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77

..

美테크 요즘 물올랐네

미술작품, 주식·부동산 대체 투자처로 각광 … 공급 제한, 수요 급증 상승랠리

  • 최엽 자유기고가 cheyop@gmail.com

    입력2007-03-14 16:1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테크 요즘 물올랐네

    고미술과 근현대미술품을 통틀어 경매 사상 최고가인 25억원에 낙찰된 박수근의 그림 ‘시장의 사람들’.

    P씨는 지난해 여윳돈 약 1억원의 투자처를 찾고 있었다. 주식의 경우 경제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고 판단해 선뜻 추가 투자에 마음이 가지 않았다. 연일 쏟아지는 부동산값 억제책을 보면서 부동산 투자도 망설여졌다.

    P씨가 최종적으로 내린 결정은 미술품 구입이었다. 평소 미술작품에 관심이 있었던 데다 미술품이 투자 대상이 된다는 주변의 권유가 있었기 때문. 미술시장을 아는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P씨는 이대원의 ‘농원’ 시리즈 1점과 젊은 작가의 작품 3점을 구입했다. 이대원의 작품은 서울 인사동 한 화랑에서 구입했고 젊은 작가의 작품은 경매시장에서 낙찰받았다.

    1년이 지난 지금, P씨는 구입한 미술품의 가격이 상승해 쏠쏠한 이익을 챙겼다. 인사동에 시장 가격을 물어본 결과 이대원의 작품은 지난해 구입할 당시 가격보다 약 50% 올랐다. 젊은 작가의 작품 역시 이에 못지않은 가격 상승률을 기록했다. P씨는 조만간 이들 작품을 처분한 뒤 이 자금으로 다른 미술품을 구입할 예정이다.

    3월7일 한국의 대표 근대화가로 꼽히는 박수근(1914~1965)의 작품은 국내 미술품 경매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1962년작인 ‘시장의 사람들’이 25억원에 낙찰됐다.

    美테크 요즘 물올랐네

    장욱진의 ‘나무’(왼쪽). 서울 종로구 사간동에서 열린 K옥션의 미술품 경매 현장.

    이처럼 최근 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에 대한 불안이 커지면서 미술작품을 대체 투자자산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금융시장에선 미술작품에만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아트펀드까지 등장했다.



    아트펀드 연 15% 목표 수익률

    현재 국내에서 운용 중인 아트펀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지난해 만들어진 아트특별자산펀드와 올해 운용을 시작한 스타아트펀드가 그것이다. 이들 펀드는 모두 연 15% 이상의 목표 수익률을 제시하고 있다.

    미술작품을 대체 투자자산으로 간주하는 움직임은 해외에서 더 활발하다. 아트펀드의 시조 격인 영국의 파인아트펀드(Fine Art Fund)는 지난해 첫 번째 펀드 모집을 마친 데 이어 최근에는 2호 펀드와 중국미술에만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차이나펀드, 그리고 인도 현대미술에만 투자하는 인디안펀드를 모집 운용하고 있다. 파인아트펀드는 지난해 10월 “1차 펀드 자산의 20%에 해당하는 작품 12점을 팔아 평균 61.5%의 연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파인아트펀드는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서 자금을 모집하고 있으며 최소 투자금액은 25만 달러(차이나펀드, 인디안펀드는 각각 10만 달러)다.

    그렇다면 투자 대상으로서 미술작품은 어떤 특성이 있을까?

    무엇보다 미술시장은 공급이 제한된 데 비해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구조로 돼 있다. 모든 미술작품은 원칙적으로 하나다. 반면 시간이 흐르면서 경제가 발전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수요층이 생기면서 작품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고 가격은 상승한다. 실제로 국내 경매회사가 미술품 경매시장에서 거래가 활발한 근현대 서양화 작가 30명을 대상으로 가격 상승률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이들 작가의 작품 가격은 전년보다 평균 30% 정도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주식이나 채권 수익률보다 높은 것이다. 가격 상승률 집계에 포함된 이는 김창열 김환기 도상봉 박수근 오지호 등 한국 근현대 미술의 대표적 작가들이다.

    해외 미술시장 역시 꾸준한 가격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미국 스턴스쿨 교수들이 미술시장의 가격 추이를 보여주기 위해 만든 메이모스(Mei-Mose) 가격지수에 따르면, 1954년부터 2004년까지 50년 동안 미술품 가격은 연평균 10.47%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주식시장(S·P500)의 수익률(10.95%)과 비슷한 수준이다.

    프랑스의 미술시장 전문 분석회사인 아트프라이스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미술시장은 90년대 초반 이후 가장 활발한 모습을 보였으며, 미술품 가격(경매 거래 기준)은 평균 25.4% 상승했다.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률 못지않게 미술시장이 갖는 또 다른 매력 가운데 하나가 포트폴리오 분산 기능이다. 포트폴리오에 미술작품을 포함시킬 경우 가격 변동폭(리스크)을 줄이면서 일정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미술작품의 가격이 항상 오르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금융상품과 마찬가지로 가격 상승이 과도하다는 인식이 확산될 경우 작품 가격은 떨어질 수 있다. 실제 80년대 가격 급상승을 경험한 미술시장은 90년대 들어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시장가치 급변할 수 있는 위험성도

    특히 미술시장의 경우 작품의 시장가치가 취미 변화에 따라 출렁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 미술작품에 대한 판단이 취미 판단인 이상, 미술품의 가치는 취미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특히 가치 판단이 한창 진행 중인 현대미술의 경우 작품의 시장가치가 단시간에 바뀔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미술작품의 환금성 부족도 미술시장의 리스크를 키우는 요인이다. 특정 주식의 경우 마음만 먹으면 시장에 내다팔 수 있지만 미술품은 상황이 다르다. 보유 작품을 제값에 바로 내다팔 수 있는 가능성이 주식보다 매우 작은 게 사실이다. 결국 시간에 쫓기면서 작품을 내다팔 경우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

    또 미술시장의 정보는 일부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는 점도 미술시장의 리스크를 키우는 요인이다. 갤러리 딜러 등 전문가들은 특정 작가들에 대한 고급 정보를 갖고 있지만 일반 컬렉터들은 정보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미술시장이 정보 비대칭성에 의해 왜곡될 소지가 많다.

    이러한 위험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컬렉터들은 작품을 구입하기 전 그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수집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특정 작가 작품의 적정 가격대에 대한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본인이 구입하려는 작가의 작품이 어느 가격대에서 거래되는지 알아보는 일은 작품 구입 전 살펴봐야 할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또 구입하려는 작가의 작품이 시장에서 얼마나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는지도 중요한 체크 포인트다. 시장에서 거래가 활발한 작품일수록 되팔기가 쉽기 때문이다.

    같은 작가의 작품일지라도 작품 제작의 시기나 소재, 주제 등에 따라 작품 가격이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 이우환의 경우 선(From line), 점(From point), 바람(With winds), 조응(Correspondence) 그림의 가격이 각각 다르고, 장욱진 작품은 구작이냐 신작이냐에 따라 값에 큰 차이를 보인다. 구입하려는 작품의 특성을 자세히 구분하고, 이에 맞는 적정 가격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매회사의 낙찰 가격이 적정한 시장가격인지 되짚어보는 것도 중요하다. 한두 번 높은 가격에 거래됐다고 이것을 적정 시장가격이라고 할 수 있는지의 문제다.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정 작가의 최근 트렌드를 함께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작가의 작품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라면 시장에서 이러한 가격이 쉽게 흡수되지만, 반대의 경우엔 종종 가격 저항이 생기기 때문이다.

    국내 아트펀드 현황
      아트특별자산펀드 스타아트펀드
    운용사 서울자산운용 골든브릿지자산운용
    판매사 굿모닝신한증권 브릿지증권
    운영대행사 표화랑 한국미술투자
    펀드 규모 75억원 100억원
    형태 폐쇄형(환매 불가) 폐쇄형(환매 불가)
    만기 3년 5개월 3년 6개월
    목표 수익률 연 12.24~19.25% 연 17.36%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