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17

..

‘흥미진진’ 로마 역사 총정리

  • 공병호경영연구소 소장 www.gong.co.kr

    입력2007-12-26 17:0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흥미진진’ 로마 역사 총정리

    <b>또 하나의 로마인 이야기</b><br> 시오노 나나미 지음/ 한성례 옮김/ 부엔리브로 펴냄/ 356쪽/ 1만7500원

    한 권으로 읽는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 그의 시리즈에 푹 빠져온 독자라면 시리즈 완간 이후 조금은 심심한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이다. 더 나올 ‘로마인 이야기’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반갑게도 시오노 나나미의 신작이 출간됐다! ‘또 하나의 로마인 이야기’가 그것으로 로마사의 총정리편이다.

    10년 넘게 시리즈가 나오다 보니 독자들은 다시 전부를 읽지 않는 한 개관을 놓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수많은 사건 가운데 특별히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도 주목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로마인 이야기’를 회상할 수 있는 즐거움에다 관심 가져야 할 사건이나 교훈에 주목하게 해주는 책이다.

    왜 역사를 읽어야 하는가. 저자는 “역사는 인간이니까요. ‘역사가 딱 질색’이라고 하면 ‘인간이 딱 질색’이라는 고백이 되거든요”라고 말한다. 권력이든 부든 모든 것은 세월과 함께 스러지고 만다. 그리고 우리들의 인생이란 유한함을 벗어나기 힘들기에 저자는 “누구나 자신의 일생에서 경험할 수 있는 것은 한정돼 있다”고 말한다. 권력을 쥔 사람이든 부를 축적한 사람이든 인생의 경험은 자신의 분야를 넘어설 수 없지만 저자는 “역사에는 인류가 지금까지 경험한 모든 것이 다 들어 있다. 그러한 역사가 재미있지 않을 수 없다.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한다.

    저자가 특별히 역사 속에서 로마인에게 매료된 까닭은 무엇일까. 로마인들은 인간성에 대해 환상을 품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인간성을 있는 그대로 보았다. 고대 그리스인들처럼 철학이 인간성을 향상시키지 않으면, 중세인들처럼 종교가 인간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고 보았다. 저자는 독자들에게 “마키아벨리나 루터의 시대에서 이미 500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과연 인간성이 얼마나 개선됐을까”라고 묻는다.

    예전의 인간이나 지금의 인간이나 인간성이라는 면에서 보면 큰 차이가 없다. 그렇다면 로마인의 인간성에 대한 통찰이 현대인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직시할 때만이 개혁도 번영도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런 사실을 무시하고 진행된 20세기의 혁명들이 인간세계에 얼마나 큰 피해를 남겼는지를 생각하면 된다.



    초기 로마의 성장에서 교훈을 얻는다면 무엇일까. 저자는 로마의 ‘조직력’에 주목하라고 권한다. 특정 영웅에 의존하지 않고 ‘적당한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었던 점은 로마 초기부터 쇠락하기 직전까지 로마의 진정한 강점이었다.

    다른 한 가지 강점을 들자면 그것은 적을 포용할 수 있는 힘이었다. 이에 대해 역사가 플루타르코스는 “패자마저도 자신들에게 동화시킨다는 그들의 방식만큼 로마의 강대화에 기여한 것은 없다”고 말한다. 물건과 사람을 움직이는 도로망이 하드웨어였다면, 로마를 중심으로 열린 사고에 바탕을 둔 국가 간 네트워크 ‘로마 연합’은 소프트웨어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로마의 탄생, 공화정의 시대, 조직의 로마, 한니발의 도전 등 모두 5장에 걸쳐 로마의 성장과 정체를 다뤘고 승자의 혼미, 카이사르로 구성된 2개의 장에서는 정점에 선 로마에 대해 말한다. 마지막으로 팍스로마나의 길과 로마의 교훈 장으로 구성된 부분은 현대인을 위한 로마의 교훈으로 정리할 수 있다. 특별 부록에 실린 ‘저자에게 듣는 로마 영웅들의 성적표’는 리더십에 관심 있는 독자들이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다.

    저자는 승리한 모든 조직이 앓는 병을 로마도 예외 없이 경험하게 된다는 사실에 대해 “구성원을 교체하지 않으면 그 집단은 필연적으로 내향적이 된다. 그리고 그것은 구성원 상호간의 이익 보호를 우선시하는 ‘이권집단’으로 화한다”고 지적한다. 로마가 초기에 급성장한 이후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옮겨갈 수밖에 없는 이유를 원로원 체제의 내향화에서 찾는다. 혹자는 이를 두고 ‘동맥경화 현상’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로마뿐 아니라 초기의 고성장을 경험한 거의 모든 조직이 앓는 성장통이다. 이 점은 지금의 우리 사회도 예외가 아니다.

    진정한 개혁이란 무엇인가. 저자의 개혁관은 “개혁이란 낡은 껍데기를 벗어던지고 새로운 제도를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진정한 개혁이란 결국 재구축을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재구축이란 외부의 것을 그냥 가져다 사용하는 게 아니라, 자신들이 갖고 있는 자질이나 특징 가운데서 살려야 할 것과 버려야 할 것을 결정해 조합하는 것을 뜻한다.

    한편 로마와 중국 두 나라의 차이는 오늘날 서양문화와 동양문화의 차이를 낳게 된다. 한쪽은 황제가 되더라도 시민이나 원로원의 평판에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는 체제이며, 다른 한쪽은 황제가 거의 모든 것을 소유한 체제를 말한다. 흥미로운 점은 황제의 지위가 불안정했기 때문에 오히려 로마라는 국가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책의 마지막에는 로마사와 로마인에게서 배우는 교훈이 적혀 있다. 인상적인 대목은 초기부터 국민을 불행에 빠뜨리기 위해 만들어진 정치 시스템은 없었다는 점이다. 초기의 동기는 훌륭했지만 시대의 변천과 함께 선이 악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제도든 체제든 끊임없는 수선과 개선, 개혁이 필요하다.



    댓글 0
    닫기