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25

..

저벅저벅… 식은땀 나는 ‘고딕 호러’

제임스 왓킨스 감독의 ‘우먼 인 블랙’

  • 이화정 씨네21 기자

    입력2012-02-20 10:1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저벅저벅… 식은땀 나는 ‘고딕 호러’
    공포물은 한여름 더위를 쫓기에 제격인 장르다. 그런데 요즘처럼 추위가 기승을 부릴 때 봐도 색다른 맛이다. 영화 ‘우먼 인 블랙’의 사연은 특히 이 계절과 기막히게 어울린다. ‘검은 옷을 입은 여인’이라는 제목이 암시하듯, 영화는 한 원혼에 관한 드라마틱한 사연을 다룬다. 유럽에서는 1983년 수잔 힐의 동명소설이 굉장한 인기를 끌었다. 176쪽의 적은 분량인데도 실화로 착각할 만큼 호소력 짙은 이야기 덕분에 TV와 라디오 드라마, 연극 등으로 꾸준히 만들어졌다. 연극은 영국 웨스트엔드에서 6000회 이상 상연했을 정도다. 도대체 어떤 내용이기에 이토록 오랫동안 사람을 매료시키는 것일까.

    이야기를 끌고 나가는 건 아내를 잃고 시름에 잠긴 젊은 변호사 아서 킵스다. 로펌 변호사인 킵스는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한 여인의 유서를 정리하라는 지시를 받고 외딴 마을을 찾아간다. 그런데 분위기가 수상하다. 가는 날부터 폭우에 시달린 데다, 마을 사람은 그에게 계속 떠나라고 경고한다. 마침 그가 마을에 도착한 날부터 마을의 어린아이가 잇따라 죽어나간다. 우연한 사고라고 하기엔 석연치 않은 구석이 한둘이 아니다. 마을 사람은 외지에서 온 킵스가 불행을 불러왔다고 믿으며 그를 적대시한다.

    아이들의 잇따른 죽음

    궁지에 몰린 상황에서도 킵스는 마을을 떠나는 대신, 죽은 여인이 살던 고저택을 찾아간다. 여인이 죽은 이후 사람이 살지 않은 집에서 그는 자꾸만 사람의 기운을 느낀다. 그리고 검은 옷을 입은 여인의 실체와 맞닥뜨린다. 영화 제목 ‘우먼 인 블랙’은 킵스가 파헤치는 한 여인의 정체다.

    여인은 사고가 생기면 그 현장에 어김없이 나타나 위기에 처한 아이들을 조종해 죽음에 이르게 하는 악령이다. 킵스가 사건을 해결하는 방식은 정면대결이다. 도와주는 사람도, 변변한 무기도 없이 혼자서 대저택 탐험에 나선다. 마치 놀이공원의 ‘유령의 집’ 탐험처럼 긴장감이 넘친다. 삐걱거리는 계단, 높은 천장, 오래된 장난감, 오르골 소리, 흔들의자 등 집 안 전체가 공포를 조장한다. 그야말로 ‘귀신 들린 집’이다. 이게 전부냐고? 그러게 말이다.



    요즘 공포영화 트렌드로 보자면 킵스가 대저택에 들어서는 순간 사지절단의 고통이나 흥건한 피 정도는 나올 것 같은데 그런 극적 장치가 없다. 킵스가 겪는 공포가 자극적이지 않은 건 이 영화의 장점이기도 하다. 음향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억지 비명을 이끌어내는 대신, 안개처럼 나지막하게 깔린 효과음 위로 들려오는, 두려움에 찬 킵스의 발소리가 오히려 무서움을 더한다. 놀랍게도 발소리의 긴장감이 주는 공포효과가 꽤 크다. 저택 위치도 공포를 조장한다. 바다 한가운데 있으면서 썰물일 때만 육지와 연결되는 저택 위치는 공포에 갇혀버릴 수 있는 설정이다.

    요즘 공포영화는 사지절단의 강도와 흘러내리는 피의 양으로 공포지수를 매기는 듯한 분위기다. 관객은 그런 흐름에 진저리 치면서도 이왕이면 3D로 감상하는 담력을 지녔다. 이쯤에서 궁금해지는 건 공포와 가학 중 어느 쪽이 더 무서운지다.

    저벅저벅… 식은땀 나는 ‘고딕 호러’
    ‘해리 포터’여 안녕

    ‘우먼 인 블랙’의 공포지수는 고전적인 연출방식에서 찾아야 한다. 사실 오래전 공포영화를 떠올려보면 음산한 기운과 삐걱거리는 복도 정도가 전부였다. 별다른 효과 없이 정제된 공포만으로 관객을 오싹하게 만드는 방법을 고안했다. ‘우먼 인 블랙’은 과거 고딕 호러가 안겨줬던 공포를 오늘날의 스크린에 재연한 것이다. 단출한 요소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고전적인 공포의 바탕에는 영국 해머필름이 있었다. 해머필름은 1930년대 ‘드라큘라’ ‘프랑켄슈타인 여자를 만들다’ 등의 공포영화를 제작하며 전성기를 누리던 곳이다. 음향효과와 볼거리를 강조한 대작 위주의 공포영화에 떠밀려 1980년 이후 사실상 영화를 제작하지 않았다. ‘우먼 인 블랙’은 절치부심하던 해머필름이 공포영화 명가의 부활을 알리려고 내놓은 작품이다.

    장르적 재미를 떠나 ‘우먼 인 블랙’을 기대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가 또 있다. 바로 주인공 역을 ‘해리 포터’ 시리즈의 히어로 대니얼 래드클리프가 맡았다는 점이다. 래드클리프는 지난 10년간 자신의 영화팬과 함께 성장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엄청난 사랑을 받았다. 이 때문에 ‘해리 포터’ 시리즈를 벗어나 어떤 연기를 보여줄지, 어떤 배우로 성장할지에 기대와 우려가 많았다.

    그는 비행기에서 시나리오를 읽고 킵스의 내면에 푹 빠져들어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영화 출연을 결정했다고 한다. 그러한 결심을 반영한 듯, 여러 장면에서 그는 다른 누구의 도움 없이 대담한 연기를 선보였다. 지난 시절 트레이드마크였던 안경을 벗은 것도 인상적이다. 해리 포터와의 안녕이 시급했던 시점에 성인식을 성공적으로 치른 셈이다.

    마지막으로 궁금한 건 ‘검은 옷을 입은 여인’의 정체일 터. 힌트를 주자면 ‘우먼 인 블랙’에서 ‘링’ ‘주온’ 등을 아우르는 일본 공포영화의 ‘원혼’ 개념이 엿보인다는 점이다. 영화가 원혼의 사연을 극대화하고 밀어붙이지는 않지만, 원혼이 사건을 해결하는 데 꽤 중요한 구실을 한다. 트렌디 공포영화에 싫증이 났다면 한번 찾아볼 만한 영화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