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뤄부포 핵 실험장을 인공위성으로 촬영한 모습. [Maxar Technologies]
미국 국무부는 최근 발표한 군비통제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핵실험 금지를 엄격하게 지키고 있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뤄부포에서 ‘무수율’(zero-yield) 핵실험과 같은 소규모의 핵실험을 실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수율 핵실험을 실시하면 핵탄두를 폭발시켰을 때 나타나는 연쇄반응은 없고, 미량의 핵에너지만을 방출한다. 보고서는 이곳에서 1년 내내 굴착작업을 포함해 실험장 가동 준비 작업으로 보이는 움직임이 인공위성을 통해 포착됐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중국 정부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핵탄두의 성능 향상을 위해 무수율 실험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세계 3위 핵 보유국인 중국
중국 정부가 무수율 핵실험 등에 나서고 있는 이유는 미국에 대항하기 위해 핵전력을 증강하고 현대화하려는 의도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마셜 빌링슬리 미국 군축 담당 특사는 “뤄부포를 감시하는 인공위성을 통해 중국군이 중·단거리 탄도미사일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차량·열차 이동형 미사일 등 다양한 미사일들을 개발하는 속도가 두드러지게 빨라진 모습이 포착됐다”면서 “뤄부포에서 신속하고 집약적인 핵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빌링슬리 특사는 “중국 정부가 그동안 핵무기와 관련해 최소한의 억지력만 보유하자는 전략을 폐기했다”며 “중국 정부는 질적이든 양적인 면에서든 미국 및 러시아와 동등한 수준의 핵 보유 목표를 추진하고 있음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스톡홀롬 국제평화연구소(SIPRI)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이 보유한 핵탄두는 영국(215개)이나 프랑스(290개)보다 많은 320개나 된다. 미국과 러시아가 보유한 핵탄두는 3800여 개와 4300여 개로 추정된다. 하지만 일부 핵·미사일 전문가들은 중국이 훨씬 많은 탄도미사일과 핵탄두를 보유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빅토르 예신 전 러시아 전략로켓군 사령관은 중국의 핵탄두가 1600~1700개라고 추정했다. 리처드 피셔 미국 국제평가전략센터 선임연구원도 중국의 핵탄두가 1000개 이상일 것이라고 밝혔다.이와 관련, 빌링슬리 특사는 지난 9월 27일과 28일 한국을 방문해 함상욱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 등 고위 관리들을 만나 비밀리에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중국의 군비 증강 정보를 공유했다. 빌링슬리 특사는 중국을 두 차례나 ‘핵으로 무장한 깡패’(Nuclear Armed Bully)라고 지칭하면서 중국의 핵·미사일 위협을 지적했다. 빌링슬리 특사는 “중국은 중거리핵전력조약(INF)의 구애를 받지 않아 지난 30년간 1000~2000기의 순항·탄도미사일을 개발해 배치했다”며 “중국은 2018년 218회, 지난해 225회, 올 8월까지 70회의 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는데, 이는 가까운 시일 안에 핵무기를 2배로 늘려 배치하려는 의도”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미국 국방부는 의회에 제출한 ‘2020 중국 군사력 보고서’(9월 1일자)에서 “중국은 향후 10년간 핵전력 증강 및 현대화에 따라 핵탄두 보유량을 최소 2배로 늘릴 것”이라면서 “미국을 타격할 수 있는 중국의 ICBM 장착 핵탄두는 현재 100여 개에서 5년 내 200여 개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또 “중국은 지상·해상·공중 기반 핵전력 증강으로 3축 핵전력을 보유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3축 핵전력(nuclear triad)은 육상의 ICBM, 해상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공중의 전략폭격기 등을 말한다. 보고서는 “중국이 새로운 핵분열 물질 생산 없이 핵무기 비축량을 갑절로 늘릴 수 있는 충분한 물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채드 스브라지아 미국 국방부 중국 담당 부차관보는 “중국이 과거 알려진 것보다 핵탄두 생산능력이 훨씬 발전하고 있다”면서 “중국은 3축 핵전력 중 두 가지만 보유해왔지만 이제는 3축 핵전력 완성에 접근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오는 11월 미국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장거리 초음속 스텔스 전략폭격기인 훙(轟·H)-20을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도 위협적인 핵탄두 10개 탑재 둥펑(DF)-41
중국의 차세대 ICBM인 DF-41. [China mil]
미국의 ‘프로젝트 2049연구소’에 따르면 중국 인민해방군은 핵탄두 대부분을 친링(秦嶺)산맥에 있는 이른바 ‘지하 강철 만리장성’에 보관하고 있다. ‘지하 강철 만리장성’은 적의 핵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산 아래 땅속 깊이 자리한 일련의 방어 시설을 말한다. 산의 암반은 적의 공격을 막을 만큼 두텁지만, 방어 시설의 입구와 출구는 취약하기 때문에 강철로 만들어졌다. 이 시설은 지하 1㎞에 내부 터널 길이가 5000㎞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터널은 초대형 트레일러가 다닐 수 있을 만큼 넓고, 도로와 철길로 이어져 있다. 지하 만리장성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사람은 중국의 군사 전문가인 첸치후(錢七虎·82) 공정원 원사이다. 첸 원사는 중국 관영 영자지인 ‘글로벌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지하 강철 만리장성은 극초음속 무기를 비롯해 핵폭탄을 장착한 벙커버스터(Bunker buster) 등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다”고 밝혔다.
지하 강철 만리장성은 산시(陝西)성 타이바이산(太白山)에 있는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직속인 ‘제22기지’가 관리하고 있다. 이 기지는 긴급사태가 발생할 경우 핵탄두를 선양(瀋陽), 뤄양(洛陽), 황산(黃山), 시닝(西寧), 화이화(懷化), 쿤밍(昆明) 등 6개의 핵미사일 발사기지로 철도와 고속도로를 이용해 운반한다. 이 기지는 유사 시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대피하는 지하 벙커와 실시간으로 연결된다. 이 지하 벙커는 시진핑 국가주석 등 지도부들이 집단 거주하는 베이징 중난하이에서 북서쪽으로 20㎞ 떨어진 시산(西山) 국립공원 내 지하 2㎞ 깊이에 있다. 이 지하 벙커는 100만 명에게 식수를 공급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어마어마하다고 알려졌다.
‘핵 깡패’로 등장할 우려
중국의 지하 강철 만리장성 모습. [궈팡바오]
중국은 내년 2월 시효가 종료될 예정인 ‘신전략무기감축협정’(New START)에 참여하라는 미국의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 이 협정의 주요 내용은 미국과 러시아의 핵탄두 수를 1550개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다. 로버트 게이츠 전 미국 국방장관이 “중국은 얻는 이득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이 협정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듯이, 중국은 핵전력을 증강하고 현대화해 미국과의 격차를 좁힐 때가 왔다고 보고 있다. 이 경우 자칫하면 중국은 ‘핵깡패’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