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최근 화두는 북한 나진항이었습니다. 두만강이 동해로 이어지는 지점에서 멀지 않은 끝자리의 항구. 최근 수년간 중국이 이 항구를 장기간 빌려 사용하려고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왔음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 훈춘과 나진을 연결하는 도로 확장 작업도 이미 끝났고요. 많은 전문가가 이를 ‘중국의 150년 숙원사업이었던 동해 진출이 현실화한 것’이라고 풀이했습니다. 일본에서는 중국 해군함정이 동해로 나오는 출구라며 호들갑을 떨기도 했죠.
“왜 나오는 것만 생각하고 들어가는 건 생각 안 하죠?” 그의 시각은 방향이 180도 달랐습니다. 나가는 길로 보면 중국의 동해 진출이지만, 들어가는 길로 보면 일본과 북미에서 중국과 러시아를 잇는 부동항 신설이라는 겁니다. 이곳에서 만주횡단철도(TM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가 지척이고 보면, 어느새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소비처’로 탈바꿈하는 중국과 북미를 연결하는 가장 값싸고 가장 빠른 물류수송로가 새로 열리는 겁니다. 겨울이면 꽝꽝 얼어버리는 블라디보스토크 앞바다와 달리 1년 내내 이용할 수 있는 나진항은 러시아로서도 더 없는 메리트죠.
미국과 캐나다에서 중국으로 가는 배의 상당수는 부산을 거칩니다. 나진항이 본궤도에 오르면 그럴 필요가 없어지겠죠. 나진항의 물동량이 부산항을 잠식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더욱이 지상물류가 비싼 북미 서부에서는 심지어 유럽으로 물건을 보낼 때도 이 노선이 더 경제적일 수 있답니다. 나진에 물건을 부려 값싼 TSR에 태운 뒤 유럽까지 실어 보내는 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