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7일 경기 이천시 쿠팡 덕평물류센터 화재 집압 과정에서 소방관 한 명이 숨졌다. 사고 당일 쿠팡 측은 5월 말 김범석 이사회 의장이 국내 법인 의장 및 등기이사직을 사임했다고 발표해 논란을 빚었다. [동아DB]](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61/c5/56/1b/61c5561b11fdd2738250.jpg)
6월 17일 경기 이천시 쿠팡 덕평물류센터 화재 집압 과정에서 소방관 한 명이 숨졌다. 사고 당일 쿠팡 측은 5월 말 김범석 이사회 의장이 국내 법인 의장 및 등기이사직을 사임했다고 발표해 논란을 빚었다. [동아DB]
英 기업살인법 같은 강렬 규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우려 목소리가 높다. 중대재해처벌법은 근로자가 숨지는 등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법인·사업주에게 엄중히 책임을 묻는 것이 핵심이다. 지난해 4월 경기 이천시 물류센터 공사장 화재로 근로자 38명이 숨진 후 영국 ‘기업과실치사 및 기업살인법’ 같은 강력한 규제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올해 1월 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중대재해처벌법은 2022년 1월 27일 상시 근로자 50명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시행된다. 건설사의 경우 공사금액 50억 원 이상 사업장이 대상이다.문제는 대다수 중소기업은 여전히 관리 사각지대라는 것.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산업재해로 사망한 근로자 882명 중 714명(81%)이 50명 미만 사업장에서 숨졌다. 중소기업 근로자를 주로 상담하는 A 노무사는 “실제 중대재해로 숨지는 근로자 절대다수가 영세사업장 소속이다. 사측이 자금·인력 부족을 핑계로 안전 시스템 마련을 미루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산업안전보건법 등 기존 규제와 함께 적용된다. 기존 법령에 규정된 근로환경 안전 기준을 재확인하고 위반 시 처벌을 강화한 것이 뼈대다. 현장에서는 원래 있던 법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이유로 중대재해처벌법의 실효성에 의문을 표한다.
B 노무사는 최근 한 중소 건설업체 대표의 산업재해 예방 자문에 응했다 깜짝 놀랐다. 공사 금액 60억 원 이상 현장을 운영해 중대재해처벌법 대상임에도 관련 대비책이 사실상 전무했기 때문.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공사 금액 60억 원 이상~80억 원 미만 공사현장의 경우 내년 7월 1일부터 안전관리자 배치도 의무화된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후 중대산업·시민재해로 사망자가 발생한 기업의 경영자는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징역·벌금형 동시 부과도 가능하다. B 노무사는 “해당 업체 대표는 ‘우리 회사는 중대재해처벌법 대상이 아니지 않느냐’며 안심하는 눈치였다. 사실을 짚어주니 처음 듣는 소리라면서 당황하더라. 중소기업의 경우 이처럼 안전관리가 허술한 경우가 적잖다”고 말했다.
“책임 ‘내리까시’ 걱정”
![지난해 11월 24일 전남 광양시 포스코 광양제철소 폭발 사고로 협력업체 직원 등 3명이 숨졌다. [뉴스1]](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61/c5/56/ae/61c556ae1fced2738250.jpg)
지난해 11월 24일 전남 광양시 포스코 광양제철소 폭발 사고로 협력업체 직원 등 3명이 숨졌다. [뉴스1]
이에 대해 노동 사건을 여럿 맡은 한 변호사는 “중소·중견기업 경영자는 자사 근로자에게는 갑(甲)이지만 원청 대기업 앞에선 을(乙)이다. 정부가 허술한 안전관리에 대해선 엄벌하되 적절한 지원으로 근로자 안전을 실질적으로 보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우정 기자
friend@donga.com
안녕하세요. 주간동아 김우정 기자입니다. 정치, 산업, 부동산 등 여러분이 궁금한 모든 이슈를 취재합니다.
국민의힘 대선 주자 재산 꼴찌는? 답은 김문수 10억… 이재명 30억 신고
‘굴복은 없다’… 미국·중국 관세 전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