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32

..

벽화 그렸다가 ‘무속’ 시비 곤욕

  • 김두규/ 우석대 교수 dgkim@core.woosuk.ac.kr

    입력2004-04-23 11:2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벽화 그렸다가 ‘무속’ 시비 곤욕

    ① 광주 북구청 청사 벽면에 그려진 홍성담의 벽화 원본. ② 가운데 태봉산 부분이 무속적이라는 이유로 화가의 허락도 없이 덧칠해졌다. ③ 가운데 태봉산의 합장 그림.

    광주 북구청에 가면 청사 벽면에 대형 벽화가 그려져 있다. 화가 홍성담씨의 작품으로 풍수와 사연이 깊다. 홍씨는 풍수지리가 우리의 전통 자연관임을 확신하는 이다. 흔히 우리의 전통 자연관이나 대지관이 도가나 유가, 또는 무속신앙에서 기인한다고 하지만 과거 우리 조상들의 자연관을 직접적으로 규정한 것은 바로 풍수학(지리학) 고시과목들이었다.

    풍수학 관리 선발시험의 고시과목으로 규정된 과목들을 공부해 시험에 통과한 이들을 조선시대에는 ‘지관(地官)’이라 불렀다. 이들은 도읍지와 왕릉 선정부터 사대부 무덤 자리잡기까지 터 잡기에 관여했다. 따라서 땅은 이들에 의해 ‘부자가 될 땅’ ‘자손이 많이 나올 땅’ 또는 ‘빈천해질 땅’ 등으로 평가됐으며, 사람들은 그런 가치관으로 땅을 바라보았다. 즉 자연을 보는 관점이 ‘가치중립적’이지 않고 풍수학 고시과목에서 언급하는 땅에 대한 평가방식에 따랐던 것이다.

    홍씨는 이러한 풍수설을 우리의 전통 자연관이라고 해석한다.

    “세상의 모든 것들이, 하찮은 미물은 물론 길가에 구르는 돌멩이 하나까지도 다 살아(生) 있다고 믿는 것에서부터 풍수학은 시작한다. 그러므로 풍수학은 생명끼리 서로 화해를 구하고, 삶의 터전인 땅과 인간이 어떻게 조화롭게 상생할 것인가를 논한다. 이렇게 우리들 인간이 숨을 쉬듯 땅도 숨을 쉰다. 땅이 숨을 들이켜면 지맥을 만들고 내쉬면 물(水)이 흘러간다.”

    벽화 그렸다가 ‘무속’ 시비 곤욕

    명당도.

    그는 이런 자연관을 자신의 많은 작품 속에서 구체화하고 있는데, 그의 ‘명당도’도 그 가운데 하나다. 그림에 그려진 집 뒤에 있는 산이 주산(主山)이고 좌우로 감싸고 있는 산들이 청룡과 백호다. 마당 좌우로 흐르는 물은 명당수이고, 그 명당수가 합해지는 곳에서 오리 두 마리가 헤엄치고 있는데 이것이 합수다. 기와집이 있는 곳이 풍수에서 기가 온전하게 모인다는 혈(穴)자리다. 전형적인 명당도다.



    광주 북구청 청사에 있는 벽화에도 그의 이런 풍수 관념이 뚜렷하게 반영돼 있다. 원래 광주 중심가(광주역 부근)에는 1960년대까지만 해도 ‘태봉’이라는 높이 50여m의 야산이 있었다. 그 생김새가 마치 큰 새의 알이나 구슬 같았는데, 조선 성종 임금의 태가 묻힌 곳으로 ‘태봉’이라는 지명을 갖고 있었다.

    이 태봉이 차지하는 풍수적 중요성은 매우 컸다. 광주 지역에서 대대로 터를 잡고 살아온 노인들은 광주를 ‘이무기가 용(龍)이 되어 하늘로 날아오르는 모습’으로 해석한다. 이때 태봉은 용의 여의주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런데 1967년 계림동에 있던 경양 방죽을 메울 때 태봉이 흙으로 사용되는 바람에 없어졌다. 이무기가 승천할 수 있는 못과 여의주가 동시에 없어진 셈이다.

    이것을 아쉬워한 홍성담은 1996년 ‘1980년 광주의 민중항쟁, 없어져버린 태봉과 경양 방죽, 그리고 과학문명 속에 인간 중심의 미래 광주’를 주제로 해 광주 북구청 청사 전면에 초대형 벽화를 그렸던 것이다.

    벽화에서 경양 방죽과 태봉산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태봉 속에는 두 손을 위로 합장하고 있는 사람이 보인다. 광주의 부활을 염원하는 모습이다. 그런데 광주의 일부 종교단체에서 그것이 무속적이라며 거세게 항의했다. 이들의 끈질긴 항의에 못 이긴 북구청은 화가의 허락도 없이 임의로 태봉 속의 사람 부분을 한지 선팅지로 덮어버렸다. 이 사건을 당시 광주의 예술인들과 문화부 기자들은 ‘예술품 암매장’ 사건으로 불렀다.



    실전 풍수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