톳은 전남 완도산을 제일로 칩니다. 완도군은 지난해 전국 톳 생산량의 60%가량을 차지했어요. 신지도, 보길도 일대가 톳을 키우는 데 적지라고 합니다.
일본에는 ‘톳의 날’(9월 15일)이라는 게 있습니다. 정부가 나서서 톳 섭취를 권장하는 날이라네요. 학교 급식에서도 톳이 빠지지 않습니다. 1954년 완도군은 일본과 100년 기한의 수출 계약을 맺었습니다. 계약은 2054년 종료합니다.
“6·25전쟁 직후 배고플 때 뭣 모르고 계약을 맺은 겁니다.”(완도수협 직원)
완도군이 생산한 톳의 95%가 일본으로 건너갑니다. 최상품은 전량 수출됩니다. 수출 부적격인 2등급 이하만 한국에서 유통하고요. 시장에선 뜸부기, 모자반을 톳으로 속여 팔기도 합니다.
일본인이 우리 바다에서 난 몸에 좋은 식품을 독차지하는 꼴입니다. 어민 처지에서도 일본에 팔아야 이익으로 남는 돈이 많습니다.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같은 유통사 횡포가 심해요. 40% 넘는 중간이윤을 요구하는 곳도 있어요.”(완도수협 직원)
![완도의 톳과 FTA](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20/11/11/25/201111250500001_1.jpg)
한국은 FTA를 통해 세계 1, 2위 시장(미국, 유럽)과 한배를 탔습니다. 나라 밖으로 웅비(雄飛)할 디딤돌을 놓은 셈입니다만, ‘톳 이야기’를 들으면서 정부가 농어민과 소비자를 위해 최선을 다해왔는지 따지고 싶다는 단상이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