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 워크숍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을 수사하던 제인. 동료의 죽음에도 슬퍼하지 않는 임원을 ‘슬픔을 느끼지 못하도록 세뇌당한 로봇’에 비유합니다.
Lisbon : I don’t buy that. People make up their own minds. You can’t brainwash them.①
Jane : Oh, sure you can. That’s what these corporate retreats are all about.② It‘s primitive brainwashing via group suffering. It’s like office karaoke or, uh, fraternity hazing.③
Lisbon : How so?
Jane : When the individual is humiliated, their perceived value of the group is raised.④
-시즌1 에피소드 16 중에서
① I don’t buy that. People make up their own minds. You can’t brainwash them.
그런 게 어디 있어요. 사람 감정은 스스로 느끼는 거지, 세뇌할 순 없는 거잖아요.
buy는 속어로 ‘(의견을) 받아들이다, 곧이듣다, 믿다’라는 뜻으로 I don’t buy that은 ‘말도 안 돼’라는 의미로 사용합니다. brainwash는 ‘세뇌하다’라는 뜻으로 Islamic fundamentalists are brainwashing people with Koran(이슬람 윈칙주의자들은 코란으로 사람들을 세뇌한다)처럼 쓰죠.
② Oh, sure you can. That’s what these corporate retreats are all about.
충분히 가능하죠. 회사 워크숍은 다 그러려고 있는 거예요.
회사 워크숍을 corporate retreat라고 합니다. That’s what A is all about는 ‘A는 다 그러려고 있는 거다’라는 뜻이죠.
③ It’s like office karaoke or, uh, fraternity hazing.
사내 노래방 회식이나 동아리 신고식이 다 그런 거예요.
노래방 회식을 office karaoke라고 합니다. 일본어 ‘가라오케’를 외래어처럼 사용한 경우죠. fraternity hazing은 ‘동아리 신고식’을 의미하는데, hazing이란 신참을 골리고 못살게 구는 것을 뜻합니다.
④ When the individual is humiliated, their perceived value of the group is raised.
개인 구성원이 치욕을 당하면, 집단이 더 중요하게 느껴지거든요.
humiliate는 ‘치욕, 창피, 굴욕감을 주다’라는 뜻이에요. I was humiliated는 ‘굴욕을 당했다’는 의미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