과감하게 ELS에 돈을 넣는다. 김씨는 이 상품을 제대로 알고 투자한 것일까.

    김씨는 자신이 돈 버는 조건만 알 뿐, 상대편이 어떤 식으로 돈 버는지는 알지 못한다. 포커나 고스톱에 비유하면 자기 패만 들여다볼 뿐, 상대편의 패를 전혀 짐작지 못하는 셈이다. 상대는 내 패를 모두 안다. 더군다나 내가 만기까지 같은 패를 꼭 쥐고 있어야 한다는 사정까지 안다.

    증권회사는 주로 중개를 통해 돈을 번다. 스스로 위험을 떠안는 일은 본업이 아니다. 이는 김씨와 반대로 주가를 예상하는 사람이 시장에 많다는 뜻이다. 증권회사는 자신의 보수까지 충분히 반영한 ELS 상품을 만들었다고 봐야 한다.

    김씨에게 주가를 내다보는 남다른 통찰력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김씨는 ELS로 계속 돈을 벌 것이다. 그런 통찰력이 있다면 굳이 ELS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 선물이나 옵션을 이용하면 훨씬 빨리 큰돈을 벌 수 있다. 따라서 ELS는 김씨에게 좋은 투자 상품이 아니다.

    이번에는 김씨가 평범한 투자자에 불과하다고 가정하자. 몇 번은 운 좋게 벌 수 있지만, 이런 거래를 계속한다면 행운의 여신은 김씨를 외면할 것이다. 비유하자면, 김씨의 ELS 투자는 기댓값이 90%대인 룰렛이나 슬롯머신에 계속 돈을 거는 것과 같다. 슬롯머신에 100원을 넣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당첨금은 100원이 아니라 90원 님짓에 불과하다. 증권회사가 상품을 판매하면서 챙기는 이익 때문이다.

    김씨는 자신의 예측이 맞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희망사항에 불과하다. 단지 그럴 듯하게 포장해놓은 조건에 혹해, 자신이 남들보다 주가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것일 뿐이다. 낙관적 기대는 김씨뿐 아니라 거의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으로, 행동재무학에선 과신(過信)이라 부른다.

    고수익  ELS 펀드 불편한 진실 알려주마!
    룰렛이나 슬롯머신이 조작되면 더 위험한 경우에 처한다. 예컨대 만기까지 똑같은 패를 그대로 들고 있어야 하는 김씨 처지를 증권회사가 악용하는 사례다. 만일 증권회사 직원이 실적에 쫓기는 상황이라면 위험을 무릅쓰고 반칙을 저지를 수도 있다. 손쉬운 먹잇감이 코앞에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투자 역사를 돌아보면 이런 반칙은 수없이 되풀이됐다. 워런 버핏이 따끔하게 충고한 것도 이 때문이다. 아무튼 김씨가 평범한 투자자라고 가정해도 ELS는 좋은 상품이 아니다.

    * 이건은 은행에서 펀드매니저로 국내 주식과 외국 채권 및 파생상품을 거래했고, 증권회사에서 트레이딩 시스템 관련 업무도 했다. 지금은 주로 투자 관련 고전을 번역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