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79

2003.04.10

“발로만 운전 족동차, 장애인 인생 바꾸죠”

  • 최영철 기자 ftdog@donga.com

    입력2003-04-03 11:1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발로만 운전 족동차, 장애인 인생 바꾸죠”
    백제시대의 고성(古城) 풍납토성이 에워싸 마치 잔디밭 한가운데 동네가 들어선 듯한 서울 송파구 풍납2동. 이 동네엔 요즘 장애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국내 장애인용 차량의 ‘대부’ 고영성씨(49)가 이곳으로 이사한 지 한 달. 자신의 장애 형태에 맞게 차량을 개조하기 위해 몰려든 장애인과 그 가족들은 소문으로만 듣던 고씨가 실제 일하는 모습을 지켜보곤 탄성을 지른다.

    “저 몸으로 어떻게…, 그것도 수십 년씩이나.”

    선천성 소아마비인 고씨는 두 다리를 전혀 쓰지 못하는 중증 장애인이다. 갓 스무 살을 넘긴 1975년 ‘걷지 못하는 대신 달리고 싶다’는 생각에 승용차 변속페달과 가속페달에 쇠막대를 용접해 단 게 그가 만든 첫번째 장애인용 차량이었다. 그는 그때의 감격을 “다리가 새로 생긴 것보다 더 좋았다”고 회고한다. 지금껏 그를 찾아와 차량을 개조한 장애인만 4000여명. 이들은 차만 개조한 게 아니라 고씨로부터 개조차량 운전법을 배우고 장애인 운전면허 교습까지 받았다.

    국내에서 가장 먼저 장애인용 개조 차량을 만들기 시작한 고씨는 99년에는 국내 최초로 발로만 운전할 수 있는 ‘족동차’를 개발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족동차 시스템을 포함해 그가 개발한 장애인용 자동차 부품만 180여종. 그는 이 모두를 직접 선반작업을 하고 용접을 해 완성했다. 차량의 종류가 바뀔 때마다 부속품들도 바뀌기 때문에 그의 연구는 그칠 날이 없었다. 그가 만든 족동차는 현재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운전시험장에도 납품이 돼 사용되고 있다. 장애인용 차량의 불모지인 한국에서 그는 지난 27년 동안 장애인의 발 역할을 충실히 해온 셈이다. 최근 들어 각 자동차 회사들이 장애인용 차량의 생산 판매에 들어가면서 그의 가치는 오히려 더욱 높아졌다. 규격화된 장애인용 차량은 장애의 다양성을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데다 가격마저 비싸기 때문. 자동차회사 영업사원들조차 자회사의 장애인 차량을 제쳐두고 장애인에게 일반차량을 판매한 뒤 고씨에게 달려와 개조를 부탁한다.

    하지만 고씨의 자동차 인생에는 굴곡이 많았다. 애당초 그는 자동차 정비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금은세공업자였다. 그가 장애인용 차량 개조에 나선 것은 단지 장애에 따른 자신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같은 처지에 놓인 장애인들을 돕기 위해서였다. 장애인 운전면허 제도가 없던 70년대에는 장애인이 운전을 한다는 것 자체가 불법이었기 때문에 소문을 듣고 찾아오는 일부 장애인들에게 남의 눈을 피해 개조를 해주는 정도였다.



    “비록 부모에게서 버림받고 보육시설에 맡겨져 초·중학교 모두 야학에 다녔지만 손재주 하나만큼은 남부럽지 않았어요. 그 덕분에 금은세공에서 최고의 위치에 올라 어린 나이에도 꽤 많은 재산을 모을 수 있었죠. 당시 승용차 한 대 값이 연립주택 한 채 가격의 절반을 호가하던 시절이었는데 차를 사서 개조해 썼을 정도였으니까요.”

    금은방을 운영하며 봉사 차원에서 장애인 자동차를 개조해주던 그의 운명이 바뀐 것은 81년 정권을 장악한 신군부 때문이었다. 신군부가 추진한 ‘사회 4대 악 정화’ 과정에서 그는 금은방에 있던 수천만원어치의 금은세공품과 보석류를 ‘밀수품’이라는 이유로 모두 압수당했다. “결국 저의 장애를 ‘사회악’으로 본 거죠. 밀수품은 무슨…. 어쨌든 눈앞이 캄캄했습니다. 뒷일이 무서워 저항할 수도 없고…. 뒷수습하느라 집도 팔고 남은 게 승용차 한 대밖에 없더군요. 그래서 시작한 게 자가용 택시 영업이었습니다. 물론 무면허운전에다 불법영업이었죠.”

    불법영업을 하면서 그는 무려 일곱 번이나 경찰에 입건됐다. ‘보안사 요원’이나 ‘월남전 참전 상이용사’라고 거짓말을 하다 들통이 나 혼이 난 경우도 많다. 한번은 월남전 참전용사 출신 경찰에게 붙잡혀 바로 안기부에 넘겨지기도 했다. “‘월남에서 어디에 근무했었냐’고 묻기에 ‘하노이’라고 대답했더니 바로 거기로 보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하노이는 공산국가였던 월맹의 수도더군요.”

    “발로만 운전 족동차, 장애인 인생 바꾸죠”

    장애인들을 위해 차량을 개조하고 있는 고영성씨(왼쪽).

    불법 자가용택시 영업을 하면서 그는 장애인 차량 개조에 대한 확신을 얻었다. 머리에 떠오르는 대로 만들 수 있는 손재주와 생활고가 그를 발명가로 만든 셈이다. 이런 그에게 다시 기회가 찾아온 것은 83년 장애인면허제도가 생기면서였다. 장애인면허는 나왔는데 장애인이 탈 수 있는 차는 없는, 그야말로 ‘웃지 못할’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고씨의 발명품들은 이때부터 입소문을 타고 빛을 보기 시작했고, 그는 잠실 둔치 주차장에서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운전법을 가르치며 운전면허 교습을 했다. 88년 올림픽 때문에 주차장이 없어지자 그는 자동차학원을 빌려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운전면허 교습을 했다. 물론 고씨가 개조한 승용차를 탄 사람들이 그 대상이었다. 한 달에 장애인 차량 100대를 개조하고 100명의 장애인에게 운전면허를 취득하게 한 적도 있었다. 그러자 이런 열성을 높이 산 송파구청이 그를 위해 운전교습장을 만들어 주었고 그곳에서 그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무료 운전교습을 실시했다.

    85년 ‘영성오토’라는 카센터를 설립하는 등 잘나가던 그는 운전 교육생이 학원강사를 차로 치는 바람에 잠시 좌절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고생도 한때. 꾸준히 그를 찾아주는 장애인들 덕분에 생활은 안정되어갔고 집도 다시 사게 됐다.

    생활이 안정되자 그는 꿈에도 그리던 ‘족동차’를 만들었으나 바로 그것 때문에 다시 한번 빈털터리가 됐다. 일본의 족동차 제작 성공에 자극받아 97년부터 시작한 족동차 개발에 투입한 연구비만 1억5000만원. 바로 이때 닥친 IMF 외환위기로 급격하게 불어난 이자를 감당할 수 없었던 그는 결국 다시 집을 팔아야만 했다. 모진 고생 끝에 2년 뒤인 99년 발로만 운전할 수 있는 족동차 시스템을 개발했지만 가격이 500만원인 족동차 시스템을 사려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 말 그대로 ‘쫄딱 망한’ 것이다. 그는 40대 후반에 다시 힘겨운 월세살이를 시작했다.

    “머릿속에는 새로 개발해야 할 장애인 차량에 대한 기술이 많지만 이제는 여력이 없습니다. 국가가 해야 할 일을 아무런 지원 없이 개인이 혼자 하니 되겠습니까.” 말은 이렇게 하지만 장애인 차량의 대부 고씨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기술을 보다 많은 장애인에게 나눠주기 위해 오늘도 굵은 땀방울을 흘리고 있다.



    사람과 삶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