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21

2004.02.12

기능성 식품 거짓 광고 ‘조심’

  • 채성철 교수/ 경북의대 순환기내과 과장

    입력2004-02-05 13:5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능성 식품 거짓 광고 ‘조심’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건강식품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혹 낫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나 치료 사례에 대한 막연한 동경에 빠져 있는 환자나 소비자를 유혹하는 이른바 ‘기능성 식품’이 최근 범람하고 있다. 이런 식품들은 대체로 값도 비싸서 치료에 사용된 약값보다 오히려 더 많은 돈이 드는 경우가 적지 않다.

    실제 약품과 식품 사이엔 뚜렷한 차이가 있다. 어떤 환자에게 어떻게 사용하면 무슨 효과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지가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된 게 약품이라면, 식품은 질병 치료나 건강에 대한 효과가 전혀 검증되지 않은 경우다.

    하나의 신약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질병에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골라서 동물실험을 거치고, 적정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할당 실험을 해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돼야 한다. 그 과정도 복잡하고 힘도 많이 들어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수백, 수천억원의 비용이 들어간다. 설사 시판 허가를 받아도 새로운 부작용은 없는지 판매 후에도 계속 조사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다.

    반면 기능성 식품은 특정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못한 것들로서 특정 질병(예를 들어 고혈압, 당뇨 등)의 예방이나 치료에 효능·효과가 있다는 말은 절대로 할 수 없다. 그런데도 거짓 효과를 불법으로 광고하는 식품이 우리 주위에 너무도 흔하다. 이렇게 된 데에는 시ㆍ군ㆍ구청에 신고만 하면 식품의 판매가 허가되는 법적인 맹점 때문이다. 비록 늦기는 했지만 정부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강 관련 식품들은 건강기능식품으로 분류,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직접 판매 행위를 허가하기로 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특히 신제품은 물론, 기존에 신고된 건강기능식품 모두를 재평가해 기능성과 안정성이 실제 입증된 식품에 대해서만 판매를 허가해줄 예정이라니 더욱 반가운 일이다.

    기능성 식품 거짓 광고 ‘조심’
    정부의 이런 조치에 발맞춰 이젠 소비자들의 의식도 바뀌어야 한다. 나쁜 생활습관은 스스로 고치고, 몸이 이상할 때는 의사와 상의해 치료를 받도록 하며, 또 불법광고에 현혹돼 기능성 식품을 사용하기보단 효과가 검증된 ‘약품’을 사용한다. 일부의 사람들에겐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는 데 기능성 식품이 다소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식품보다 함량이 더 높은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도 빠르고 몸에도 도움이 된다.



    절제하고 균형을 유지하도록 노력하면 될 일을 스스로 노력하지 않고 ‘어떤 병에 좋다’는 불법 거짓광고에 눈이 멀어 경제적인 손실을 입는 것은 물론 부작용에 시달리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겠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