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려동물에게도 ‘올바른 양육’이 필요하다. 건강관리부터 문제 행동 교정까지 반려동물을 잘 기르기 위해 알아야 할 지식은 무궁무진하다. 반려동물행동의학 전문가인 최인영 수의사가 ‘멍냥이’ 양육에 관한 모든 것을 알려준다.
반려묘는 배변(배뇨) 뒤 모래로 덮는 습성이 있어 따로 배변 훈련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모래를 채운 전용 화장실을 집 안 적당한 곳에 두면 가르치지 않아도 알아서 그곳에서 용변을 해결하곤 하죠. 그러나 일부 반려묘는 화장실이 아닌 곳에 자꾸 용변 실수를 해 보호자를 곤혹스럽게 합니다. 이는 일부러 그랬다기보다 반려묘가 화장실 사용에 불편함을 느꼈기 때문일 개연성이 큽니다.
반려묘가 배변을 모래로 덮는 건 생존 본능과 관련 있습니다. 고양이 소변은 악취가 매우 심해 다른 포식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들키기가 쉽습니다. 이에 고양이는 가축화되기 전 야생에서 생활할 때부터 새끼가 있는 보금자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용변을 보고 모래로 덮어 포식자들이 보금자리 위치를 알아차리지 못하게 했습니다. 즉 자신이 먹고, 자고, 뛰노는 생활 터전 안에선 용변을 보지 않게 진화한 거죠.
집 안에서 생활하는 반려묘에게도 이런 본능에 부합하는 화장실이 필요합니다. 모래를 채운 화장실이 바로 그것이죠. 그중에서도 반려묘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은 상자 형태의 화장실을 가장 좋아합니다. 크기는 반려묘가 몸을 편안히 돌릴 수 있는 정도면 적당한데요. 두세 군데 용변을 보고나서도 깨끗한 부분이 남아 발을 디딜 수 있으면 좋습니다. 다묘(多猫) 가정이라면 몸집이 제일 큰 반려묘에게 화장실 크기를 맞추면 됩니다. 보호자가 흔히 하는 실수 중 하나가 반려묘에게 너무 작은 화장실을 제공하는 겁니다. 화장실을 거실 구석 등에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반려묘의 편의보다 인테리어 등 미관을 기준으로 화장실을 고르는 거죠. 이때 반려묘가 용변을 보러 들어갔다가 몸이 끼이는 등 안 좋은 기억이 생기면 더는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려묘 화장실에서 중요한 또 다른 요소는 모래입니다. 반려묘 입장에서 모래는 세 가지 요건이 충족돼야 합니다. 발로 밟았을 때 싫지 않은 촉감일 것, 구멍을 파거나 배변을 덮기 쉽도록 가볍고 부드러울 것, 체취를 가릴 정도로 강한 향이 첨가돼 있지 않을 것 등입니다. 그 밖에 보호자는 모래의 뭉침 정도도 살펴야 합니다. 소변에 의해 잘 뭉치는 모래는 보호자가 반려묘 소변 양 변화를 알아채 방광염이나 신장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반려묘가 뭉친 모래를 삼켜 장폐색이 생길 수 있고 잘 뭉치는 만큼 화장실에 깔아야 하는 모래 양도 늘어납니다. 이런 장단점을 따져 반려묘에게 맞는 모래를 고르는 게 중요하죠.
일반적으로 모래는 화장실 바닥에 10~15㎝ 두께로 깔면 됩니다. 너무 적게 넣으면 배변이 화장실 바닥까지 닿아 냄새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다묘 가정이라면 용변 횟수가 다른 집보다 많을 텐데요. 이땐 무작정 모래를 더 붓지 말고 화장실 자체를 늘리길 권합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건 화장실 위치입니다. 아무리 좋은 화장실에 비싼 모래를 채웠더라도 반려묘가 싫어하는 장소에 둔다면 사용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반려묘 보호자 사이엔 암묵적 룰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화장실을 밥그릇, 물그릇 옆에 두지 않는 겁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반려묘는 보금자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배변을 하려는 본능이 있습니다. 만약 화장실과 식사 장소를 가까이 두면 반려묘가 그 공간을 식사 장소로 규정하고 화장실을 따로 정할 수 있습니다.
또 화장실을 욕실, 세탁실 등에 두는 것도 여러 부작용을 초래하곤 합니다. 전자는 화장실 습기에 모래가 축축해져 반려묘가 모래를 파거나 덮기 힘들 수 있고, 후자는 반려묘가 세탁기 등 기계 소리에 놀라 이후 접근을 꺼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니 반려묘가 최대한 편안하고 안전하며 조용하게 용변을 볼 수 있는 곳에 화장실을 둘 것을 추천합니다.
최인영 수의사는…
2003년부터 수의사로 활동한 반려동물 행동학 전문가다. 현재 서울 영등포구 러브펫동물병원 대표원장, 서울시수의사회 이사를 맡고 있으며 대표 저서로 ‘어서 와 반려견은 처음이지?’가 있다.
반려묘는 배변(배뇨) 뒤 모래로 덮는 습성이 있어 따로 배변 훈련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모래를 채운 전용 화장실을 집 안 적당한 곳에 두면 가르치지 않아도 알아서 그곳에서 용변을 해결하곤 하죠. 그러나 일부 반려묘는 화장실이 아닌 곳에 자꾸 용변 실수를 해 보호자를 곤혹스럽게 합니다. 이는 일부러 그랬다기보다 반려묘가 화장실 사용에 불편함을 느꼈기 때문일 개연성이 큽니다.
모래 덮기, 생존 본능과 관련
반려묘는 구조가 단순한 상자 형태의 화장실을 가장 좋아한다. [GETTYIMAGES]
집 안에서 생활하는 반려묘에게도 이런 본능에 부합하는 화장실이 필요합니다. 모래를 채운 화장실이 바로 그것이죠. 그중에서도 반려묘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은 상자 형태의 화장실을 가장 좋아합니다. 크기는 반려묘가 몸을 편안히 돌릴 수 있는 정도면 적당한데요. 두세 군데 용변을 보고나서도 깨끗한 부분이 남아 발을 디딜 수 있으면 좋습니다. 다묘(多猫) 가정이라면 몸집이 제일 큰 반려묘에게 화장실 크기를 맞추면 됩니다. 보호자가 흔히 하는 실수 중 하나가 반려묘에게 너무 작은 화장실을 제공하는 겁니다. 화장실을 거실 구석 등에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반려묘의 편의보다 인테리어 등 미관을 기준으로 화장실을 고르는 거죠. 이때 반려묘가 용변을 보러 들어갔다가 몸이 끼이는 등 안 좋은 기억이 생기면 더는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려묘 화장실에서 중요한 또 다른 요소는 모래입니다. 반려묘 입장에서 모래는 세 가지 요건이 충족돼야 합니다. 발로 밟았을 때 싫지 않은 촉감일 것, 구멍을 파거나 배변을 덮기 쉽도록 가볍고 부드러울 것, 체취를 가릴 정도로 강한 향이 첨가돼 있지 않을 것 등입니다. 그 밖에 보호자는 모래의 뭉침 정도도 살펴야 합니다. 소변에 의해 잘 뭉치는 모래는 보호자가 반려묘 소변 양 변화를 알아채 방광염이나 신장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반려묘가 뭉친 모래를 삼켜 장폐색이 생길 수 있고 잘 뭉치는 만큼 화장실에 깔아야 하는 모래 양도 늘어납니다. 이런 장단점을 따져 반려묘에게 맞는 모래를 고르는 게 중요하죠.
일반적으로 모래는 화장실 바닥에 10~15㎝ 두께로 깔면 됩니다. 너무 적게 넣으면 배변이 화장실 바닥까지 닿아 냄새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다묘 가정이라면 용변 횟수가 다른 집보다 많을 텐데요. 이땐 무작정 모래를 더 붓지 말고 화장실 자체를 늘리길 권합니다.
밥그릇 옆에 화장실 두기 NO
모래 종류별 장단점을 따져 반려묘에게 맞는 것을 골라야 한다. [GETTYIMAGES]
또 화장실을 욕실, 세탁실 등에 두는 것도 여러 부작용을 초래하곤 합니다. 전자는 화장실 습기에 모래가 축축해져 반려묘가 모래를 파거나 덮기 힘들 수 있고, 후자는 반려묘가 세탁기 등 기계 소리에 놀라 이후 접근을 꺼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니 반려묘가 최대한 편안하고 안전하며 조용하게 용변을 볼 수 있는 곳에 화장실을 둘 것을 추천합니다.
최인영 수의사는…
2003년부터 수의사로 활동한 반려동물 행동학 전문가다. 현재 서울 영등포구 러브펫동물병원 대표원장, 서울시수의사회 이사를 맡고 있으며 대표 저서로 ‘어서 와 반려견은 처음이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